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은경-
dc.creator심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58-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three playacted versions of the Life of Choonhyang in classic Chinese, which has drawn least atten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review. To put it precisely, this holistic scrutiny could be considered a more specific attempt to do a research on the Chinese versional Life of Choonhyang which has been recently studied against the preceding lopsided trend of research toward a particular version. It is a starting point that we categorized the unattended Life of Choonhyang s in Chinese as the playacted Chinese version, which had been outside of discuss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date and form. The first concern of this thesis is with the background under which the three Chinese dramas were created. Secondly, we further the discussion into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yacted works in Chinese. This thesis is wound up with the implications that the works dealt with here have. In chapter II, the background of the Chinese versional Life of Choonhyang plays are classified into two facets. We look into the cultural background that made possible the birth of the playacted versions on the one han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playacted Life of Choonhyang s written in Chinese showed up, the dramas which started flowing from China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ere popular among the intelligentsia, the facts of which had triggered the appearance of the imitated works. Gradually, the plays became the object of viewing other than that of reading, which could be observed in the various records that there were plays for Cheong people in the local area and plays from the western world as well. It can be assumed that the play came to be acknowledged as a genre through people s being exposed to the diverse kinds of plays. On the other hand, the gradual permeation and acceptance of the novels and Pansoris can be regarded as another background for the origination of playable works. The novel-version Life of Choonhyang was one of the most popular literary works and this popularity could be proven by the publication number of annotated and printed editions in that era. In addition, the way of enjoying the story had changed to seeing and listening through storytellers from reading on an individual basis. This widespread circulation of novels is the phenomenon not only reflecting on the public popularity but also showing the change in the common custom via the change in circulation and medium. In the meantime, the Pansori singers could secure the indoor theaters and thereby did not have to please only a small number of Yangbans, the ruling classes. Thus the Pansori versional Life of Choonhyang also had gradually joined the merrymaking and non-technical penchant. This popularization might arouse antipathy among the ruling classes who were inclined to be conservative. When it comes to the cultural background for the nativity of playacted versions, the elite continued to be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 in remaking the Life of Choonhyang under the cultural atmosphere where the intellectuals had a growing concern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ategory of novels. We, in particular, see to it that the personal backgrounds of the highbrows taking part in remodelling the work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ersonal lives of the playwrights themselves. To this end, we go over each biography of the three playwrights of the Chinese-written Life of Choonhyang. One of the writers, Soosan, the writer of the Kwanghallu Story, is unknown and has to be inferred regarding who and what he was based on the extant findings and the ideas and tastes revealed in the work itself. Meanwhile, the other two writers, Kyuhyong Yeo and Neunghwa Lee could be given a rather in-depth examination. Concerning these two writers, we made an attempt to review their personal lives and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ir creating motives and experiences of playgoing or reading. Regrettably, we could not assure any concrete evidences for laying out the form of the work, only to presume that there must to be some linkage between the writing and the way of living. The