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혜-
dc.creator박정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94-
dc.description.abstract현대와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 다변화하는 사회환경과 함께 의료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의료의 개방화는 눈앞에 있다. 이에 국민의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가 높아 있으며, 병원은 이러한 국민의 기대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로서 부응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병원이란 조직체 속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간호조직의 전문적이고 질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필수라 하겠다. 더욱이 다른 조직과 비교해 복잡하고 특수한 병원조직에서 구성원이 조직의 목표 뿐 아니라 개인의 목표에 효율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왔고, 그것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계속되어오고 있다. 한 방법으로, 구성원들 사이의 정보공유, 역할갈등 해소, 직무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병원조직의 특성을 고려할 때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병원구성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조직 내 여러 직종들 중에서 조직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간호사들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6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 총 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까지 총 16일이었다. 연구도구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Downs & Hazen(1973)이 개발한 조직 전망, 조직 통합성, 개인 피드백, 상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질,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조직 풍토에 대한 만족을 측정하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우리나라에서 이판웅(1994), 김복숙(1997), 이해평(1996), 안미헌(2000), 김좌명(2000) 등이 연구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연구에서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판웅(1994)의 도구를 간호학 교수 1인, 국문학 석사 1인, 그리고 간호학 석·박사 12인의 도움을 받아 현재 간호조직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측정에 맞도록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으며, Cronbach Alpha= .80이었다.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는 Slavitt, Stamps, Piedomont & Hasse(1978)가 개발한 보수, 자율성, 전문적 수준, 행정요구, 상호작용, 업무요구에 대한 만족을 측정하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우리나라의 간호학 연구에서 윤순녕(1990), 박성희(1992), 박광옥(1994), 구옥희(2000) 등이 연구대상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옥희(2000)가 사용한 도구를 간호학 교수 1인, 국문학 석사 1인, 간호학 석·박사 12인의 도움을 받아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으며, Cronbach Alpha= .8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의 통계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만 21세-43세까지 분포되어 있으며(평균은 27.98세), 25세-29세가 41%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3년제졸업(75%), 4년제졸업(21%), 대학원재학이상(4%)의 순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93%)가 대부분이었으며, 근무부서는 병동(59.1%)과 특수부서(39%)에 대부분 근무하였다. 총재직기간은 최소 1년 이하에서부터 21년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평균 5.48년), 2년이상-4년미만(24%)이 가장 많았고, 현근무부서 재직기간은 1년미만(38%)이 가장 많았다. 종교분포는 기독교(46%)가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에서는 미혼(65.4%)이 많았다. 2.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정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3.00점(5점 만점)으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요소별로는 상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평균 3.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2.07점)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사의 직무만족정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2.73점(5점 만점)으로 나타나 중간 이하의 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별로는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도(3.45점)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요구에 대한 만족도(2.38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들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학력(F=3.202, P=.042)과 직위(t=-3.136, P=.002)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소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직위에 따라서는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t=-5.235, P=.000), 개인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t=-2.056, P=.041), 조직 전망에 대한 만족도(t=-2.173, P=.031),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t=-2.098, P=.037)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상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t=2.995, P=.003)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병원구분, 간호부의 위치, 근무부서에 따라서는 각 요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교유무에 따라서는 상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F=3.611, P=.014)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조직 풍토에 대한 만족도(F=3.261, P=.023)와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F=4.502, P=.00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재직기간에 따라서는 상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F=2.472, P=.045),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F=3.565, P=.008)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직기간에 따라서는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F=5.026, P=.002)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F=4.148, P=.017)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학력(F=3.672, P=.027)과 총재직기간(F=4.297, P=.002), 직위(t=-4.661, P=.000), 결혼유무(t=2.068, P=.040), 현재직기간(F=3.188, P=.025)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위에 따라서는 자율성(t=-2.039, P=.043)과 전문적 수준(t=-2.895, P=.004)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부서에 따라서는 전문적 수준에 대한 만족도(F=3.320, P=.038)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유무에서는 자율성(t=2.228, P=.027)과 전문적 수준(t=3.355, P=.001)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보수(F=3.966, P=.009)와 상호작용(F=4.924, P=.002)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전문적 수준(F=3.655, P=.013)과 행정요구(F=2.787, P=.042)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재직기간에 따라서는 전문적 수준(F=4.210, P=.003)과 행정요구(F=2.781, P=.028)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현재직기간에 