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성미-
dc.creator조성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55-
dc.description.abstract월북 은 이미 시대의 조류 속에 침전된 주제이다. 오늘날은 탈냉전 선언과 이데올로기가 종언되면서 쉽게 평화와 화해의 담론이 유포되었지만, 분단현실은 여전히 거칠고, 사나우며, 폭력적이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월북자가족은 전쟁 중에 가족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월북하게 된 사람들이다. 그동안 월북자가족이 공무원이나 대기업과 같은 안정된 영역에 진출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차단되어 있었다. 이 글은 월북자가족에 대한 억압이 어떻게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는가라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월북자가족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들이 경험한 월북과 국가권력의 경험들을 드러내고, 금기의 형성과 지속될 수 있었던 내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면접 결과에 따른 월북에 대한 다양한 발생 맥락과 이 사실에 대한 월북자가족의 기억과 대응 방식, 국가권력의 경험과 그 원리 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쟁 시기에 발생한 월북은 그 상황과 맥락이 매우 다양했다. 개인적 정치적 지향에 의해서 자발적으로 시도한 월북, 학교나 직장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한 경우와 그 외의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자진 월북자들은 전쟁 이전부터 일제에 대한 항거의 사상적 기반으로 사회주의를 활동을 했던 사람들로, 전쟁이 일어나자 월북한 경우이다. 집단 월북은 전쟁 초기에 인민군의 동원에 의해서 단체로 군대에 지원하면서 발생한 월북이다. 그 외에 피난길에 헤어지거나, 갑자기 사라진 경우는 기타에 해당한다. 이처럼 월북이 발생한 상황을 살펴보면, 단순히 사상적 이유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상황적 맥락도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두 가지 역사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선 그 이유가 다양하기 때문에 월북을 반역의 의미로 획일화하여 규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자진 월북자의 경우, 일제 점령에 대한 항거의 사상적 기반으로 사회주의를 공부하거나 활동했기 때문에 월북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위해서는 남한의 정권 중심적 역사인식을 벗어나 분단사 전체를 조망하는 입장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월북자가족은 분단 이후 남한에 형성된 반공 이데올로기에 의해 강제적으로 금기에 연루된 사람들이다. 그동안 월북자가족은 사상적 문제로 혐의를 받거나 심지어 간첩과 내통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수시로 국가의 감시를 받거나 구금을 당하기도 했다. 또한 연좌제로 인하여 국가고시에 지원하여 고위 공무원이 될 수 없었고, 대기업이나 은행에 취직하는 것도 제한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집단월북자가족은 월북에 대한 기억을 진술함에 있어 매개자를 등장시키는 공통점이 보이고 있다. 월북 사실을 발화할 때 매개자가 전해주었던 소식이라고 전함으로 월북은 간접적인 경험이 된다. 월북 사실에 대한 기억을 진술하는 집단 월북자의 가족들은 자신의 경험이 아닌 매개자가 전해주는 소식으로서의 월북을 연구자에게 설명하였다. 대부분의 월북자가족들은 북한에 있는 가족(월북자)가 죽었을 것이라고 말했으나 실제로는 언젠가 그들을 만날 것을 예상하여 선물을 준비하는 등의 모순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기억의 구조에 매개자를 등장시키는 것과 월북자의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생존을 기대하는 행동들은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전략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월북자가족은 월북을 간접적으로 말하고, 월북자가 죽었다는 사실을 통해서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연좌제로 인하여 차별과 배제가 있는 사회 영역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선택하지 않았다. 이것을 적극적 회피로 명명할 수 있다. 차별과 배제가 예상되는 사회 영역을 선택하지 않음으로 해서 피해를 덜 경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국가의 통제와 억압적 통치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었다. 적극적 회피란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장애가 되는 것을 자발적으로 선택하지 않음으로 차별과 배제의 경험을 예방하고 자신의 삶에 개입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와 더불어 월북자에 대한 침묵 역시 반공 중심의 사회에서 필요한 삶의 방식이었다. 생존 여부가 불명확하지만 사망신고하고, 제사 등의 공식적인 죽음의 절차를 밟아서 월북 자가 자신의 삶에 등장할 소지를 없애고 침묵하였다. 이러한 행위들은 월북자가족이 남한 사회에서 예상되는 차별과 배제,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월북자가족에 대한 억압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빨갱이라는 상징을 현실 속에서 처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금기의 의미와 그 제도화에 기인한다. 월북자는 발생 상황에 대한 고려없이, 빨갱이라는 의미로 이해되었으며, 연좌제는 그러한 사실을 확증하는 제도였다. 여기에는 개인을 가족의 일원으로만 간주하는 국가권력의 가족주의적 태도가 전제되어 있다. 국가권력은 혈연관계로 진단할 수 없는 정치적 지향의 문제를 혈연의 문제로 소급시키는 가족주의적인 태도를 드러내었다. 또한 반공법, 국가보안법과 같은 제도를 통해서 남한에 부재하는 월북자를 상정하여 가족에게까지 그 혐의를 두고 통제하였다. 둘째는 월북과 월북자에 대한 의미가 사회적 금기로 개인과 사회 내에서 의미체계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월북은 국가와 사회, 개인의 각 차원에서 내적으로 연관된 의미였다. 그 의미는 주관적인 차원에 제한되지 않고, 사회 각 체계에서 현실적인 구속력을 가지고 있었다. 의미가 각 차원에서 내적연관을 형성하면서 하나의 사회적 질서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실제로 월북자가족의 피해 경험은 국가권력뿐만 아니라 사회와 주변 이웃에게까지 확장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월북자가족이 단지 혐의만으로 이러한 피해를 경험하였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폭력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기실 월북자가족의 사례는 우리 사회가 폭력적인 질서로 유지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폭력적 질서는 금기의 상징과 제도화, 개인과 사회의 실천을 통하여 유지되며, 구성된 혐의만으로 개인을 구속하고 억압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국가폭력이 시간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금기의 의미체계 형성과 폭력적 질서를 통해서 가능했다. 