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나-
dc.creator조혜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2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기 드 모파상Guy de Maupassant의 작품이 근본적으로 존재와 정체성의 문제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그의 작품에 나타난 존재의 이중성과 자아분열을 잘 보여주는 분신double 의 테마를 고찰하였다. 본고는 다양한 형태로 그의 작품에 출현하는 분신들을 모파상적 분신 으로 규정하게 하는 공통적 요소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형태의 분신들을 눈에 보이는 분신과 보이지 않는 분신의 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II장에서는 모파상의 작품에 나타난 눈에 보이는 분신을 고찰하였는데, 보이는 분신은 다시 나의 모습을 한 분신과 타인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분신의 둘로 나뉘어진다. 모파상 작품 속에서 거울 앞에 선 주체는 많은 경우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지 못하는데, 이 때 타자의 모습으로 거울 속에 나타나는 것이 바로 나로서의 분신이다. 모파상 작품 속 인물들은 제 3자와의 만남 후에야 거울 속 나로서의 분신을 목격한다. 타인은 주체에게 이분화된 자신의 모습을 먼저 보여줌으로써 주체가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게 하는 확실한 동기를 마련해 준다. 뿐만 아니라 주체는 거울 앞에 서기 이전에 이미 타인을 통해 자신의 변화를 보게 되는데, 이 때 타인의 눈은 거울의 기능을 한다. 거울은 시간에 의해 침범 당한 늙은 자신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분신을 출현시키기도 하지만, 거울이 가진 나르시시즘적 속성에 의해서도 분신의 출현을 야기한다. 거울 속 자신의 모습에 열광하는 주체들은 자신을 욕망의 대상으로 간주하며 스스로를 타자화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시간의 침입에 의해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으로 나뉜 분신이건, 나르시시즘에 의한 분신이건 주체는 둘로 분열된 자신을 인식하면서부터 존재에 관한 심각한 의문을 가지며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게 된다. 눈에 보이는 분신의 두 번째 형태로 우리는 모파상 작품에 나타나는 가족적 분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로서의 분신보다 타인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분신이 더욱 심각한 박해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혔다. 먼저 아버지는 존재조차 모르던 사생아 아들을 발견하면서 그 아들-분신을 만들어낸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존재의 불확실성에 고통받고 결국은 자살에까지 이르게 된다. 아들은 아버지의 일부를 가진 분신으로, 아버지의 자아를 분열시키는 위협적 타자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영혼의 이원론과 쌍둥이 설화에 나타난 분신 죽이기의 도식에 비추어 모파상 작품 속의 형제적 분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성공과 불멸을 위해 분신을 희생하는 형제의 모습과 죽어서 더욱 강력한 박해자가 되어 돌아오는 형제-분신의 박해성을 확인하였다. III장에서 우리는 보이지 않는 분신이 등장하는 작품 『르 오를라 Le Horla』를 통해 어떻게 보이지 않는 존재가 분신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서 오를라가 모파상 작품에 나타나는 모든 분신들 중에 가장 극단적으로 정체성을 파괴시키는 박해자임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Horla 라는 이름의 근원적 문제를 통해 그의 분신적 정체를 밝혀보았다. hors 와 la` 로 해석되는 그의 이름은 주체의 밖(hors)과 안(la`)에 동시에 위치하고,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대한 성 정체성을 거부하며, 그 자체가 이중의 존재인 동시에 화자의 분신임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다. 두 번째로 우리는 공간의 문제가 정체성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화자와 오를라가 차지하는 공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를라가 익명의 화자가 갖는 유일한 정체성의 증거인 몸의 공간마저 침범하는 장면은 화자의 전 존재를 차지하게 되는 오를라의 분신성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로 우리는 화자가 거울 속에서 영상의 부재를 보는, 이 작품의 절정을 이루는 거울 장면을 고찰하였다. 이 장면은 자신이 사라져 버리는 정체성의 명멸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오를라가 자아를 파괴하는 극단적 분신임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거울 장면을 부정적 환각의 장면으로 규정하고, 부정적 환각의 원인이 된 무의식적 트로마를 밝혀보고자 했다. 작품은 전능한 자궁의 어머니로서의 오를라와 그 어머니에게서 해방되려 발버둥치는 아이의 대결구도로 분석되며, 결과적으로 오를라는 자궁 속으로의 회귀에 대한 두려움을 인정하지 않기 위한 방어기제로서 화자가 만들어낸 그의 분신으로 밝혀진다. 모파상의 작품에 나타난 분신은 가장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되면서도 그 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자아를 분열시키고 주체를 박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그 분신의 박해성이 각 장의 순서에 따라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존재의 이중성과 불확실한 자아 라는 모파상의 전 작품의 주제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신의 테마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을 새롭게 읽어낼 수 있다. ; Une des constantes de l oeuvre de Maupassant est la pre´sence du double. Celui-ci peut reve^tir des formes diverses et notre recherche se destine a` de´finir leur de´nominateur commun. Afin d atteindre ce but, il nous semble que l analyse psychanalytique est la plus ade´quate. C est ainsi que cette e´tude se propose de diviser le double en deux cate´gories distinctes, d une part le double visible, d autre part le double invisible. Nous avons donc essaye´ dans une premie`re partie de nous attarder sur la forme du double visible. Cette forme initiale, nous avons choisi de la nommer le double en tant que moi dans le miroir. Nous avons tente´ de montrer que le sujet de´couvre son double en assistant au de´doublement d une tierce personne. Dans ce cas pre´cis, le