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숙영-
dc.creator이숙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 부모의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암환아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2년 10월 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한 3개 대학병원에서 치료중인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 8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박순영(1999)이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암환아 부모에 맞게 수정한 도구와 가족기능의 측정도구인 Olson(1985)이 개발한 FACES III를 임종한(199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환아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는 1.36이며, 신체적 스트레스 정도는 1.08로 나타나, 심리적 스트레스가 신체적 스트레스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경고수준이 55.6%, 주의수준이 23.3%이고, 신체적 스트레스 수준은 주의수준이 40.7%, 경고수준이 25.9%였다. 2. 암환아 부모의 가족기능은 가족적응력이 혼돈된 상태 91.4%, 유연한 상태 6.2%, 경직된 상태 2.5%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은 밀착된 상태 46.9%, 연결된 상태 35.8%, 분리된 상태 9.9%, 이탈상태 7.4%로 나타났다. 가족적응력과 가족결속력에 따른 가족유형은 극단적 유형이 51.9%, 중간유형이 44.47%, 조화된 유형이 3.7%이었다. 3. 암환아 부모의 특성 중 부모가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낮았고(t=-2.210, p=.030), 신체적 스트레스의 경우 연령이 40세 이하인 부모가 40세 이상인 부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F=3.448, p=.037). 4.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461, p=.000). 5. 암환아 가족의 응집력이 이탈상태일 때 심리적 스트레스(F=3.148, p=.030)와 신체적 스트레스(F=4.160, p=.009)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암환아 가족의 적응력이 경직 상태일 때 심리적 스트레스(F=7.548, p=.001)와 신체적 스트레스(F=4.901, p=.010)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환아 가족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암환아 부모의 79%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66%가 신체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가족유형은 극단적 유형이 51.9%에 달하였다. 암환아 부모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가족기능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스트레스는 높으며 가족기능은 낮아, 가족의 안녕이 위협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암환아 간호시에는 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간호계획 및 중재가 포함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암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특히 환아와 함께 암이라는 질병에 적응해야 하는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았던 것을 감안하여 정서적인 지지에 더 많은 중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를 가족 전체에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 부모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상호간의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3. 가족응집력이 이탈상태이거나 가족적응력이 경직상태 일 때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는 높았으므로, 많은 수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대상으로 가족간호 연구가 필요하다. 4. 한국적인 문화에 맞는 가족기능을 측정하고 이해하기 위한 간단하고 명확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가족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tress and family function of childhood cancer illness. This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81 parents. Researcher visited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from October 7 to October 31, 2002. A study tool developed by Park Soonyoung(1999) and modified to measure the stress of the parents and another study tool FACES III developed by Olson(1985) and modified by Lim Chonghan(1990) for measuring family function,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average stress score of the parents was 1.22. The average psychological stress score was 1.36 while the average physical stress score was 1.08 thus revealing psychological stress of the parents is higher than physical stress. 2. Of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parents, in family adaptability showed that 91.4% was confused status , 6.2% flexible status , and 2.5% rigid status . Family integrity showed that 46.9% was attached status , 35.8% connected status , 9.9% separated status , and 7.4% disconnected status . Evaluating the family type based on the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integrity showed that extreme type was 51.9%, moderate type 44.4%, and harmonious type 3.7%. 3. Analyzing the str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indicated that those who have religion felt less stress than non-religious parents(t=-2.210, p=.030). For physical stress, parents aged 40 years and less felt more stress than parents aged over 40 years old(F=3.448, p=.037). Which means younger parents felt more stress than older parents. 4.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tress and family function indicated adverse-co-relationshi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r=-.461, p=.000). 5. When family integrity was disconnected, psychological(F=3.148, p=.030) and physical stress(F=4.160, p=.009) was high. When family integrity is rigid, psychological(F=7.548, p=.001) and physical stress(F=4.901, p=.010) was high. When parents stress increased, while family function decreased. Thus nursing intervention must be utilized properly to release the stress of the parents and family fun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II. 문헌고찰 = 5 A. 가족 스트레스 = 5 B. 가족 기능 = 10 III. 연구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 18 C. 연구도구 = 18 D. 자료수집방법 = 20 E. 자료분석방법 = 21 F. 윤리적 고려 = 21 IV. 연구결과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1.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특성 = 22 2. 암환아의 특성 = 23 B.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 = 24 1.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 = 24 2.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신체적 스트레스 정도 = 25 3. 암환아를 돌보는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 = 26 C. 암환아 부모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 27 1. 암환아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 = 27 2. 암환아 부모의 신체적 스트레스 정도 = 28 D. 암환아 부모의 가족기능 = 29 E.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기능과의 관계 = 31 1. 암환아 가족의 응집력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 = 31 2. 암환아 가족의 적응력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 = 32 3. 암환아 가족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 = 32 V. 논의 = 33 VI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2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