View : 5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진영-
dc.creator윤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아동의 지각된 유능감 및 수용감, 자기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5-6세의 정상 아동 56명으로 구성되었다. 어머니와의 애착은 애착 Q-set으로 평가하였고, 자기존중감을 평가하는 인형놀이 면접법(Puppet Interview; Cassidy, 1986)및 지각된 유능감과 사회적 수용 그림 척도를 이용하여 아동의 자기지각을 평가하였다. 또한 한국형 유아사회정서적 행동 평가 검사로 아동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아동의 자기지각,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아동의 자기지각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애착 안정성과 지각된 유능감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각된 수용감 및 자기존중감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아동일수록, 자신이 가치롭고, 어머니나 또래에게 수용된다고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아동의 지각된 유능감 및 사회적 수용감과 문제행동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비교적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아동 자신이 유능하고, 또래와 어머니에게 수용된다고 지각할수록 문제행동을 적게 보였다. 또한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문제행동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자기존중감이 낮은 아동일수록 전반적인 문제 행동을 많이 보였고, 특히 문제행동의 하위 영역들 중에서는 주의산만성과의 관계가 유의미했다. 3.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문제행동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문제행동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주의산만 요인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어머니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아동일수록 교사에 의해 문제행동을 적게 보인다고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children s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self-perception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ives of this study were 56 nomal children with age of 5, 6 years. Children s attachment was assessed by Attachment Q-set. Children s self-perception was examined by Puppet Interview(Cassidy, 1986), and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ren s behavior problem was assessed by Korean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Pera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and self-perce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perceived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ocial acceptance and self-esteem. 2.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s self-esteem and global behavior problem. But, children s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 Particularly, the children s self-esteem was negatively related with hyperactive-distractive behavior. 3. Children s attachment securit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global behavior problem, particularly with hyperactive-distractive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6 A. 애착과 자기지각 = 6 B. 자기지각과 문제행동 = 11 C. 애착과 문제행동 = 15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1 C. 연구 절차 = 27 D. 자료 처리 = 29 IV. 연구 결과 = 30 A. 애착과 자기지각 = 30 B. 자기지각과 문제행동 = 32 C. 애착과 문제행동 = 34 V. 결론 및 논의 = 36 참고문헌 = 43 부록 = 51 영문초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7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전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자기지각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