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정-
dc.creator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59-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구조주의 관점에서 음성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중세국어의 단모음 체계와 음운변화를 살펴보려고 한다. 각 장에 주요 논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I장은 연구목적과 방향 그리고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에 해당하는 서론부이다. II장은 계림유사 자료를 통해 전기중세국어 모음 음가를 추정한 부분이다. 필자는 계림유사 자료에 나타난 각 모음이 다양한 음가로 대응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기중세국어의 각 모음이 현대국어와는 달리 광범위한 음역(音域)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광범위한 음역(音域)이 존재하기 때문에 음역(音域)이 서로 겹친 부분이 있어서 혼기(混記)가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III장은 조선관역어를 통해 후기중세국어의 모음 음가를 추정하고, 전기중세국어의 모습이 통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 보았다. 필자는 조선관역어를 통해 후기중세국어에서도 음가의 다양성이 전기중세국어 때보다 못하지만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을 통해 필자는 전기중세국어의 광범위한 음역(音域)이 서서히 축소되고 있다고 추정했다. 또한 두 음역(音域) 사이에 중복되는 음가도 전기중세국어보다 줄어들어 음역(音域)의 축소와 함께 음역(音域)이 겹치는 부분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IV장은 구조주의를 따르는 연구에서 논의한 모음추이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는 부분이다. 연구자마다 모음추이의 시점을 다르게 말하고 있어서 정확한 모음추이 시점은 알 수 없으나, 중세국어에 모음추이가 있었다는 논의가 많다. 필자는 계림유사와 조선관역어를 통해 각 모음이 현대국어와 같은 위치에 있으면서 다양한 음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대국어와 같은 위치에서 광범위한 음역(音域)을 가졌다고 추정했다. 단지 후기중세국어의 음가가 전기중세국어보다 덜 다양하게 나타나 후기중세국어에 음역(音域)의 축소가 서서히 일어난 것으로 보았다. 즉, 필자는 중세국어에 각 모음의 연쇄이동은 없었고, 광범위한 음역(音域)이 서서히 축소된 것으로 보았다. V장은 성조(聲調)와 음역(音域)의 상관성을 기술하는 부분이다. O. Jespersen에 의하면 원시사회에는 tone이 발달하고 음정(音程)폭이 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를 통해 필자는 성조(聲調)와 음역(音域)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알아 보았다. 단음절어가 많아 성조의 기능부담량이 클 수 밖에 없는 중국어는 현대에도 성조가 쓰이고 있다. 필자는 중국어가 성조값에 따라서 운모가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같은 성조언어인 중세국어도 이러한 특성이 있어서 각 모음이 다양한 음가를 지닐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즉, 중세국어에는 성조로 말미암아 각 모음이 다양한 음가를 지닐 수 있어 음역(音域)이 넓었을 것으로 보았다. 현대 경상도 방언에는 성조의 흔적이 남아있는데 다른 지역과 다른 음역(音域)을 나타내면서 단순한 모음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세국어에서 성조와 음역(音域)의 상관성을 뒷받침할 만한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VI장은 본고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중세국어에 있었다고 보는 ‘모음조화’에 대해 기술하는 부분이다. 필자는 중세국어에서 모음조화가 이루어진 원인이 다음과 같다고 본다. 우선 음역(音域)이 중세국어에 광범위하게 존재해서 보다 자연스럽게 모음조화가 이루어졌으리라 본다. 또한 운율적 요소인 성조가 존재하여 운율감이 비슷한 모음끼리 서로 쓰였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음운론적 차원을 벗어난 원인으로 언중들의 의식이 일부 작용해서 의도적인 모음조화가 있었으리라 보았다. 필자는 모음조화 동요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고 본다. 우선 후기중세국어에 서서히 음역(音域)이 축소되기 시작하여 자연스럽게 일어나던 모음조화가 동요되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운율적 요소인 성조가 후기중세국어에 변질되기 시작하여 모음조화 동요에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성조의 변질은 음역(音域)의 축소 원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모음조화에 지대한 힘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했다. VII장은 구조주의 관점에서 음성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중세국어 단모음의 체계와 음운현상을 살펴 본 앞의 모든 논의를 간략하게 요약한 결론부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onophthong and the phoneme change of the middle Korean by a side view of phonetics from the structuralism point of view. The main discussion of each chapter will be introduced in the following. Chapter I is the introduction that the study purpose and the preceding studies is presented. In chapter II, the monophthong phonetic value of the preceding middle Korean was estimated from Kyerimyusa. The writer knew that each vowel in Kyerimyusa possessed the various phonetic value. This is the reason why each vowel in the preceding middle Korean possesed the wide sound area different from the modern Korean. And because of the wide sound area, the writer estimates that the sound area overlaped each other and the confused record was showed in the preceding middle Korea. In chapter III, the vowel phonetic value of the last middle Korea was estimated. The writer researched how the preceding middle Korean changed. So the writer knew that the last middle Korean also possessed the various phonetic value. But the vowel phonetic value of the last middle Korea was less various than the vowel phonetic value of the preceding middle Korean. The