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후고 폰 호프만스탈의 희극 '까다로운 남자 Der Schwierige' 연구 :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Title
후고 폰 호프만스탈의 희극 '까다로운 남자 Der Schwierige' 연구 :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ie vorliegende Arbeit bescha¨ftigt sich am Beispiel des Lustspiels 『Der Schwierige』mit der Sprachproblematik Hugo von Hofmannsthals. Hofmannsthals Sprachkrise zur Zeit der Jahrhundertwende ergab sich daraus, daß er als Dichter die Wirklichkeit nicht mehr darzustellen vermochte. Fu¨r ihn zeigte sich das Problem der Wirklichkeit daher als ein Problem der Sprache. Zum erstenmal dokumentierte Hofmannsthal seine Sprachkrise durch den 『Brief der Lord Chandos』. In Chandos Unfa¨higkeit, u¨ber irgend etwas zusammenha¨ngend zu denken oder zu sprechen, spiegelt sich die geistige und gesellschaftliche Situation der Jahrhundertwende. So ist ihm das Schweigen direkte Sprache seines Lebens geworden. Nach der Sprachkrise erprobte Hofmannsthal sta¨ndig neue Stil- und Sprachmo¨glichkeiten. In seinen Komo¨dien versuchte er dabei, diese Problematik im Rahmen der Umgangssprache zu bewa¨ltigen. Der Schwierige , Hans Karl Bu¨hl, ist von tiefer Skepsis dem Reden gegenu¨ber gepra¨gt. Diese Sprachskepsis fu¨hrt bei ihm zur Wortkargheit oder zum Schweigen. Aber im Gegensatz zu Chandos versinkt Hans Karl nicht vo¨llig ins Schweigen, er versucht vielmehr, seine Sprachskepsis durch die Kommunikation zu u¨berwinden. Die Mo¨glichkeit dazu erschließt sich ihm auf zwei Wegen. Der erste Weg ist die mystische Schau, wie sie Hans Karl in der Vision im Schu¨tzengraben erfa¨hrt. Sie ero¨ffnet ihm die Mo¨glichkeit, durch eine wortlose Gestensprache zu kommunizieren. Der zweite Weg fu¨hrt in die Wirklichkeit des Alltags. Es ist der "Weg zum Sozialen", wie Hofmannsthal ihn genannt hat, der Weg in die Gesellschaft, der fu¨r Hans Karl in der Ehe mu¨ndet. ; 본 논문의 목적은 후고 폰 호프만스탈 Hugo von Hofmannsthal(1874-1929)의 희극 『까다로운 남자』(1918)에 나타난 언어 문제를 고찰하는 데 있다. 세기 전환기 당시의 호프만스탈의 언어 위기는 그가 작가로서 현실을 더 이 상 표현할 수 없다는 작가 자신의 실존적 위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현실의 문제는 작품 속에서 언어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호프만스탈은 『찬도스 경의 편지』(1902)를 통해서 매우 인상적으로 세기 전환기의 위기적 상황을 피력한다. 무엇보다도 작품 속에서 찬도스가 어떠한 것에 대해서 연관지어 생각하거나 말하지 못하고 침묵 속으로 후퇴하고 마는 언어적 위기 상황은 그 시기의 정신사적 그리고 사회적 위기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호프만스탈은 그의 언어 위기 이후에 끊임없이 새로운 장르와 언어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그는 희극작품 들에서 언어 위기를 일상어의 범주에서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희극 『까다로운 남자』의 주인공 한스 카알 뷜 Hans Karl Bu¨hl 또한 말하는 것에 대해 깊은 회의를 지니고 있다. 이런 언어 회의는 그로 하여금 말을 적게 하거나 침묵으로 유도한다. 그러나 찬도스와는 달리 한스 카알은 완전한 침묵 속으로 침잠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언어 회의를 사회와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한다. 한스 카알의 언어 회의의 극복의 가능성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한스 카알이 전쟁 중에 경험하는 신비한 매장의 체험과 무언의 제스추어를 통한 의사 소통의 가능성이다. 두 번째 방법은 일상의 현실로 직접 들어가는 것이다. 즉 그것은 "사회적인 것으로 향한 길"이라고 호프만스탈이 언급한 것처럼 한스 카알에게 있어서는 결혼에 이르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