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도은연-
dc.creator도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03-
dc.description.abstract세계화 시대에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 수집을 위해 영어로 된 텍스트를 빠르게 읽고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은 영어 읽기 학습에서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의 영어 교실에서 교사는 영어 학습을 통하여 단순히 의사 소통 능력의 신장뿐만 아니라 추론적, 비판적 사고 등과 같은 고등 정신 기능의 함양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문학 작품은 다양한 문체, 언어 사용역(register), 문화적 요소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언어 자료로서 읽기 교실에서 그 활용 가치가 높다. 또한 문학 작품을 읽을 때 학습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감정 등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므로 창의력이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에도 유용하다. 영어 읽기 학습에서 문학 작품을 읽기 자료로 사용할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작품은 실제적인(authentic) 언어 자료를 제공하며, 둘째, 학습자들은 문학 작품을 통하여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셋째,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다양한 상황, 인물, 사건 등은 학습자에게 생생하고 흥미로운 읽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Scott, 1965). 그러나 문학 작품을 원문 그대로 학습자에게 제시하였을 때 실제적인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는 있으나 예술적 표현이 많고 어휘의 난이도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문학 작품의 원문을 그대로 제시하는 것과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맞는 수정된 문학작품을 제시하는 것 중 어느 경우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 지에 관하여는 아직도 논의의 여지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과 수정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활동이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및 읽기 전략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학교 영어 학습자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3개월 동안 4편의 문학 작품을 1주일에 2회씩 읽게 하였다. 실험 이전에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를 통해 학습자 4명을 2명씩 각 각 상·하위 수준으로 분류하고, 3개월 동안 각 그룹에서 한 명은 문학 작품 원문, 다른 한 명은 수정된 문학 작품을 읽게 하였다. 3개월 간의 실험이 끝난 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 읽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 기간 중에 학습자들은 문학 작품을 읽은 후에 요약하기와 선다형 이해 문제를 풀었고, 회상적 면접(retrospective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영어 읽기 전략 사용의 변화는 사전·중간·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를 통해 각 그룹별 읽기 능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학습자들이 읽은 교재 형태에 상관없이, 상위 학습자들의 읽기 평가 점수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활동이 상위 학습자들의 읽기 학습 능력에 변화를 가져오기에는 기간이 짧았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교재 형태별로 살펴본 하위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평가 점수를 살펴본 결과, 수정된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의 독해 성적이 약간 향상되었으나, 문학 작품 원문을 읽은 학습자의 독해 성적은 하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문 문학 작품의 어휘, 문장 구조가 어려웠기 때문에 하위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는 적합하지 않았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수정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활동이 하위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유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하위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의 각 소설별 이해력 점수를 종합해본 결과, 상위 학습자들의 이해력 점수가 하위 학습자들의 점수에 비해 높았으며, 문학 작품 원문을 읽은 학습자에 비해 수정된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의 이해력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정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활동이 상·하위 학습자의 이해력에 긍정적이었음을 볼 수 있다. 이해력 평가 직후 실시한 심층 개별면담 결과, 실험 이후 수정된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들과 원문을 읽은 상위 학습자는 활동 초기에 비해 영어 읽기에 대한 부담을 덜 느끼게 되었으며, 원문 문학 작품을 읽은 하위 학습자는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학 작품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및 반응은 수정된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들에게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원문 문학 작품을 읽은 학습자들은 작품의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그쳤다. 결론적으로, 수정된 문학 작품이 하위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와 작품 자체에 대한 학습자의 해석을 유도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상·하위 학습자들의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위 학습자의 전반적인 전략 사용이 하위 학습자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위 학습자의 전략 사용 변화를 살펴보면, 상위 학습자는 독해 전략 사용 빈도가 본 연구 기간동안 향상되었으나, 하위 학습자의 전략 사용 빈도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유형과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면담 분석 결과, 상위 학습자의 전략 사용이 실험 초기에 낮게 나온 원인은 상위 학습자들 자신의 전략 사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그리고 하위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 정도가 하락한 원인은 학습자들 스스로 전략 사용의 필요성을 덜 인식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가 성인 학습자의 영어 읽기 학습 및 지도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문학 작품을 활용한 읽기 학습을 실시할 경우,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수정된 문학 작품 읽기를 권장하고 특히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다양한 전략사용 (예: 정보 탐색 전략, 지식 이용 전략 등)을 적극 지도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너무 어렵지 않은 읽기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신의 읽기 과정에 대하여 점검하는 상위인지 전략 사용을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다. ; As the international world moves toward a more global community,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has become more and more valuable. Also, with the wide spread use of the Internet, students need to acquire the necessary reading skills that will enable them to quickly scan through English texts for important in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English Curriculum should focus on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use and effective reading skills. However, Korean students living in the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have very littl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in authentic contexts. Literature, with its authentic context, diverse language style, dialect, register, and cultural context, can provide English students with more authentic target language experience and also help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By reading literature, students can make their own interpretation about the story us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which can also develop their creative or critical thinking process. The question of using literature in the second or foreign language classroom has long been debated. Those advocating the use of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have done so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literature can provide students with more authentic language within various interesting contexts. Second, learners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target culture through the medium of literature. Finally, literature can increase a student