writer estimated that the sound area of the preceding middle Korea was reduced slowly. And the overlapping phonetic value among the sound area was also reduced in the last middle Korean. The writer estimates that the overlapping sound area was also reduced as the sound area was reduced. In chapter IV, the writer s opinion is presented for the vowel shift. Because each researcher disagreed to the viewpoint for the vowel shift, we don t know when the vowel shift happened. But the discussion about the vowel shift was presented frequently. The writer knew that the vowel phonetic value in middle Korea possessed the various phonetic value in the vowel position of the modern Korean, and estimated that the vowel of the middle Korean possessed the wide sound area in the vowel position of modern Korean. But because the phonetic value of the last middle Korean was less various than the phonetic value of the preceding middle Korean, the writer estimated that the sound area of the last middle Korean was reduced slowly. Therefore the writer assumes that the vowel shift didn t happen, and that the sound area was reduced slowly. In chapter V, the correlation of the tone and the sound area is presented. O. Jespersen researched that the tone developed in primitive society and the interval was broad, so the writer also researched the correlation of the tone and the sound area. The modern Chinese language which has many monosyllabic word uses the tone for the meaning discrimination. The writer knew that the rhyme of the Chinese language had the various phonetic value by the tone. So the writer estimates that the middle Korean which had the tone also possessed the various phonetic value by the tone. Namely because the middle Korean which had the tone possessed the various phonetic value, probably the middle Korean had the wide sound area. The Kyongsang-do dialect has the tone. As this dialect is different from the sound area of the other region, it appears the simple vowel system. This proves the correlation of the tone and the sound area. In chapter VI, the vowel harmony in the middle Korean is described. The cause of the vowel hamony is estimated like this. First of all, because of the wide sound area in the middle Korean, probably the vowel harmony appeared naturally. And because the tone which was the rhythmical element existed, it seems that the similar rhythmical element was used. Another cause is the mass sence. Namely the writer assumes that the intentional vowel harmony existed in parts. The cause of the vowel disorder is estimated like this. First, that the sound area was reduced is one of the causes. And the writer estimates that the change of the tone operated the disorder of the vowel harmony. Probably the change of the tone also operated the change of the sound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e tone was the powerful cause in the vowel harmony. Chapter VII is the conclusion.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onophthong system and the phoneme change of the middle Korean by a side view of phonetics from the structuralism ponit of view. In Chapter VII, the substance of this study is summari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I. 서론 = 1 A. 연구목적과 방향 = 1 B.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 5 II. 전기중세국어 모음 연구 = 13 A. 계림유사 자료를 통한 음가 추정 = 14 1. 우/오 의 음가 = 14 가. 우/오 의 음가 자료 = 14 나. 우/오 의 음가 추정 = 18 2. 어 의 음가 = 22 가. 어 의 음가 자료 = 22 나. 어 의 음가 추정 = 23 3. 으/□/아 의 음가 = 24 가. 으/□/아 의 음가 자료 = 24 나. 으/□/아 의 음가 추정 = 28 4. 이 의 음가 = 30 가. 이 의 음가 자료 = 30 나. 이 의 음가 추정 = 31 B. 전기중세국어의 모음 체계 추정도 = 32 III. 후기중세국어 모음 연구 = 35 A. 조선관역어를 통한 음가 추정 = 36 1. 우/오 의 음가 = 36 가. 우/오 의 음가 자료 = 36 나. 우/오 의 음가 추정 = 37 2. 어 의 음가 = 40 가. 어 의 음가 자료 = 40 나. 어 의 음가 추정 = 41 3. 으/□/아 의 음가 = 42 가. 으/□/아 의 음가 자료 = 42 나. 으/□/아 의 음가 추정 = 44 4. 이 의 음가 = 48 가. 이 의 음가 자료 = 48 나. 이 의 음가 추정 = 49 B. 후기중세국어 모음 체계 추정도 = 49 C. 후기중세국어 모음 혼기(混記) 자료 = 52 1. 우/오 의 혼기 = 53 2. 아/어 의 혼기 = 54 3. □/아 의 혼기 = 55 4. □/으 의 혼기 = 56 5. □/오 의 혼기 = 57 6. 으/어 의 혼기 = 57 IV. 모음 추이(推移)에 대한 견해 = 59 V. 성조(聲調)와 음역(音域)의 상관성 = 65 VI. 모음 체계와 모음 조화 = 70 VII. 결론 = 78 <참고문헌> = 82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9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세국어모음연구 : 음성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