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60-
dc.description.abstract혈청 프리알부민(prealbumin)은 단기 영양 상태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유용한 영양 지표로 보고되고 있으나, 생후 영양 상태가 매우 중요한 미숙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고 지금까지 보고된 결과에도 많은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미숙아의 영양 상태 감시 인자로서의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 3월에서 9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의 신생아실에 입원한 미숙아 중 선천성 기형이 없고,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적정 체중 미숙아 42명을 대상으로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 및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재태주령, 생후 연령, 신체 계측치, 열량-단백 섭취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고 영양 상태 지표로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1. 재태주령, 출생 체중, 생후 연령에 따른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변화 1) 출생시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는 재태주령 (r=0.90. Fig. 1), 출생 체중 (r=0.91,Fig. 3)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청 알부민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Fig. 2, 4). 2)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생후 연령에 따른 변화는 생후 3일에 감소하였다가 그후 계속 증가한 후 생후 2주경부터는 거의 일정 하였다(Fig. 5). 2. 열량 섭취량 및 단백 섭취량에 따른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변화 1) 열량 섭취의 증가에 따른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0.77, P<0.05, Fig. 6), 혈청 알부민의 농도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05, Fig. 7). 2) 단백 섭취의 증가에 따른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0.97, P<0.05, Fig. 8), 혈청 알부민의 농도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05, Fig. 9). 3) 프리알부민의 경우 열량 섭취보다 단백 섭취에 따라 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3.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의 영양 지표로서의 유용성 단백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생후검사 당시의 혈청 알부민 농도 및 체중, 상완 둘레, 피부 주름 두께 등의 신체 계측치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05, Fig. 10, 11) 결론적으로 미숙아에서 출생시 혈청 프리알부민 농도는 재태주령이나 출생 체중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고, 열량 섭취및 단백 섭취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여 영양 상태 감시 인자로서의 민감하고 빠른 생화학적 지표가 된다고 생각된다. ;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has been proposed as a useful nutritional marker that responds rapidly and sensitively to calory and protein intake. But the reports of prealbumin in premature infants are not sufficient and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as a marker for nutritional adequacy in premature infants. From March to September, 2000, 42 premature infants in NICU were studied through hospitalization. All infants was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nd had neither ev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nor surgeries. The change of serun prealbumin levels according to postnasal ag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nutritional intake(calory-protein), and serum prealbumin and albumin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1. Change of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postnatal age 1)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ed with gestatinoal age and birth weight(P<0.05). 2)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on day 3 of life was lower than that at birth and then it rised by day 14 of life and then it was stady. 2 Change of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calory and protein intake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alory intake and protein intake, and more with protein intake than caloty intake(P<0.05). 3. Usefulness of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as a nutritional marker Only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protein intake. Serum albumin concentration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as not. In conclusion, serum prealbum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statinoal age, birth weight, calory intake, and protein intake and could be used as a rapid and sensitive biochemical marker for nutritional adequacy in premature inf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대상 = 3 B. 연구방법 = 3 C. 통계분석 = 4 III. 결과 = 5 IV. 고찰 = 16 V. 결론 = 21 참고문헌 = 22 영문초록 =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숙아에서 영양상태 감시인자로써 혈청 프리알부민의 유용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