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Title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Authors
안영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노년기는 자신의 살아온 역사 속에서 일생을 마무리하며, 새로운 모습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준비기에 있는 세대이다. 따라서 그들의 생애 마지막 단계에서 지나온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앞으로 남은 생애에 대한 희망을 찾도록 돕는 것은 노인의 발달과업인 자아의 통합(Erikson, 1963)을 이루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시작된 노인에 대한 연구에서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에 대해 탐구하고 검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으며, 국외에서도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그들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02년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3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을 하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신뢰성을 판별한 후 본 조사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내 소재 2개의 노인복지관, 3개의 복지관과 경기도 소재 교회부설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0명을 임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인의 삶의 의미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Frankle의 의미요법에 근거를 둔 태도검사문항으로 구성된 것으로 Crumbaugh와 Maholick(1969)에 의해 개발되고 남궁달화(1980)가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이정지(1995)가 재구성한 삶의 목적척도(Purpose in Life: PIL)를 사용하였다. 자기 존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ogenberg(1965)가 개발한 자기존중감 측정도구를 전병재(1974)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정신건강 정도는 최영희(199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의 정신·정서건강 사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는 기술통계로 분석하고, t-test, one 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대상자의 삶의 의미 수준은 총점 범위 20~140점에서 평균은 90.48±12.66점, 최소값은 62점, 최대값은 126점으로 삶의 의미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는 교육수준(F=11.752, p=0.000), 직업유무 (t=3.420, p=0.001), 생활비 부담유형(F=6.041, p=0.000), 주관적 생활수준(F=18.345, p=0.000), 용돈 만족(F=16.236, p=0.000), 주관적 건강상태(F=9.558, p=0.000), 생활만족(F=17.327, p=0.000)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총점 범위 10~50점에서 평균은 33.18±4.74점, 최소값은 17점, 최대값은 47점으로 나타나 중정도의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로는 교육(F=6.167, p=0.000), 주거형태(F=4.813, p=0.003), 주관적인 용돈 만족도(F=15.472, p=0.000), 주관적인 건강상태(F=8.659, p=0.000), 주관적인 생활만족(F=10.620, p=0.000)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정신건강 정도는 총점 범위 17~85점에서 평균은 71.39±11.21점, 최소값은 29점, 최대값은 85점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련 변수들로는 주거형태(F=5.548, p=0.001), 용돈만족(F=10.294, p=0.000), 건강상태(F=6.465, p=0.000), 질병유무(t=-2.881, p=0.004), 생활만족(F=21.757, p=0.000)이 정신건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r=0.531, p=0.000),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r=0.575, p=0.000),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r=0.555, p=0.000)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순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노인의 삶와 자아존중감,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삶에 긍정적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록 자아존중감 정도도 높고 노인의 정신건강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 정신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영적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는 대상자의 영적 요구를 충분히 사정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elderly psychology as the result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among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suggest new direction of the nurse work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measurement scale s reliability. That was face-to-face interview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September 30, 2002 through October 11, 2002. Then, this research 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4, 2002 to November 15, 2002. The study subjects included the elderly over the age 60 for the total of 200 elderly. They were able to communicate well and agree to this study. As the research tool, Purpose in Life (Crumbaugh & Maholick, 1969) that is based on Frankl s logotherapy and enhanced by Lee (1995) was used and adjus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self-esteem, tool developed by Rogenberg(1965) and translated to Korean version by Jeon(1974) was adjusted in this study. Finally, mental health was measured with Choi(1990) s tool.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1. In the level of meaning of life, the mean score of elderly was 55.16, the highest score was 73, and the lowest score was 41, the score ranged from 20 to 80. Varieties that affect to the level of meaning of life are a level of education (F=11.752, p=0.000), having job (t=3.420, p=0.001), solving pattern for money of living (F=4.6041, p=0.000), a standard of living (F=18.345, p=0.000), the subjective health (F=9.558, p=0.000) and the satisfaction of living (F=17.327, p=0.000). 2. In the level of self-esteem, the mean score was 33.18, the highest was 47, and the lowest 17, the score ranged from 10 to 50. That means moderate the level of self-esteem for elderly. Varieties that affect to the level of self-esteem are the level of education (F=6.617, p=0.000), the housing (F=4.813, p=0.003),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money (F=15.472, p=0.000), the subjective health (F=8.659, p=0.000) and the satisfaction of living (F=10.620, p=0.000). 3. In the level of mental health, the mean score was 71.39, the highest 85, and the lowest 29. That mea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have good mental health. Varieties that affect to the level of mental health are the housing (F=5.548, p=0.001),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money (F=10.294, p=0.000), the subjective health (F=6.465, p=0.000), having disease (t=-2.881,p=0.004), and the satisfaction of living (F=21.757, p=0.000).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r=0.531, p=0.000), meaning of life and mental health (r=0.575, p=0.000),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r=0.575, p=0.000).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orrelation among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for elderl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That means someone who has high level of meaning has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furthermore they become a better mental health. Based on this research I recommend the following In order to increase the elderly mental health and self esteem, the nurse have to aware of and evaluate of their own level of meaning of life and to develop new programs which can increase elderly s meaning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