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희-
dc.creator이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8-
dc.description.abstract2000년부터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인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학생의 능력을 고려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이 도입되었다. 수준별 수업은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결정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성적을 좌우하는 것은 인지적인 영역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그 행동이 나오게 되는 기본 바탕인 정의적 특성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그러므로 수준별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에 따른 정의적인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별 집단(상, 중, 하)에 따라 나타나는 수학불안의 하위요인(수학교과요인, 성취요인, 인지요인 및 부정적 생각, 수학에 대한 태도, 교사변인 )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학업 성취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을 원인의 소재와 안정성차원 그리고 통제차원에서 어디에 귀인시키는지 살펴보았으며 각 수준 집단이 가지는 수학에 대한 능력자아개념과 성취자아개념이 얼마나 긍정적인지 또는 부정적인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 중· 하 그룹에서의 학년간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의 요인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연구문제1. 학업 성취 수준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 불안 요인은 무엇이며, 학년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수학불안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학업 성취 수준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의 양상은 원인소재, 안정성, 통제성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또한 학년에 따라 귀인양상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학업 성취 수준의 차이에 따라 수학에 대한 학업적 자아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학년에 따라서 학업적 자아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 수준과 학년 차이에 따른 수학불안의 측면. 상위수준의 1학년 학생들은 성취 요인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았던 반면 상위 수준의 2학년과 3학년에서는 교사요인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3학년에서 더 많은 불안을 나타냈다. 중위그룹의 학생들은 1, 2, 3학년 학생들 모두가 학업성취에 대한 강한 불안을 나타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성취에 대한 불안이 정도가 심해짐을 알 수 있다. 하위그룹의 학생들은 1, 2, 3학년 학생들 모두가 학업성취에 대하여 높은 불안을 가지고 있고 이는 중위 그룹의 학생들보다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높은 불안은 교과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에 수준과 학년에 따른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의 측면. 상위수준, 중위수준, 하위수준의 모든 그룹들은 학업성취의 성공에 대하여 원인소재 차원에서는 내적으로, 안정성차원에서는 안정성으로, 통제성 차원에서는 통제가능으로 귀인하였다. 반면 학업성취의 실패에 대해서는 원인소재에서 외적으로, 안정성 차원에서는 불안정으로, 통제성 차원에서는 통제불가능으로 귀인하였다. 셋째, 학업성취수준과 학년에 따른 학업적 자아개념의 측면.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과 수학성취에 대한 자아개념이 상위 수준의 학생들과 1학년 학생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상위 수준과 중위 수준의 학생들은 수학성취에 대한 자아개념보다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나 하위수준의 학생들은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보다 수학성취에 대한 자아개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상위수준과 중위수준의 그룹에서는 2학년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나 하위수준에서는 1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업성취수준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의 역할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상위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소그룹활동이나 동료수업(peer-work)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과제를 선정하고 해결하게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교사에 대한 불안요인을 해결해 볼 수 있게 해 준다. 둘째, 중위그룹의 학생들은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켜 주면 충분히 상위 수준의 상황으로 발전될 수 있으나 지금의 상황을 방관하면 수학불안이나 자아개념이 하위그룹의 수준으로 바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위권 학생들의 수학성취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하위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수학을 추상적인 과목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조작물을 학습에 활용하고 용어나 기호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해 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과제에 대하여 구체적인 피드백을 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은 교사가 가지는 부정적인 선입관에 의하여 학업성취 가능성마저도 없어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하위수준의 학생들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을 갖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executed since 2000, which is a student-centered educational program, considers students abilities, and introduces an educational process by levels. Lessons by levels are decided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egrees, but what decides students school records is not only limited to cognitive areas but also depends on affection characters, grounds from which behaviors com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scholarly achievement levels in lessons by levels, it is necessary to concretely know affection characters according to students achievement level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bout mathematics anxiety s sub-factors(learning curriculum factor, achievement factor, recognition factor & negative thoughts, attitude to learning, teacher variable) shown by each group of each scholarly achievement level(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s). The study examined which the reasons of scholarly achievement success & failure attributed into, reasons sources, stability of causality dimension, or control dimension. The study also examined how affirmative or how negative the ability self concept and the achievement self concept that each level group s students have toward learning. And the study analyzed the school years differences in each group,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s.