월북은 현실 속에서 어떻게 금기가 어떻게 형성되고 지속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문제이다. 월북자가족은 분단사회에서 형성된 금기로 인하여 억압적이고, 제한된 삶을 살아왔다. 그 동안 월북에 대한 사실이 왜곡되면서 형성된 금기는 제도화되고, 의미체계로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월북자가족들은 부당한 피해를 경험하고, 선택이 제한되었다. 분단 사회에서 영역화 한 금기의 의미와 현실들을 파기하고자 한다면 일상 속에서 관례화 된 폭력과 질서를 차분히 성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 The topic of wolbuk - going to North Korea by its definition, has been remained something of taboo in South Korea, effected by political and ideological winds. Though the end of cold war and relaxation of ideological conflicts made it more acceptable to raise questions about peace and compromise between two countries, the reality of our society as a divided country still make wolbuk a touchy subject. Wolbukja Family , which I focused on in this study, means a family which has a family member who escaped from the South Korea to the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Members of wolbukja family have been tacitly and strongly discriminated in getting promising job such as employee of government and large enterprise which are pressured by government.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that how this covert and entrenched discrimination against wolbukja family could have worked and maintained so successfully for such a long time. I interviewed with members of wolbukja family closely, asking their experiences of having their family members in the North Korea and experiences with public power, expecting to find out how social taboo could be maintained and formed by public power.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olbuk happened with various motives and reasons during the Korean War. It occurred when an individual was politically-oriented, or it took place collectively ignoring individual ideological preference. Most of people who voluntarily went to the North Korea were people who had acted as agents in the communist resistance against Japan as a way of anti-colonial movement or intellectuals of communist par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moved to north where communism had gained an advantage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Collective moving to the North Korea ,however, occurred without giving consideration to individual preference. People who were forced to move to the north, drafted by the People s Liberation Army, also ended up with wolbukja after the Korean War. These facts give us two important points of views. First, due to various reasons of wolbuk, it is unfair to regard wolbuk as a traitorous behavior uniformly. Secondly, as most of voluntary escapers were people who had become communists to be members of the resistance as a way of anti-colonial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re points of views of history is required to understand wolbuk well. Wolbukja family was doomed to be victims of witch-hunt. Members of wolbukja family were questioned their ideology. They were suspected as messengers of spies. .They were even imprisoned unjustly by public force. The guilt -by- association system, which was applicable to wolbukja family in general, enabled government to suppress the members of wolbukja family effectively, for example, manipulating official but tacit discrimination in getting good positions in the government, banks and large enterprises. Awaring of this particular situation above-mentioned make it easier for us t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wolbukja family have strong tendencies of bringing mediators into conversation when they state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wolbuk; They shut out their own memories related to wolbuk by keeping stating some other person s experiences avoiding speaking of their own experiences. Most of members of wolbukja family I interviewed said that their family members in the North Korea must have died . It seemed, however, they were still expecting their family members underneath, for instance, buying some presents for them in case they meet each other. Shutting out the memory about him, admitting his death officially while on the other expecting meeting him underneath, these behaviors shows us that members of wolbukja family