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Title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Authors
최수욱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여성들이 높은 교육수준에도 불구하고 낮은 진로포부를 보이는 것에 문제의식을 같고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진로포부의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울의 E 여대생 26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하였다. (1) 여대생의 비전통적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높을 것이다.(2) 여대생의 진로장벽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낮을 것이다.(3) 진보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여대생일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높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진로포부, 진로자기효능감, 성역할태도, 진로장벽ㄷ수준과 인구학적 변인 및 일반적 인적사항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각각의 요인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비전통적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의 사회적 지위였다. 구체적으로 비전통적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높았으며, 진로장벽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낮았다. 진로장벽에 비해서는 비전통적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포부에 더 영향을 많이 준다고 볼 수 있었다. 부가적으로 어머니 직업의 사회적 지위가 진로포부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세 개의 가설 중 가설(1)과 가설(2)는 지지되었으나 성역할태도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마지막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xtual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career aspiration. Regardless of the high educational level of Korean women s, what is the matter of that low career aspiration.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1) The higher nontraditional career self efficacy of woman college student gets the higher career aspiration level. (2) The higher career barrier level of woman college student gets the lower career aspiration level. (3) Woman college strudent who has liberal sex role attitude gets higher level of carrier aspira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260 Korean college wom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ru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areer self efficacy,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sex role attitude on career aspiration. As a result, non-traditional career self drricacy and perceived career barrier are influencing on career aspiration. Non-traditional career self efficacy influenced the increase of career aspiration level. Perceived career barrier affected the decrease of career aspiration level. Sex role attitude was not related with career aspiration in this study. Additionally the prestige of mother s job influenced positively on college women s career aspiration. So hypothesis (1) and (2) were supported but the last hypothesis that sex role attitude have influence on career aspiration were not suppor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