main task of chapter III is to give more specific analysis to each of the three plays. This chapter is two-fold in terms of content in that the first half focuses on the form change as time goes by and the second half on the common features of the three works irrespective of the change in form. Section A, titled the "Developments of the plays in Chinese," starts with an argument that the three works in question have chronological difference from one another. All these works are categorized as the dramas in Chinese in form but each of them has idiosyncrasies of its own. The Kwanghallu Story and Kyuhyong Yeo s Life of Choonhyang and Neunghwa Lee s Document on Choonyang belong to the modern period between the end of the 19C and the beginning of the 20C if broadly figured out. However, the facts are that each drama had appea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That is, Kwanghallu Story is at the initial stage of the playacted version, which had adopted the structure and mode of the so-called Miscellaneous Drama from China. Yeo s version assumes a mixture of the Miscellaneous Drama s traits and the traditional Pansori s elements while Lee s Document on Choonhyang is distinct in that it has even more of music than the others. Besides this transformation in character and form, the three common properties of the three works are summarized in section B. First of all, the subsection, titled the "Adjustment of Narration to Drama," examines the limitation of drama in comparison with the narrative technique of the existing genres, i.e. novel and storytelling part of Pansori. Secondly, we deal with two different matters, viz. development of events and impersonation. In the former, we give an overview of each work s detailed story and observe that the three dramas have the same intention to remove the nonrealistic elements out of the proto-story. For this sake, the plots of these three works are quite rational by way of adding, omitting, or remodeling some parts of the original one. On the other hand, we concentrate on the facts that the two protagonists, Choonhyang and the young man Mr. Lee, are given a realistic description. The last subsection studies some expressional qualities under the rubric of "Lyricism in Place of Obscenity." The implications of the Life of Choonhyang in terms of transmission can be seen from two different angles. They are the implications foun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ose in contact with the performance culture. Life of Choonhyang has succeeded to the recorded drama and settled it as a genre.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Korea s drama was not autogenous but heterogeneous imported from the western soil, the three versions of the Life of Choonhyang can be evaluated as having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first recorded drama, the Easter Corridor Story and rooted this genr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Moreover, the three works had tried to provide the minority of intellectuals, hav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with something to read and open a new genre of literature, all of which are evident in the differentiated format from other popular novels and the writing system, i.e. Chinese characters. In content, we can witness some such conservative aspects as class consciousness, which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Life of Choonhyang written in Chinese. Despite this, the metamorphosis of the form is noteworthy. The Chinese versions had been conversed on fuller-scale from the music piece, Kwanghallu and this switchover is also represented in the versions written in Korean. In a nutshell, the playacted Chinese versions of the Life of Choonhyang are unique in the sense that they creatively employed the novel and Pansori versions during th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this aspect of which displays the turnover toward the drama genre. In the meantime, the grafting between the drama and the performance can be viewed as one of the attempts to seek the implications uncovered in the history of modern culture. The section pivots on the later works, viz. Yeo s and Lee s versions. On the contrary to the Kwanghallu Story, these two versions are distinguished from the Western Corridor Story, representative of the Miscellaneous Drama of China. This discreteness is somewhat related to the facts that in