s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he foreign language by providing unexpected plots, characters in the story, and, as a result, len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cond language learner s reading competence. However, despite these advantages, using authentic literature can lower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a language by providing too many artistic uses of language or non-contemporary expressions. In some cases, the use of modified literature has been advocated in the English classroom. Yet, it is not clear whether using authentic or modified literature can be mor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English learners read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mainly explores the effect reading modified and unmodified literature has on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reading competence and strategy use. The modified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was already modified by such major publishers as Oxford or Longman. Four university student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each were given a pre-reading test to measure their language proficiency. Two students were placed in the upper level and two students in the lower level according to their pre-reading test results. Two students from each level were provided with the modified text and the other two students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the text. Each student read four novels during this experiment. They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three months, and they met with this researcher twice every week. Multiple choice and written recall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se texts. After a three-month period, the students again took a post-reading test to measure any changes in their reading competence.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 students strategy use, a questionnaire was given three times. Each of the text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designed to contain the same amount of information, no matter the version of the tex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level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ir reading ability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er level students, the student with the modified literature showed a slight increase in her post-reading test, while the student with the unmodified literature showed a slight decrease in his reading abil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reading literatur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level students reading competence, probably because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too short to have any impact on their reading ability. With the lower level students, reading the authentic literature did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while reading the modified literature did have a positive effect. This implies that for lower level students, reading modified literature would be beneficial to their reading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of each novel indicated that the upper leve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lower level students . Also, students who read the modified literature had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than students who read the original literature. This confirm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stated that modified texts increased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seem to indicate an increase in students reading ability; however, for the upper lever students,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did not increase students reading ability.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tudents retrospective interview revealed that students who read the modified literature felt more comfortable about reading in English. For students who read the original literature, only the upper level student felt it easier to read in English, while the lower level student showed no change. Also, students with the modified literature showed some personal responses to the literature. Students who rea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literature confessed they were too busy just understanding the basic plot; they did not feel capable of giving any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literature. The implication is that modified literature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joyment of the literature. Third, the results of the survey demonstrated that upper level students used less reading strategies than the lower level students. Also, for the upper level students, their reading strategy use were shown to increase while the lower level students strategy use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ategy use between students who read the original and modified literature. Among the six categories of the reading strategy, both the upper and lower level students commonly used metacognitive and vocabulary comprehension strategies. However, the result of the interview suggests that students interest in the literature can influence their reading proces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reading according to text types, learners proficiency level, and learners interest in the text. Among the text types the modified literature were proven to be more beneficial to lower level learners reading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conclusive result for the upper leve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matters such as text length, text genre, number of characters, and student interes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they can directly affect the learners reading process and learners motivation to read. Also, when reading literatur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more diverse strategies such as guessing strategies, 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and comprehension checking strateg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1. 읽기 학습 자료로서의 문학 작품 = 3 2. 입력 수정 = 8 3. 독해 전략 = 13 4. 선행연구 = 17 III. 연구 방법 = 25 1. 연구 문제 = 25 2. 연구 대상 = 25 3. 연구 자료 = 28 4.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34 5. 연구의 제한점 = 3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37 1. 학습자의 읽기 능력 변화 = 37 2. 문학 작품별로 본 학습자의 영어 읽기 이해 과정 = 39 3. 읽기 전략 사용 변화 = 60 V. 결론 및 제언 = 79 참고 문헌 = 83 부록 = 92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3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원문 텍스트와 수정된 텍스트가 대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및 독해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