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국내 패션 코디네이션 교육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국내 패션 코디네이션 교육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Authors
조인실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패션산업은 생활양식이나 의식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크게 변모 되었으며 현재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로 진입하는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의류 분야에서는 국제화, 다양화, 심미적인 수준향상에 대처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이 패션 디자인 부문 뿐만 아니라 패션 경영 부문, 상품기획 부문, 생산 부문, 유통 및 판매부문, 패션 저널 부문 등으로 세분화 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 같은 패션 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패션 연출 분야가 지니는 사회적 의미와 산업 마케팅적 전략의 기능은 매우 확대 되고 있으며 이 분야의 인력 양성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연출 분야의 사회적, 산업 전략적 의의와 중요성에 착안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을 연구 제시 함으로써 국내 패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방법과 실증적 조사 분석 방법을 취했으며 이론적 배경으로 패션 코디네이션의 개념을 알아보고 현재 국내에서 활동중인 패션 코디네이터의 활동영역과 기능을 조사하여 이에 따른 교과 분야를 패션 디자인 분야, 복식사 분야, 봉제·패턴 분야, 색채 감각 분야, 소재 감각 분야, 패션 정보 분야, 패션 마케팅 분야, 헤어 및 메이크업 디자인 분야, 컴퓨터 활용 분야, 코디네이션 현장실습 분야, 광고·홍보 분야, 패션쇼 및 이벤트 분야, 무대·영화 분야, 패션잡지 등 출판물 분야, 방송·연예 분야, 사진 영상 분야로 구분 하였다. 또한 일본의 2개 전문 교육기관에 설치된 패션 코디네이션 관련학과의 교과 내용을 살펴본 결과 코디네이터 활동영역에 따른 실무 중심적인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나친 실무 위주의 교과목 구성으로 창의성 개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 분야의 교육이 미흡한 실정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국내에 개설된 6개 전문대학과 1개 대학의 석사 교육과정의 패션 코디네이션 교과 내용은 기존의 의상 디자인과 교과목과 거의 차별화 되지 않은 학내중심의 교육으로 실무 능력 배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문 패션 코디네이터 육성을 위한 보다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수요자 중심의 교육 과정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각 영역에서 활동중인 패션 코디네이터 101명을 대상으로 각 분야별 교과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 하였으며 이와 함께 아직 연구된 바가 없는 국내 코디네이터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설문조사 기간은 2000년 11월 20일에서 2000년12월 7일 까지 실시 하였고 설문 내용은 인구통계학적 변인, 각 분야별 교과목의 중요도 평가 문항, 두개의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활동중인 중견급 코디네이터 10인을 설문조사 담당자로 선정하여 직접 방문 형식으로 실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수집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pc 8.0 version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 퍼센티지로 검증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현재 활동중인 국내 코디네이터는 대부분이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패션 관련 전공자이거나 미술 및 디자인 관련 전공자 이나 현장실무 경험의 미비로 처음 업무 시작 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프리랜서 활동 형태를 가장 많이 취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활동영역 중 광고·홍보 관련 영역, 방송·연예 관련 영역, 패션 잡지 등 출판물 관련 영역에서 가장 많은 일의 기회를 제공 받고 있다. 이들은 완성도 높은 코디네이터 업무 및 역할 수행을 위해 색채 감각 분야, 패션 정보 분야, 코디네이션 현장실습 분야의 교과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활동영역 별 특성을 갖는 실무중심의 패션 디자인 분야, 패션 잡지 등 출판물 분야, 방송·연예 분야, 패션 쇼 및 이벤트 분야, 무대·영화 분야, 광고·홍보 분야, 헤어 및 메이크업 디자인 분야, 사진·영상 분야의 교과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국내 패션 코디네이터의 실태와 이들의 분야별 교과목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를 착안하고 현재 국내 패션 코디네이터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한 합리적 전문 교과 과정 설정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잠재력 개발 측면의 기초 디자인 영역과 패션 디자인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과 기술 습득을 위한 교과목을 중심으로 저학년 교과 과정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광고·홍보 분야, 방송·연예 분야, 패션 잡지 및 출판 분야, 어패럴 및 유통업 분야, 무대·영화 분야, 패션 쇼 및 이벤트 분야 등이 국내 패션 코디네이터의 활동영역 이므로 이와 관련된 수요자 중심의 전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성화된 프로그램이 고학년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 패션 코디네이터들은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역할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색채 감각 분야, 패션 정보 분야, 코디네이션 현장 실습 분야의 교과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이 분야의 심도있는 교과목 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실무 능력 고취를 위해 산학 협동, 산학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실무진의 특별 강의 및 세미나를 제도화 하여야 한다. 다섯째, 해외 동향 분석 및 예측력을 지닌 경쟁력 있는 국제적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서 전공 관련 외국어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패션 코디네이션에 대한 개념 체계가 아직 미흡한 도입 단계이며 아직 연구 사례가 전무한 코디네이터의 활동 영역과 실태, 교육 과정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바람직한 교과 과정 설정 방안과 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더욱 확대될 패션 코디네이터의 영역과 역할을 기대해 보며 이를 위한 코디네이션 교육 과정이 수요자 중심, 실무 중심의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 After 1960 , the fashion industry of Korea changed not only in Our lifestyle but our ways of thinking that were affected during a growth period. And now it is reaching a period of maturity. Facing a period of maturity the fashion industry of Korea rapidly has been changed . As the result of this change , professionals , high -quality human resources are subdivided into several lines;fashion business, product plan, manufacturing, material content, a distribution , fashion journal. And the numbers are increasing. All thos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re based with knowledges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patten and surface treatment and attentions to detail and quality across all fashion related categories. There are vast rapid changes that are affecting the global community . The function of marketing and social significance spreads . Training man power of this field is mandatory. Therfore, this study focues on discovering a special curriculum for those people in this field. And yet this study makes an attemp at developing fashion industry of Korea. As the method of the study, there is a study of reference to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an actual and established references. With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of fashion coordination and the special domain for the coordinators are investigated to fall into several divisions : Fashion Design, Costume Study, Sewing and Pattern, Color , Material, Fashion News, Fashion Marketing, Hair and Make up , Computer Application, Fashion Show , Stage and Movies, FashionMegazine, Broadcasting(Celebrity), Photography . The study takes a survey of people of 101 who are related to Fashion (mainly coordinator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see if there are correct understandings of curriculum and its need.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among domestic coordinators , the system of an education are presented in a rational way. During the survey period (11-20-2000 to 12-7-2000) 10 leading coordinators we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