that era, Chang-geuk was in fashion, which was transformed from Pansori. The Chinese versional drama, Life of Choonhyang, furnishes a critical clue to the pedigree and significance of the Choonhyang story since its author and date are rather easily identified than the other Korean versions. The adaptations made by the educated class should not be simply looked upon as a spasm of bantering or sporting. Rather, they are influential in that they at least set the tradition of a new literary genre, that the intellectuals made an attempt to engage in the stream of performance culture as a professional playwright, and that at length, the educated scholars made a concrete effort to manifest their conservative consciousness through the literature against the popular culture, prevailing in the modern society. The works in dispute have sufficient implication, considering that they are created as an endeavor for the intellectuals to recover their flimsily remaining influence upon culture by means of highlighting the class consciousness into the most popular literary work. The continuous concern and study on the Chinese versions of the Life of Choonhyang could proffer a keynote to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phases in the Choonhyang story during the civilizing age, which has been barely discussed. ; 본고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소설인 <春香傳>의 연구사에 있어서 연구자의 관심 밖에 놓여져 있는 한문으로 쓰여진 연본 형식의 <춘향전> 이본 세 작품을 고찰하였다. 이 한문 연본 형식의 <춘향전>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는 특정 이본에 집중되어 있는 <춘향전>의 연구사적 반성의 일환으로 행해지고 있는 <춘향전> 한문본에 대한 관심을 좀 더 구체화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춘향전>의 한문본 중에서도 시기와 형식의 애매함으로 논외로 밀려있던 작품들을 하나의 漢文演本이라는 범주로 묶어서 논의하였다는 것을 연구의 시작으로 삼는다. 본고에서는 우선, <춘향전> 한문연본 세 작품의 형성 배경에 대해 논의하고, 다음으로 시기적 간극에 따라 전개되는 양상과 한문연본의 내용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이 한문연본이 지니고 있는 의의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II적 배경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춘향전> 한문 연본이 출현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문화적 환경은 조선 후기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중국의 희곡 문학이 지식인층 사이에서 널리 읽혔으며, 중국 희곡의 유행은 이와 유사한 모방작이 출현하기에까지 이른다. 시기를 뒤로하면서, 중국의 劇 문화를 희곡이라는 문헌의 형태로 접하던 것에서 벗어나,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던 청인들을 대상으로 한 중국 연극 뿐 아니라, 서구의 극을 직접 관람한 기록들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는 다양한 관극의 경험을 통하여 서서히 劇에 대한 장르 인식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시에 소설과 판소리가 점차적으로 그 확대되어 수용되는 배경이 연본이 형성될 수 밖에 없었던 또 하나의 배경이 된다. 소설 <춘향전>은 당시에도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었다. 이러한 인기는 방각본과 활자본의 간행 횟수로 짐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향유 방식 역시도 개별적인 읽는 방식에서 전기수를 통해 보고, 듣는 방식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소설 유통의 확대는 대중적인 인기를 반영하는 현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통 확대와 향유 방식의 변화에 의한 통속성의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판소리로 향유되던 <춘향전> 역시도 판소리 창자들이 옥내 극장을 확보하면서, 더 이상 소수의 양반층의 취향에 영합하지 않아도 되는 여건을 마련하게 되면서, 점차 유흥적이고 통속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통속화 경향은 보수적 경향을 지녔던 양반층의 반감을 불러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지식인층의 소설에 대한 관심 확대와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 등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지식인층이 <춘향전>이라는 작품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개작에 참여한 전통을 연본 형성의 문화적인 배경으로 보았다. 특히, 개작에 참여한 지식인층의 개인적인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한문 연본 작자들의 개인적인 배경과 연관지어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춘향전> 한문 연본 작가 세 사람의 개인적인 생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정확한 작가명과 그 생애를 알 수 없는 <廣寒樓記>의 작자인 水山 선생에 대해서는 기존의 논의와 실제 작품에 드러나는 작가의 의식과 경향을 토대로 작자 추정을 하였으며, 여규형과 이능화는 수산 선생에 비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여규형과 이능화에 대해서는 그들의 개인적인 생애를 검토하고, 창작 배경에 대하여 그들의 관극 혹은 독서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 형식의 구상 등을 밝히려고 시도하였으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추정에 그친 것이 아쉽다. III장은 <춘향전> 한문연본 세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의 장으로 삼았다. Ⅲ장 역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는데, 앞의 부분은 세 작품이 시기적 간극을 두고, 형식적으로 변모해 나가는 양상을 살폈고, 뒤의 부분에서는 앞서 논의한 형식적인 변모를 거듭하면서도 연본 세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A.