have strategies which effectively worked in the society which is so harsh on people who are related to communist. They managed to reduce the risks of conflicts in social relations to the minimum by avoiding talking about their brothers or Fathers in the north, making his death clear officially, talking about other person s experience when it comes to wolbuk. They chose their careers which was not connected to public service to avoid being victims of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n active waiving , as it is called, a defence mechanism, a conduct of life shunning certain risks and involvement when it is sure they are at a disadvantage. Reticence about his family members in the north was also necessary for him to conduct his life in the anti-Communist society. Noticing his family members on the death certificate, performing rites on the dead ritually, also could be understood as ways of survival. There are two main reasons that suppression of public power has been successfully effective in Korea. First, by making the taboo and systems that can punish the so-called Reds in real world, which is only a symbolic meaning, wolbukja is treated as Reds without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wolbukja s situation The guilt-by association system was typical example of this case. This characteristic of public power defines the person as a member of family not as an individual, so it believes that the matter of individual s political tendency can be also under influence of kinship. They also controlled the wolbukja family with Anti-Communist Law and National Security Law. Secondly, The themes about wolbuk and wolbukja was treated as social taboo which formed the special meaning system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Wolbuk has mutually connected meaning between society and state, or among individuals. It also has practical binding power and controls the social order. In fact, the wolbukja families are harmed by not only from public power but also society and neighborhoods. The fact that wolbukja family is questioned its ideology and harmed only because its member lives in the North Korea shows violent aspect of our society. In fact, this wolbukja case shows that our society has been maintained by order by force. Order by force was maintained by practicing the symbolized and systematized taboo . Its character is binding and suppressing individuals with suspicion. State violence can get the meaning and existence by forming meaning system and order by force. Wolbuk has been understood without consideration on its various backgrounds. It became a settled, institutionalized taboo subject working as an effective symbolic power of controlling society. Further illumination can be had from understanding of its core which is abusive public force and symbolic pow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연구문제 = 3 1. 연구의 관점 = 3 2. 연구문제와 연구의의 = 6 제3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10 1. 연구대상 = 10 1) 월북 시기에 따른 개념적 정의 = 11 2) 면접대상자 선정과 특성 = 16 3) 면접대상자의 인적 사항 = 17 2. 연구방법 = 19 1) 심층면접 = 19 2) 심층면접 진행과정 = 19 제2장 전제적 논의 = 24 제1절 월북 의 의미체계 = 24 1. 의미와 의미체계 = 24 2. 관례화 된 의미와 월북 = 27 제2절 기억의 사회학적 고찰 = 29 제3절 연좌제의 사적 고찰 = 36 제3장 월북자가족의 기억과 망각의 서사구조 = 43 제1절 월북자가족의 기억과 망각의 서사구조 = 43 1. 월북의 형태와 시기 = 44 1) 월북의 형태 = 44 (1) 집단적 형태의 월북 = 45 (2) 사상적 지향에 따른 선택 = 50 (3) 기타 = 54 2) 전쟁 중의 월북 시기 = 56 2. 월북 에 대한 기억의 서사구조 = 58 1) 기억의 서사구조와 매개자의 역할 = 59 2) 정보에 기반한 기억의 구성 = 61 3) 매개자없는 집단월북자가족의 기억 = 63 제3절 월북자 에 대한 망각의 서사구조 = 67 1. 망각의 방식 = 67 1) 최명연의 사례분석 = 67 (1) 월북자의 가족으로서의 죽음의 인정 = 67 (2) 사망신고와 족보에 나타난 망각의 서사구조 = 69 2. 월북자가족의 망각 = 72 1) 월북자에 대한 기억의 소멸 = 72 제4장 국가권력의 통치전략과 월북자가족의 대응방식 = 78 제1절 월북자가족이 경험한 국가권력 = 78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월북자가족들의 경험 = 78 2. 전쟁 초기의 경험 ; "세상이 바뀌었다”의 두 가지 의미 = 83 3. 분단 이후 국가권력의 경험 = 86 1) 사회생활의 제약 = 87 2) 일상생활의 감시 = 90 3) 우편 검열 = 93 4) 감시와 검열의 효과 = 96 제2절 월북자가족에 대한 국가권력의 지배전략 = 98 1. 연좌제와 일상생활 = 100 1) 연좌제에 나타난 지배전략과 가족주의 = 103 2. 국가권력의 통치원리 = 105 1) 반공과 가족주의 = 105 2) 국가폭력과 폭력적 질서 = 108 (1) 국가폭력과 폭력적 질서의 확장 = 108 (2) 금기(禁忌)의 상징화 = 111 제3절 월북자가족의 대응방식 = 113 1. 적극적 회피 = 113 2. 침묵 = 116 제5장 결론 = 121 참고문헌 = 126 부록 = 130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54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월북자가족의 생활경험과 월북의 의미체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