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유미-
dc.creator채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국의 DRG 제도 도입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고, 미국, 호주, 영국의 DRG 분류체계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분류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우선 첫단계로 미국, 호주,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일본을 중심으로 기출간된 연구논문과 보고서를 분석하여 각 국가의 의료체계에 따른 DRG 제도 도입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단계로서 첫단계 연구과정을 통해 선정된 미국, 영국, 호주의 DRG 분류체계의 틀과 구성원리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RG 분류체계는 해당 국가의 보건의료환경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병원 산출물 및 의료자원소모 평가, 질병구성의 척도로 쓰이는 경우가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그 외 진료비 지불체계와 관련하여 서유럽, 호주, 캐나다는 주로 공공병원의 예산배분 기준마련과 병원경영 효율화를 위해, 미국은 병원경영관리 및 사회보험의 진료비 지불제도로 DRG 분류를 활용하고 있다. 둘째, 미국, 영국, 호주의 DRG 분류체계를 비교 하였을때 영국은 미국의 MDC 대신 처치명에 따른 장형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호주는 중증도를 정밀하게 반영하기 위한 PCCL지표를 개발 적용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였다. 셋째, 개발과정의 특징으로서 세 국가 모두 자국의 자료를 이용한 통계적 분석과 임상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분류체계의 동질성을 확보하였으며, 자국의 진료환경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얻고자 꾸준한 개정작업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국내 분류체계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전문가 패널을 통해 임상적 동질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국내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질병구조와 역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분류체계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국내의 진료행태를 반영하는 합리적인 분류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네째,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중증도를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우리나라도 국내의 질병 유병 정도에 따라 MDC를 적절하게 세분하거나 통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우리나라도 병원간 성과비교, 임상진료현황파악, 질 관리등 병원생산성 증대에 활용하면서 점진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분류체계 완결성을 높이도록 해야한다. 질적자료 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특성상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분석 오류의 가능성과 관점에 따른 해석의 차이를 배제할 수 없지만, 심층적인 사례비교를 통해 양적 분석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분류체계의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DRG 지불제도의 전면실시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좀더 다양한 국가들의 환자분류체계의 특성과 적용현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s under which other countries have introduced the DRG as well as under the current situations, to compare and analyze comprehensively the DRG classification systems in USA, Australia and UK, and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to present directions to developing a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research papers and reports that have been published mainly in USA, Australia, UK, France, Canada and Japan are analyz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n introducing the DRG system corresponding to its own health care system. In the second phase, the frameworks and structural principles of DRG in USA, UK and Australia, which have been selec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first phase, have been compared. The main research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RG classification system is being adopted for diverse purposes varying with health care system of the corresponding countries, and is utilized most commonly in measuring the levels of hospital outputs and resource consumption and understanding the casemix. Besides, Western Europe, Australia and Canada use the DRG classification system in budgeting for hospital provision to public hospitals and in improving hospital efficiency, and USA in managing hospital operations and as the payment system of social insurances. Second, when comparing the DRG classification systems of USA, UK and Australia, UK reorgani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so that it was chaptered instead of MDC, and Australia developed and applied PCCL index for reflecting severity of illness more precisely. Third, as for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es, all the three countries assimilated the classification systems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their own data and clinical consults with experts, and continued steadily to revise for attaining classification systems suitable to the n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the directions to develop dome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ystem should be assimilated clinically through a panel of clinical experts. Second, a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domestic data so that the system would reflect disease patterns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Third, a r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flects domestic medical practices needs to be developed. Fourth, a framework, in which severity is taken into account, should be prepared on the basis of domestic materials. Fifth, MDC needs to be subdivided or merged according to diseases prevalence in Korea. Sixth,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being utilized in comparing performances between hospitals, investigating clinical and medical situations, or managing medical qualities for improving hospital productivity, increasing participation should be induced and the completenes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enhanced. While the research, which involves characteristically a qualitative analysis, may include possibly analytical errors caused by the subjective judgement of the researcher and the results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iewpoints, it is still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at are unobtainable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exhaustive case comparisons. Facing the full implementation of DRG payment system,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es would be promo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s and on the states of the application in more various coun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제1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 3 제2장 이론적 배경 = 4 2.1 질병구성(Casemix)/환자분류체계 측정 = 4 2.2 DRG 분류체계 = 5 2.3 DRG분류를 이용한 포괄수가제 = 8 2.4 국내 DRG 제도 시범사업 실시 현황과 평가 = 10 2.5 DRG 분류체계의 세계적인 동향 = 13 제3장 연구방법 = 15 제4장 연구결과 = 17 4.1 주요국가의 의료체계 및 DRG 도입현황 = 17 4.2 사례국가들의 환자분류체계 분석 = 40 4.3 세 국가의 DRG 분류체계 특성 종합 및 국내 적용의 시사점 = 72 제5장 고찰 = 77 제6장 결론 = 78 부록: 부표 1 = 80 참고문헌 = 86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39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부 국가들의 DRG 분류체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