한문연본의 전개 양상은 세 작품이 각 작품별로 시기적 간극이 있다는 것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각 작품은 형식적인 면에서 한문연본이라는 범주에 속하기는 하나, 작품별로 형식적인 측면에서 개별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에 이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한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廣寒樓記>와 呂圭亨本 <春香傳>, 李能和의 <春夢緣>은 그 창작 시기가 넓게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의 근대기에 함께 속하나, 각 작품별로 볼 때에는 각각 그 시기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廣寒樓記>는 한문연본 중에서도 중국의 잡극본의 체제와 표현 양식을 거의 그대로 수용한 가장 초기적 형태를, 呂圭亨本은 잡극본의 체제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면서 판소리적 전승의 성격이 강화된 혼재 단계를, 李能和의 <春夢緣>은 음악적인 요소가 가장 강화된 단계로, 시대의 추이에 따라 그 성격과 모습이 변모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B.에서는 <춘향전> 한문 연본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세 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첫 번째, 서사의 희곡적 조정에서는 기존의 소설과 판소리 사설을 기본으로 하는 서사기법과 차별성이 부각되는 특징을 희곡 장르의 제한성에 맞추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현실적 조정과 합리성 추구에서는 사건 전개와 인물의 형상화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사건 전개에서는 <廣寒樓記>, 呂圭亨本 <春香傳>, <春夢緣> 세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의 전개를 개조식으로 정리한 다음, 이 작품들이 저본으로 삼은 기존의 <춘향전>과 비교하여 내용상에서 첨가되거나 탈락된 부분, 혹은 변개된 부분이 비현실적 요소를 제거하고, 사건 전개를 합리적으로 시키기 위한 일정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는 점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한문연본에서 형상화된 인물들의 특징을 살펴본 부분에서는, 춘향과 이도령의 인물 형상화가 현실적으로 그려지는 있는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의 서정성의 확대와 외설성의 제거는 표현상의 특질을 살펴보기 위한 장으로 삼았다. IV장에서는 <춘향전> 한문연본이 갖는 전승사적 의의를 문학사적 의의와 당시 공연문화와의 접맥의 두 측면에서 부여하였다. 우선, 문학사적 의의에서는 문헌 희곡이라는 장르를 계승하고 정착시킨 면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춘향전> 한문연본 세 작품은 우리나라의 희곡이 자생적인 토대가 없이 서구의 유입으로 인하여 정착한 장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시점에서 <東廂記>라는 최초의 우리나라의 문헌 희곡의 전통을 계승하고 정착시킨 작품들로 평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중적인 소설과는 차별된 형식과 한문이라는 표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소수의 한문 지식인층을 위한 읽을거리를 제공하고, 새로운 문학의 장르를 시도한 노력으로 보여진다. <춘향전> 한문연본은 내용에 있어서는 작자 계층 의식과 일맥상통하는 보수화 된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것은 기존의 한문본 <춘향전>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주목하여 살핀 것은 그 형식의 변모에 있다. 한문본에서는 <廣寒樓樂府>에서 비롯한 극으로 전환 방향을 더욱 본격화시킨 작품이며, 이러한 극적인 변모는 한글본에서도 공히 나타나는 방향성이다. <춘향전> 한문연본은 근대 문학기에 판소리와 소설로 전승되던 <춘향전>을 창조적으로 수용한 양상을 보여주는 이본이며, 이러한 양상은 당시의 극적인 환경을 수용하여 劇的 전환이라는 일정한 방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이본사적 위상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한문연본과 당시의 공연문화와의 접맥 시도에서는, <춘향전> 한문연본이 가지는 근대 문화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개하였다. <춘향전> 한문연본 중에서 특히, <廣寒樓記>에 비해 후기에 개작된 呂圭亨本과 李能和 <春夢緣>에 주목하여 이 장을 전개하였다. 呂圭亨本과 <春夢緣>은 <廣寒樓記>와 비교해 볼 때, 중국의 대표적인 잡극본인 <西廂記>와 차별성이 부각되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차별성은 당시에 판소리가 공연의 형태로 자리잡은 창극이 공연되던 때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의의를 살펴보았다. <춘향전> 한문연본은 다른 한글본들에 비하여 비교적 그 작자와 창작연대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어, <춘향전> 전승과 시대적 의미 등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학 지식인층이 <춘향전>이라는 대중적인 소설 작품을 개작한 것을 단순한 戱作이나 弄筆로만 여길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초보적으로는 새로운 문학 장르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점에서, 더 나아가는 근대 문화기에 성행했던 공연문화에 전문적인 극작가로서의 참여 시도라는 점에서, 또한, 통속적 분위기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근대 대중문화에 대한 한학 지식인층의 보수적 의식 발현의 구체적 노력으로까지 그 의미를 넓혀볼 수 있기 때문이다. <춘향전> 한문연본은 사회 정치적인 입지가 좁아진 한학 지식인층이 가장 대중적인 작품을 자신들의 계층 의식을 강하게 부각시킴으로써 미약하게나마 남아있는 문화적 역량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만으로도 그 존재 의의가 충분한 작품들이다.마지막으로, <춘향전> 한문연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연구는 그동안 미흡했던 근대 개화기의 <춘향전>의 수용과 변모 양상을 파악하고 정리하는 문제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리라 보여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ii I. 서론 = 1 II. 한문연본 형성의 배경과 저작 배경 = 9 A. 한문연본 출현의 문화적 배경 = 9 1. 새로운 장르에 대한 경험 확대 = 9 2. 판소리와 소설 전승의 통속성 비판 = 14 3. 소설에 대한 지식인 계층의 관심 증대 = 22 B. 한문연본의 作者와 著作의 배경 = 27 1. 작자의 개인적 생애와 성향 = 27 2. 저작의 과정과 양상 = 32 III. 한문연본의 전개 양상과 내용적 특성 = 47 A. 한문연본의 전개 양상 = 47 1. <廣寒樓記> : 중국 잡극본을 수용한 초기적 단계 = 47 2. 呂圭亨本 <春香傳> : 판소리적 전승과 잡극본 형식의 혼재 = 51 3. <春夢緣> : 대중 음악극으로의 본격적 시도 = 54 B. 한문연본의 내용적 특성 = 62 1. 서사의 희곡적 조정 = 62 2. 현실적 조정과 합리적 추구 = 65 3. 서정성의 확대와 외설성의 제거 = 89 IV. 한문연본의 위상과 전승사적 의의 = 96 A. 문헌희곡전통의 계승과 변용 = 96 B. 공연문화와의 접맥 시도 = 103 V. 결론 = 108 참고문헌 = 113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20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춘향전' 漢文演本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