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혜원-
dc.creator한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6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Bee-Seok, Jeong s literary work by looking thoroughly at the specifically shown aspects of the writing method of Bee-Seok, Jeong in his novel. Ever since Bee-Seok, Jeong has started his literary career in 1936, he has written novels steadily which were widely read. Also he left many writings of the writing method of novels, such as the first original book(single volume) 『Sosuljakbeop(The Craft of Writing Fictions)』 Even though he was popular with the readers of his time and he contributed much to the literary world, until now Bee-Seok, Jeong was devaluated as a popular writer, a dime novelist . But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Bee-Seok, Jeong s literary view and works ar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popular fiction which are for the newly rising of the industrial society, not under the category of dime novels which are for the low class. The former study of literature was limited only to the work, the result of writing. It didn t deal with the process of writing. Because the writing method or writing process was a momentary happening,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n t be verified scientifically. Not being the subject of active study, the discussion about writing was possible only until after the speculation of post-structuralism. The distinguishing post-structuralist. Gille Deleuze understood the writing process such as the process itself of creation significant by the concept of event . In the case of Bee-Seok, Jeong who consecutively published novels which were popular to the readers of his time, is concluded to have a unique technique that would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readers. This study examines the writer s writing methodology and then the specific works instead of the existing analyzing method of going around the other way. First, it captures the features of Bee-Seok, Jeong s writing method through his books related to the writing method. Then, finds out specifically how these features are being materialized in his novels. In the second chapter, first it looks generally into the perception of the fiction and writing methods of Bee-Seok, Jeong. Bee-Seok, Jeong thought the role of the readers was above all most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essentials of fiction. Bee-Seok, Jeong sees that the starting point of a fiction is in the readers desire about the story. In the writing process of a fiction Bee-Seok, Jeong keeps in mind that the readers here are the newly rising commoner in the industrial society, namely the general public. In his view, an author is no longer an absolute author, but is merely a story teller by profession. Also Bee-Seok, Jeong emphasizes that a fiction by no means should be transformed easily in time and by ideas and should give everlasting deep emotion at any era. In the search for the universal theme, Bee-Seok, Jeong discovered the theme love .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especially forbidden love is one of the themes in literature that repeats itself forever and is always perceived anew. Thus the perception of Bee-Seok, Jeong s novels soon leads us to the findings of the writing method which effectively receives the many readers.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analyzes specifically the writing techniques of what Bee-Seok, Jeong formulated, dividing it into serial novel writing theory, love story writing theory, and typical character creation theory. From the point of view as a reader himself, Bee-Seok, Jeong noted highly the newspaper for expanding the class of readers because of its easiness to get in contact with and from the view as a writer, he could lead a life as a professional writer by publishing his novels through the newspaper. Bee-Seok, Jeong diagnosed that the serial novel should satisfy these three special conditions that it be concluded in one edition because of the special situation of being published serially, that all classes of the