따라서는 각 요소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력에 따라서는 행정요구(F=5.500, P=.005), 상호작용(F=3.062, P=.049), 업무요구(F=3.866, P=.022)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간호사들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는 관계(r=.581, P=.000)가 있었으며, 특히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소 중 개인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r=.641, P=.000)와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r=.455, P=.000),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r=.423, P=.000)는 직무만족과 다른 요소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 개인 피드백 만족도는 보수만족도와 다른 요소보다 상관관계(r=.564, P=.000)가 높게 나타났고, 조직 통합성에 대한 만족도는 행정요구 만족도와 다른 요소와 비교해 상관관계(r=.506, P=.000)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사들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간호조직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 자신이 속한 조직 내에서 구성원이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실천하는 것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요소를 개선하고 교육하는 것은 구성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조직에 적합한 조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간호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조직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3.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서 일반간호사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관리자와 일반간호사의 효율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ample consisted of two hundreds and fifty four charge nurses and staff nurses at the 6 general Hospitals.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ep. 17 to Oct. 2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wo instruments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Lee, 1994) based on the work of Downs & Hazen(1973) was used to measure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ubordinate communication, horizontal communication, personal feedback, communication climate, supervisor communication, media quality,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 And consisted of 24 items on five points Likert-type scale.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Gu, 2000) based on the work of Slavitt et. al(1978) was used to measure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pay, autonomy, task requirement, organizational requirement, interaction and job prestige/status. And consisted of 29 items on five points Likert-type sca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as measured 3.00. It means the score of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medium. The highest grade out of the factors was supervisor communication(3.71), and the lowest one was organizational integration. 2. The mean of the job satisfaction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as measured 2.73. It means the score of the job satisfaction is under the medium. The highest grade out of the factors was Interaction(3.45), the lowest one was Organizational requirement(2.38). 3. The differences of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depended on demographic data of nurses were founded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F=3.202, P=.0042) and job position(t=-3.136, P=.002). 4. The differences of the job satisfaction depended on demographic data of nurses were founded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F=3.672, P=.027), total period of holding in hospital(F=4.297, P=.002), job position(t=-4.661, P=.000), material status(t=2.068, P=.040), and period of staying in current unit(F=3.188, P=.025). 5.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r=.413, P=.000). There were more correlational factors ou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personal feedback(r=.641, P=.000), subordinate communication(r=.455, P=.000), and organizational integration(r=.423, P=.000). According to the study, the scores of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 were medium or less. Bu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 score, the better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use and educate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trategies to make higher job satisfaction, ultimately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e nursing organization in hospital. Based on the study, I recommend the following : It is necessary to repeat studies, considering nurses organizational characters, and to develop and educate proper methods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e nursing organization in hospital set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1. 조직 커뮤니케이션 = 5 2. 직무만족 = 5 II. 문헌고찰 = 6 A. 병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 6 1. 조직 커뮤니케이션 = 6 2. 병원의 특성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 11 B. 직무만족 = 15 C.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 20 III. 연구방법 = 25 A. 이론적 틀 = 25 B. 연구대상 = 26 C. 연구 도구와 설문지 구성 = 26 1.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 26 2. 직무만족도 = 27 3. 설문지 구성 = 28 D. 자료수집 = 28 E. 자료 분석 방법 = 29 F. 연구의 제한점 = 29 IV. 연구결과 및 논의 = 3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0 B.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정도 = 33 C.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직무만족정도 = 34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 36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 40 F.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44 V. 결론 및 제언 = 47 A. 결론 = 47 B. 제언 = 52 참고문헌 = 53 부록 = 62 <부록 1> 연구도구 = 62 <부록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 67 <부록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 6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30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상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