miroir n est pas un objet mais une personne ce qui explique le fait que nous ayons place´ ce cas de figure dans cette partie. C est en fait le regard de cette autre personne qui prend a` son compte la fonction du miroir. Ce miroir est aussi le lieu ou` l identite´ se trouve menace´e par la de´couverte d une image qui ne correspond plus au sujet. En d autres termes, le double se trouve de´cale´ par rapport au sujet. Le miroir est encore l endroit ou` le << je >> se transforme en << autre >>, c est-a`-dire l espace dans lequel s exprime le narcissisme. Mais le double visible peut aussi apparaitre sous une nouvelle forme qui serait celle de l autre. Pour le de´montrer, nous nous sommes limite´s a` l analyse du double familial (le fils et le fre`re). De`s que le pe`re de´couvre le fils inconnu, le ba^tard, le ge´niteur est perse´cute´ par le << fils-double >>. Il en va de me^me pour le fre`re qui, d une manie`re ou d une autre, doit faire disparaitre le << fre`re-double >>. Nous nous sommes inte´resse´s, dans une seconde partie, au double invisible en traitant particulie`rement la nouvelle << Le Horla >>, oeuvre conside´re´e par beaucoup comme la cre´ation centrale pour toute recherche traitant du double chez Maupassant. Nous nous sommes alors demande´s si un e^tre invisible pouvait e^tre conside´re´ comme un double. Et nous avons divise´, pour cela, notre analyse en trois temps ; le premier traitant du nom, le second de l espace et le dernier de la sce`ne du miroir qui semble e^tre majeure dans cette oeuvre. A travers l e´tude de ces trois aspects, nous pensons effectivement que le Horla est bien une forme de double, sans doute le double invisible par excellence. Cette position repose donc sur l analyse du nom qui se divise en << hors >> et en << la` >> ce qui le rend le Horla insituable, voire inde´finissable et surtout de´pourvu de toute identite´. Cette forme particulie`re de double envahit peu a` peu l espace du narrateur. Or c est l espace qui de´termine l identite´ de tout individu. L occupation progressive de l espace du narrateur par le Horla devient cre´dible lorsque l identite´ du sujet est totalement e´clipse´e par le Horla. Nous pensons ici, bien entendu, a` la fameuse sce`ne du miroir ou` le narrateur est << de´vore´ >>, donc comple`tement efface´ par son double. Cette e´clipse de l identite´ peut e^tre conside´re´e comme une ve´ritable hallucination ne´gative, c est-a`-dire a` la re´apparition d un traumatisme ve´cu dans la petite enfance du sujet et qui a e´te´ refoule´. Nous nous sommes alors demande´s quel pouvait e^tre ce traumatisme dans l oeuvre. Nous en avons conclu que tout reposait sur la relation a` la me`re. En effet, toute la nouvelle s articule autour d un de´sir de fuite qui restera vaine. Cette fuite semble e^tre celle de l enfant qui tente de se se´parer de la me`re. Tout comme l enfant qui de´couvre a` chaque e´tape de son de´veloppement une me`re diffe´rente, le narrateur semble suivre ces e´tapes et vouloir fuir la me`re omnipre´sente. Mais tout cela, chez Maupassant reste inutile. Malgre´ la diversite´ de l expression du double dans les oeuvres de Maupassant, cette e´tude tente de montrer dans sa conclusion que le de´nominateur commun a` toutes ces formes du double est la perse´cution de l identite´. Le double maupassantien est, en effet, perse´cutoire. Et nous avons essaye´ de prouver ici que la perse´cution est croissante en fonction de la nature de ce dernier. Car le double dans le miroir est moins perse´cutoire que le double familial et que le double invisible l est plus que les doubles visib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II. 보이는 분신(Double visible) = 6 A. 거울 속의 나로서의 분신 = 6 1. 타인을 통한 나의 모습 = 7 1-1. 타인의 모습 = 7 1-2. 시선, 거울의 확장 = 10 2. 거울을 통한 나의 모습 = 12 2-1. 거울, 자아분열과 정체성 위협의 장 = 12 2-2. 거울, 나르시시즘의 장 = 17 B. 가족 간의 분신 = 23 1. 부자관계에서 나타나는 분신 = 24 1-1. 아들-분신의 발견 = 24 1-2. 위협당한 아버지의 정체성 = 26 2. 형제관계에서 나타나는 분신 = 30 2-1. 형제-분신에 의한 정체성 위협 = 30 2-2. 영혼의 이원론과 형제-분신 죽이기 = 34 III. 보이지 않는 분신(Double invisible) = 39 A. 오를라는 분신인가? = 40 B. 분신으로서의 오를라 = 42 1. 이름에서 나타나는 분신적 존재 오를라 = 42 2. 공간의 문제로 본 분신적 존재 오를라 = 47 3. 거울장면 = 50 3-1. 정체성의 명멸 = 50 3-2. 부정적 환각 = 54 IV. 결론 = 70 참고문헌 = 77 Re´sume´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37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Guy de Maupassant의 작품에 나타난 "분신 double"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