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Study subject 1. What are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factors shown according to differences of scholarly achievement levels? What are mathematics anxiety factors shown according to differences of school years? Study subject 2. How are attribution aspects of students scholarly achievement success & failure by scholarly achievement levels shown according to reasons sources, stability of causality , or control? Also, how do they change according to school years? Study subject 3. How are students scholarly self concepts shown according to scholarly achievement levels? And how do students scholarly self concepts change according to school years? Study subject 4. What relations are shown among mathematics anxiety, attribution into scholarly achievement success or failure, and self-concep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athematics anxiety shown by scholarly achievement level differences and school year differences is as follows; First year students of higher rank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toward achievement element, on the contrary,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higher ranks showed the highest anxiety level toward teacher element. In particular, third year student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nxiety in general. First, second, and third school year students of middle rank showed a serious anxiety toward scholarly achievement. The higher was their school year, the stronger did students anxiety toward scholarly achievement become. First, second, and third school year students of lower rank showed a serious anxiety toward scholarly achievement, which anxiety degre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ddle group s students. Secondly high anxiety was curriculum element. Second, the attribution toward scholarly achievement and success & failure is as follows; All groups of higher rank, middle rank, and lower rank are attributed into the internal in the dimension of reasons sources, the stability of causality in the stability of causality dimension, and the possibility of control in the control dimension, toward success of scholarly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hey are attributed into the external in the dimension of reasons sources, the instability of causality in the stability of causality dimension, the impossibility of control in the control dimension, toward failure of scholarly achievement. Third, the study results of scholarly self concept are as follows; Self-concept about learning ability and self-concept about learning achievement of higher rank s students and first year students were high. Self-concept about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in higher rank and middle rank was lower than their self-concept about learning ability. Self-concept about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in lower rank was higher than their self-concept about learning ability. In the groups of higher rank and middle rank, scholarly self-concept of second year students was high, but in the group of lower rank, scholarly self-concept of first year students was high. Fourth, analysis on relations among mathematics anxiety, attribution, scholarly self-concept proved that the higher was the degree of mathematics anxiety, the lower was the level of scholarly self-concept; the attribution level was low like into the internal, stability of causality , possibility of control, toward success, and it was high like the external, instability of causality , and impossibility of control, toward fail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8 II. 이론적 배경 = 9 A. 수학불안 = 9 1. 수학불안 = 9 2. 수학 불안과 수학 성취도 = 12 3. 수학불안요인 = 14 1) 수학교과요인 = 14 2) 수학성취요인 = 14 3) 인지요인 및 부정적 생각 = 15 4) 수학에 대한 태도 = 15 5) 교사요인 = 16 B. 학업적 자아개념(Academic self-concept) = 18 1. 학업적 자아개념 (Academic self-concept) = 18 2.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 20 C. 귀인성향이론 = 23 1. 귀인의 개념과 분류 = 23 1) 귀인이론 = 23 2) 원인의 소재(Locus of causality) 차원 = 25 3) 원인의 안정성(Stability of causality) 차원 = 27 4) 원인의 통제성(Control ability of causality) 차원 = 28 2. 학업성취와 귀인이론 = 30 1) 학업 성취와 원인의 소재와의 관계 = 30 2) 학업 성취와 안정성 차원과의 관계 = 31 3) 학업 성취와 통제 차원과의 관계 = 32 III. 연구 방법 및 결과 = 35 A. 연구대상 및 시행절차 = 35 B. 검사도구 = 36 C. 자료처리 = 39 IV. 연구 결과분석 및 논의 = 40 A. 연구 결과 = 40 1. 수학불안 = 40 1) 수학 성취 수준 집단 및 학년 변화에 대한 수학불안 요인 분석 = 40 2. 학업성취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 49 1) 수학 성취 수준 집단 및 학년 변화에 대한 귀인 분석 = 49 2)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년별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 59 3. 학업적 자아개념 = 64 1)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과 수학성취에 관한 자아개념 = 64 2) 성취수준과 학년별 차이에 따른 수학능력과 성취에 대한 자아개념 = 66 B. 논의 = 69 V. 결론 및 제언 = 83 A. 결론 = 83 B. 제언 = 88 참고문헌 = 90 부록 = 95 <부록 1> 학업 자아개념 검사지 = 96 <부록 2> 귀인검사지 = 99 <부록 3> 수학불안검사 = 101 <부록 4> 학년과 성적에 따른 각 요인의 이원분산분석표 = 107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34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학학습에서의 정의적 요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학업성취수준 및 학년별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