readers can have interest in reading it, and that it meet the conditions of the newspaper corporation. To satisfy these three conditions, Bee-Seok, Jeong suggests the following as the writing method of the serial novel. It must be up-to-date like the articles. It must have a complicated situation with the ups and downs overlapping each other. And its sentences should be easily written and have rapid breath. Bee-Seok, Jeong considers the character the most important of the elements of fiction which are character, plot and background. So he sees that in writing a fiction, the character is created first and then afterwards the background that goes with the character is created. He emphasizes that the character here should be of a typical character . Bee-Seok, Jeong considers the writing method of this type of character to divide into physical portrayal, expression portrayal, conversation description and psychological portrayal . On the other hand, he explains that the background should go well effectively with the character s characteristics and actions so it could be used as an assisting tool for the reader to get absorbed into the story. In the fourth chapter, the study looks into the matter of how the theories of writing method in the third chapter actually is used in Bee-Seok, Jeong s novel. The serial novel writing method is examined through the long novel 『Jayubuin(Free Lady)』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Seoul Newspaper, the love story writing theory is with the 7 pieces of short novel from the love story collection 『Saranghanun Saramdul(The Persons who are in love』, and the creation of typical character and the role of the background is examined by the early short novels『Seonghwangdang(Shrine)』 and 『Jolgokje(Offering)』. In fact, Bee-Seok, Jeong wrote many serial novels, but 『Jayubuin(Free Lady)』 created a sensation of them all. In every edition, it had a definite conclusion and at the same time it used techniques that would arouse the readers interest in the next edition. Also in the 7 pieces of the love story of 『Saranghanun Saramdul(The Persons who are in love』, all of the married show a schematic form of a love triangle. But a happy ending is not applied to all, as the way of the encumbrance is removed differently. On the other hand, 『Seonghwangdang(Shrine)』 and 『Jolgokje(Offering)』emphasizes the typical character by using the shamanic background. Bee-Seok, Jeong built a writing method specifically and in the smallest detail that corresponds with his literary world that thinks greatly of the reader. And abided the rules of the writing method he uses when he creates a work. By the production of his novels in this way, it was natural that he got the popular support from the readers of his time. ; 본 논문은 정비석의 소설 창작방법론이 구체적으로 그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 정비석 문학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있다. 정비석은 1936년에 등단한 이래 다수의 독자들에게 환영받는 소설들을 꾸준히 집필해왔다. 또한 그는 최초의 창작론 단행본 『소설작법』등 소설 창작방법과 관련된 저작도 다수 남겼다. 당대 독자의 호응과 문학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정비석은 문학사에서 대중소설 작가, 통속소설 작가 로 분류되어 평가절하 되어왔다. 본 논문은 정비석의 문학관과 작품이 저급한 수준의 대중(mass)을 위한 통속소설 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대중(popularity)을 위한 대중소설(popular fiction) 의 범주에 속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전까지의 문학 연구는 창작의 결과물인 작품에 한정되어 있었을 뿐, 창작의 과정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해왔다. 작가의 창작방법이나 창작과정(creative prossess)이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사건일 뿐, 과학적으로 검증될 수는 없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적극적인 연구 대상이 되지 못했던 작가의 창작에 관한 논의는 후기구조주의(post-structuralism)의 사유 안에서 비로소 가능하게 됐다. 대표적인 후기구조주의자 질 들뢰즈(Gille Deleuze)는 사건(event) 의 개념을 통해서 작가의 창작과정과 같은 생성(becoming)의 과정 자체를 의미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당시 다수의 독자에게 인기있는 소설들을 연달아 발표했던 정비석의 경우, 독자의 인기를 끌어낼 만한 독특한 창작방법론을 정립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작품에서 작가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존의 분석방법 대신에 작가의 창작방법론을 고찰한 이후 구체적인 작품을 살피는 방법을 택했다. 