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Title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Authors
강정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는 보편적인 개념이 되었고, 스트레스의 원인들도 다양해지고 있다. 여러 가지 유형의 스트레스 중에 요즘 부각되고 있는 것이 외모에 대한 스트레스이다.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더욱 더 외모에 대해 신경을 쓰게 되고, 사회 문화적으로 미(美)의 기준이 마른 몸매, 예쁜 얼굴 등 외모적인 것에 치우치다 보니 자신의 신체상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녀 대학생들의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서 서울에 있는 4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251명에게 신체만족도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지지적 대처에서는 남녀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대처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이 대처방식들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상에 만족하는 집단이 불만족하는 집단에 비해서 문제 중심적인 대처방식과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정서 완화적 대처방식과 소망적 대처방식에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4)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의 경우에만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신체상에 만족하는 집단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이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신체상에 불만족하는 집단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이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지지적 대처방식과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stress became a universal concept and the causes of stress are diverse. Among many kinds of stresses, the stress of appearance seems to be the most prominent one nowadays. Many people tend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external features; and this kind of discontentment usually comes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which regard thin body and pretty face as a desirable standard that fits to this multi media era. 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stress coping style. This study surveyed 251 students at 4 universities in Seoul. Body cathexis scale and stress coping way checklist were used for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satisfaction of body image. (2)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ed coping style, whereas female students pursued more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coping than male students. (3) The people group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pursued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ed coping style more than the dissatisfied people group did. On the contrar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coping. (4) Only in social supported coping style, there was a interaction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gender. Boys in the group of people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used more social supported coping than girls in the same group did. Also girls in the group of people who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used more social supported coping than boys in the same group did.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social supported coping style varies according to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