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4 Download: 0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식연구

Title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식연구
Authors
이영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현대 사회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진보는 의료서비스 내용이나 제공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우리나라는 말기환자의 증가와 말기환자들에게 제공되는 부적절한 의료 서비스, 말기의 의료비 증가로 인해 말기 환자 관리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요구받는 실정이며,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말기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대안으로 호스피스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과 견주어 짧지 않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재 호스피스 활동은 매우 뒤쳐진 상황이다. 특히 팀에 의한 접근보다 주로 성직자나 자원봉사자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 운영위원회의 일부로 참여하거나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에만 개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호스피스의 제도적 근거 미비로 인한 호스피스의 비활성화와 호스피스의 인력 조직에 필수적인 전문팀 의 역할에 대한 연구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사회복지사가 호스피스에서 팀 접근을 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직무구분이 불명확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가 호스피스 팀에서 전문직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구조화된 역할 초안을 제시하고 2단계로 의료사회복지사들에게 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수행하여 앞에서 도출된 안에 대한 당위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에 적합한 표준 역할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 활동 중인 의료사회복지사 200명 중 주소불명 및 응답을 거부한 57명을 제외한 143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한 111부 중 98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도구는 연구자의 1차 문헌고찰과 전문가의 액면타당도,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 = .9170 이다. 자료의 분석를 위해 SPSS/PC+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계수, t-test, ANOVA,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한 다중비교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스피스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지도와 제도화 필요성, 호스피스 팀원으로 사회복지사의 필요성에 대한 동의여부를 조사하였을 때 98%이상 대부분의 의료사회복지사가 호스피스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올바르게 알고 있으며, 호스피스 제도화가 필요함에 동의하고, 호스피스 팀원으로 의료사회복지사가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역할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식점수 경향을 볼 때 인식점수가 4점 만점에 응답이 3점이상의 점수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연구자가 제시한 전반적인 역할에 있어서, 다수의 의료사회복지사가 호스피스 의료사회복지사의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각 역할에 대한 영역간, 하위항목간, 인식점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각각 영역간, 하위항목간 인식점수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역할인식 전체에 대한 응답과의 상관관계를 볼 때 직접적 개입영역, 확대업무영역, 간접적 개입영역의 순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변수에 따라서 호스피스 담당 사회복지사의 각 역할에 대한 인식점수의 차이를 살펴볼 때 인구학적 특성인 성별, 교육정도, 기관관련 특성인 기관에서 호스피스 제공여부, 호스피스팀 구성여부, 기관에서의 담당업무 각각에 따라 인식점수의 차이가 있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보다 근무기관 관련특성의 변수일 때 더 많은 하위역할 영역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직접적 개입 역할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응답에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종합하여 볼 때 첫째, 전체 하위 항목에 대한 인식점수의 평균이 3점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할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현재 호스피스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활성화되지 않은 시점에서 역할 표준을 작성할 때, 역할 범위를 광범위하게 확대하기보다는 사회복지사의 고유 업무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하여야 하며,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한해서 명시하기보다는 포괄적인 사회복지 업무에 관련된 용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모든 대상자가 3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직접적 개입영역에서 ① 개별상담 ② 집단상담 ③ 환자·가족의 심리사회자원 평가 항목 ④ 사회지원체계 동원 및 연결의 항목에 대해서는 호스피스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로서 의료사회복지사의 합의가 이루어진 핵심업무라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개입의 대상과 속성에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구분하기에 앞서 이처럼 호스피스팀에서 사회복지사가 핵심적으로 수행해야할 업무를 먼저 구분하는 것도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라고 본다. 이를 감안하여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 표준의 구성 및 업무평가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한국 호스피스의 제도화와 이를 통한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결과가 궁극적으로 말기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 With the change of social circumstances and the progress of technology, contents of the medical services and support methods have changed enormously. In Korea, it needs new care method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since it became social issues that an increas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n inappropriate medical services, and an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In cas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United States, and the other developed countries selected the Hospice system for concerning the quality of patients. The Hospice in Korea underdeveloped though its long history compared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the Hospice is not a team activity, but an activity of clergymen, and volunteers; besides, the social workers is a part of the steering committee, or can intervent with the economically severe case. These are because an inertia of institutional basis like the medical insurance, and an insufficient research about the team activities. Some researchers has pointed out that the ambiguity of job specifications that the social workers cannot intervent with team. In this research, the author firstly pointed out the structuralized roles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searched recognition about their roles to the hospice medical social welfares; therefore, she proposed the standard role of the Korean hospice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the author inquired 143 clinical hospice social workers who joined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 as the questionnaire papers, and got back 111 papers. And she analysed 98 papers through the material analysis firstly; the specialists verified propriety of denomination and details. The author used SPSS/PC+ for the statistics analysis, and the trust level of materials by cronbach s α = .9170. the author used the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contrast for checking out the group difference. First, almost all the hospice social workers thought that they knew about hospice well, and correctly. They agreed to the systemization of the hospice and the addition of the hospice social workers as the constituents of the hospice team. Second, the hospice social workers showed up three points per four about recognition point of the questions. It proved that a lot of hospice social workers regard the author s suggestions as their important roles. Third, in the correlation with each area, subcategory, recognition point about the hospice social workers, there are close between area and subcategory points, and in the total role recognition, there are close according to direct intervention, extension business, and indirect business. Fourth,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parameters, the difference showed up the demographic elements like gender and a standard of education and formation elements like hospice support, hospice team support, and business on the charge.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groups deepened in the subcategory at working organizations parameter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e followed facts through the analysis. Firstly, the average of recognition points about total subcategory is over three points, and it shows that the researcher s hypothesis about role area of the hospice social workers is correct. Secondly, it needs to focus in the own area of social workers, and to use the ordinary terms about social welfare for setting up the standard roles of the hospice social workers. Thirdly, personal counsel, group counsel, psychosocial resources evaluation of patients and families, and psychosocial supports and connection regard the hospice social workers as the core works. Therefore, classifying the work responsibility of the hospice team can clear the constituents role than that of object and attribute. Therefore, if it can possible that the researches about the constitution of the hospice social workers standard roles and education materials, it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Korean hospice system and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