정비석의 창작방법과 관련된 저술들을 통해서 그의 창작방법의 특징을 파악한 후, 이 특징들이 그의 소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논문의 2장에서는 먼저 정비석의 소설과 창작방법에 대한 인식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비석은 소설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독자의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정비석은 소설의 출발점은 이야기에 대한 독자의 욕구에 있다고 본다. 이때 정비석이 소설의 창작과정에서 염두하고 있는 독자 란 산업사회에 새롭게 대두한 평민, 즉 대중을 가리킨다. 정비석의 관점에서 작가란 이제 더 이상 창작과정에서 절대자인 작가(author)가 아니라, 글쓰기를 전문적인 직업으로 삼고 있는 이야기꾼(story-teller)에 불과하다. 또한 정비석은 소설이란 결코 시대와 사상에 따라서 쉽게 변모해서는 안되며, 어느 시대에나 영원한 감격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비석은 보편적 주제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곧 연애 를 발견하게 된다. 남녀간의 연애, 특히 금기를 위반하는 열정적인 사랑(passionate love) 은 문학에서 영원히 반복되면서도 항상 새롭게 인식되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정비석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곧 다수의 독자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창작 방법론의 모색으로 이어진다. 3장에서는 정비석이 정립한 대표적인 창작기법(craft of fiction)을 크게 신문소설 창작론, 연애소설 창작론, 전형적 인물창조론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정비석은 독자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독자가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층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 작가의 입장에서는 전업 작가로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설의 발표 지면으로 신문을 높게 평가했다. 정비석은 신문소설이란 신문이라는 특수한 지면에 연재가 되기 때문에 1회분으로도 완결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 전체 독자층이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신문기업주의 요구조건에도 응해야 한다는 세 가지 특수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정비석은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신문소설의 주제가 기사와 마찬가지로 첨단적이어야 한다는 점, 사건은 복잡하고 기복이 중첩되어야 한다는 점, 문장은 쉽게 쓰고 호흡이 빨라야 한다는 점등을 창작 기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애소설 창작론에서는 관습적(conventional)으로 굳어진 도식성(formula)과 작가의 개성이 적절히 조화된 연애소설만이 다수의 독자에게 익숙하게 읽히면서도 참신함을 전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소설의 진행에 있어서 등장인물간의 갈등(conflict), 행복한 결말(happy-ending) 등은 도식성의 원칙을 따라야 하겠지만, 인물간의 관계 묘사와 심리 묘사 등은 치밀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비석은 소설의 구성요소(elements of fiction)인 인물(character), 사건, 배경(space) 중에서 인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므로 작가는 소설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인물을 먼저 설정한 후 그에 어울리는 배경을 설정해야 한다고 본다. 이때 소설의 인물이란 보편성을 중심으로 개성이 부가된 전형적 성격 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비석은 이같은 인물의 창작 기법을 크게 신체묘사, 표정묘사, 회화(conversation)묘사 와 심리묘사 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있다. 한편 배경은 인물의 성격과 행위에 효과적으로 어우러져서 독자로 하여금 소설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보조적 장치로 이용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창작방법론의 이론들이 실제로 정비석의 소설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했다. 서울신문에 연재됐던 장편소설 『자유부인』을 통해서 신문소설 창작론을, 연애소설집 『사랑하는 사람들』에 실린 7편의 단편소설을 통해서 연애소설 창작론을, 그리고 초기 단편소설(short fiction)인 『성황당』과『졸곡제』를 통해서 전형적 인물의 창조와 배경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실제로 정비석은 많은 신문연재소설을 집필했는데, 그 중에서 당대 독자의 가장 커다란 반향을 일으킨 작품이 바로 『자유부인』이다. 이 작품은 매회 소설(novel)이 한 회분으로써 완결성을 지님과 동시에 차회(次回)에 대한 독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기법들이 쓰이고 있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들』의 연애소설 7편은 모두 기혼자들의 삼각관계라는 도식성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소설의 결말은 일률적인 해피엔딩이 아니라, 방해자가 제거되는 방식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성황당』과『졸곡제』는 샤머니즘적 배경을 장치로 이용하여 전형적인 인물을 강조하고 있다. 정비석은 독자를 중시하는 자신의 문학관에 부합할 수 있는 창작방법론을 구체적이고도 주도면밀하게 구축했다. 그리고 스스로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창작방법론의 규칙을 준수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작된 그의 소설이 당대 다수의 독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던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여겨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사 검토 = 1 B.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8 II. 정비석의 소설관과 창작방법에 대한 인식 = 14 A. 소설장르의 평민성과 장인적 작가의식 = 14 B. 소설장르의 탈역사성과 보편적 주제 탐구 = 23 III. 창작방법론의 내용 분석 = 32 A. 산업사회의 독자와 신문소설 창작론 = 32 B. 갈등구조와 연애소설 창작론 = 41 C. 배경묘사와 전형적 인물 창조론 = 49 IV. 창작방법의 실제적용 양상 = 57 A. 신문적 제약과 일회적 서술양식 = 57 B. 삼각관계의 갈등구조와 해소방식 = 66 C. 인물과 탈역사적 배경 = 74 V. 결론 = 82 참고문헌 = 8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7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비석 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