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환경지각과 인지적 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Title
환경지각과 인지적 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Authors
최은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환경인식의 중요한 심리학적인 기능은 사람들이 실제의 환경에 있어서의 공간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환경의 인식은 개인이 공간환경을 개인의 느낌, 태도 및 경험의 복잡한 배열에 의하여 해석하는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다. 공간은 활동하는 인간과는 달리 고정되어있다. 유동적인 인간과 고정적인 공간은 그 성격이 상반되지만,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은 절대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해왔다. 공간은 인간이 시간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장소로 인간-공간-시간은 분리될 수 없는 연관성을 가진다. 따라서 건축공간을 3차원적 확장으로 이해하고, 무형적인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간개념을 도입한 관찰자의 이동에 따른 공간의 체험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개념은 근대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 되어온 공간의 본질과 성격을 인간-공간-시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대적 의미를 내포하는 존재로 인식하며, 상호작용의 현상을 중심으로 논리적인 분석과 해석을 다룸으로써 공간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인간이 세계를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물리적 환경정보와 이미지의 속성에 바탕을 둔 디자인 접근은 인간 중심적인 건축 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것이다. 건축은 표현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건축의 진정한 의미는 이용자와 함께 고려되어 져야 한다. 따라서 건축디자인의 본질적 과제도 공간과 그 형식의 구현, 형태와 표면의 창조, 기능의 분석과 그 구성 개념들의 체계화, 새로운 구조 개념과 기술적 가능성의 표현 등에서 벗어나 건조 환경(built environment)에 반응하는 인간-행태의 상호 작용의 측면에서 인간행태를 위한 소환경(setting for human behavior) 이라는 시각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이 환경을 지각-인지-반응함에 있어서 환경이 지닌 의미 파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은 환경 속에서 시각적 체험을 통해서 기억의 이미지들과 현재의 주변 현실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식하고 행동하게 된다. 인지 심리학은 지각, 기억, 그리고 사고간의 상호작용을 구체화하며, 인지적 접근은 환경을 어떻게 지각하며, 습득한 관련정보를 어떻게 조직화하고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건축적 공간에 대한 여러 의미를 살펴보면, 아인슈타인의 공간에 대한 해석, 즉 운동현상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해석되는 시·공(space·time)으로 불가분의 관계라는 개념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매우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개념은 공통적으로 크게 인간의 인지·지각적인 측면과 인식의 대상이 되는 물리적 상황으로서의 건축공간이 포함하고 있는 대립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지·지각적, 물리적 개념은 이미 성립된 건축적 공간을 해석하는 관점이 될 수 있으며, 건축공간을 구성하는 동기(motive)가 된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건축공간은 물리적 조건과 결과물만으로는 해석될 수 없으며 공간구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한계를 초월하여 건축 공간의 구성과 해석에 있어 인간의 인지·지각적 관점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재정립해보고 환경 내에서 인간의 적응을 강화시켜주는 환경심리학을 인지심리에 있어 공간에 대한 인지적 디자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자는 환경 지각-인지의 과정을 인간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보고 인지의 기능과 인간의 인지구조의 역할을 정의하려한다. 본 연구는 인간이 환경을 지각하는 인지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2. 환경에 대한지각-인지과정을 고찰하고 공간의 개념이 움직임(시간성)이라는 경험을 통해 그 의미가 실현되고 해석되어 지는 것으로 보고 환경과 인간의 상호관계성을 인간의 인지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점에서 구조화하였다. 3. 환경의 미적 경험을 위하여 환경지각-인지의 관점에서 환경을 평가하고 인간심리를 바탕으로 한 환경평가요소들을 도출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4.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공간의 연속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전시공간을 인지적 접근방법을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을 체험하는 인간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시퀀스와 요소들을 디자인의 개념으로 적용하였다. 5. 연구결과에 따른 종합 및 평가를 하고 한계점과 의의를 밝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환경의 지각과 인지가 환경 안에서 인간 행태를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구하고, 환경의 지각-인지-행태적 배경으로 환경에서의 인간 행태의 분석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환경 디자인 이론 중 실질적 이론을 바탕으로 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환경과 인간의 관계성을 확고히 확립하여 인간이 생활하는 환경에서 미적 경험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The important psychological functions of environment cognition provides a solution to space problems in an actual environment. Environment cognition is a progressive and creative process to interpret space environment as complicated array of individual feeling, attitude and experience. Unlike the dynamic activities of human being space is fixed. Even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human being and static space are opposed,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 and space have established absolute linkage. Therefore there are requirements to perceive architecture space a kind of three-dimensional expansion,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space, and capture experience in space as a whole according to observer s motion based on time. This space concept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pace lie in the interactions among human being, space and time, and that space becomes existence involved in the interactions. The space concept has begun to be dealt with logical analyses and interpretations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the interaction as discussions have been continued since modern architecture. Design approach, to create the environment of human oriented architecture, is ba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formations on a world and the images interpreted by human being. Though the architecture is assumed to be expressed, the authentic meaning of architecture should reflect space users. Therefore the current issues that confront architecture design are reviewed in terms of settings for human behavior responding to built environment rather than the imbodiment of space and its form, the functional analysis and systematization of composition concepts, the new concepts of structure, and the representation of technical possibility. Identifying the meaning of environment plays a major role in a process of perception, cognition and response. Human being perceive and act in respons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urroundings and the images memorized by visual experiences in environment. Cognitive psychology is focused on how perception, memory, and process of thinking are interacted, how cognitive approach perceives environment, and how collected information is organized and applied. Among the various implications in architecture space, the interpretation of Einstein s space :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time interpreted relatively through the medium of motion phenomenon has profound significance in our daily life. This interpretation involves the cognitive aspect of human being and the physical aspect of architecture space. These two aspects can be an angle on the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space and motive consisting of architecture space. To apprehend the structure of space, the cognitive aspect of human being in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space as well as the physical aspect should be need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being and apply environmental psychology intensifying human adaptation to environment to the cognitive design of space in cognitive psychology. This research was also implemented to define the function of cognition and the role of cognitive structure in human be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of perceiving and cognizing environment is the process of information collecting from human surroundings This thesis was mainly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of environment cognition and present a modeling case more suitable for environmental design. This research was organized as follows 1. The research objective and scope was illustrated, and the research method was described. 2. Following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rocess of environment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being under the cognitive structure of human being was analyzed on the assumption that space concept is realized and interpreted by the experience in motion or time 3. Evaluating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 perception and cognition aspect was implemented and then environment evaluation factors based on human psychology were applied to design. 4. A modeling case in environmental design by cognitive approach was presented. The case was to design exhibition space where space continuity depending on observer s motion has priority over all other factors. Various sequences and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motion of human being and applied to design concepts. 5. Summarizing and assessing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discussed, and then the research limit and significance will be illustrated.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environment perception and cognition can capture the human behavior, and provided the analysis framework of human behavior based on the process of perception, cognition and response in environ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lay in reviewing environment systematically in practical aspects of environmental design theories,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environment, and attempting to enhance the value of aesthetic experience under our living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