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출산여성의 일반 분만과 선택 분만에 따른 출산경험의 지각

Title
출산여성의 일반 분만과 선택 분만에 따른 출산경험의 지각
Authors
김희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출산은 여성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발달과업이며 여성의 일생동안 가장 의미 있는 경험으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확인하는 과정이다. 또한 만족스런 출산경험은 어머니 역할수행의 자신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어머니로서의 긍정적인 정체감을 형성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에서 제한된 체위만을 허용하는 일반 분만을 한 여성과 출산여성이 원하는 분만방법과 장소를 선택하여 출산한 선택 분만을 한 여성의 출산경험 지각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것은 출산여성의 분만방법과 장소를 결정할 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3월 1일에서 5월 15일까지 서울과 경기도의 4개의 종합병원과 3개의 개인병원과 2개의 조산원에서 정상분만을 한 출산여성을 임의 추출하였다. 대상자의 수는 일반분만을 한 63명과 선택분만을 한 84명 총 147명 이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Marut & Mercer(1979)가 개발하고 조미영(1988)이 번안한 출산경험의 지각 척도(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scale)로 총 29항목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ANCOVA, t-test, Duncan s test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일반분만과 선택분만의 출산경험 지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어 (p=.000) 선택분만(3.980점)이 일반분만(2.898점)보다 높게 나 타났다. 각 단계별로 보면, 두 군의 진통·분만과정·신생아와의 관계 에 대한 지각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모 두 선택분만의 출산경험 지각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출산경험 지각의 각 항목별로 보면, 두 군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역시 선택분만의 출산경험 지각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임신·분만 관련 특성에 따른 출산경험 지각을 보면 출산 준비교육, 분만형태, 분만장소, 분만 개조자, 가족 참 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 출산준비교육에 참여한 대상자(3.765점)가 참여하지 않은 대상자(3.376점)보다 출산경험 지각점수가 높았다(p=.001). 2) 분만형태에서는 수중분만(4.183점), 완전 자유체위(3.983점), 부분자유 체위(3.857점), 고정 체위분만(2.898점) 순으로 출 산경험 지각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00). 3) 분만장소에서는 조산원(4.041점)이 종합병원(3.071점)보다 출산경험 지각점수가 높았다(p=.000). 4) 분만 개조자에서는 조산사(4.041점), 전문의(3.517점), 수련 의(3.112점) 순으로 출산경험 지각점수가 높았다(p=.000). 5) 진통·분만과정에서 가족이 참여한 군(3.638점, 3.973점)이 참여하지 않는 군(2.856점, 2.985점)보다 출산경험 지각 점수가 높았다(p=.000).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병원에서 제한된 체위만을 허용하는 일반 분만보다 출산여성이 원하는 분만방법과 분만장소에서 출산하는 선택 분만이 더 긍정적이고 만족스런 출산경험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출산경험 지각이 분만형태와 분만장소, 분만 개조자에 따라 다르며 출산준비교육의 참여와 함께 진통과 분만과정에서 가족의 참여가 만족된 출산경험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험성이 적은 정상임신인 경우 기존의 종합 병원분만보다 다양한 분만방법과 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고위험 임신·분만인 경우는 병원중심의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위험요인을 예방하여 안전한 분만을 하도록 해야 하겠다. 이처럼 선택분만에 의한 만족된 출산경험은 긍정적인 모아 관계를 형성하고, 모성 정체감과 어머니 역할수행의 자신감 및 만족감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출산 준비교육에 분만방법과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임신여성에게 제공하여 적합한 분만방법과 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2. 분만장소와 방법에 따라 출산여성과 신생아의 합병증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비교연구를 제언한다. 3. 일반분만과 선택분만 후 모성정체감,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비교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and to compar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peformed in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y and selected delivery type respectively, and thus to provide the database about what delivery method, place, and environment have an crucial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baseline data to explore if nursing intervention could improve the perception women have of the birth experience. The data was collected at 4 general hospitals, 3 clinics, 2 nurse-midwife clinics in Seoul and Kyonggi Do from March 1 to May 15, 2002. The subjects were 63 women who had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ie and 84 women who selected the type of delivery they had (including delivery method, location, assisting personnel, persons present). The instrument was translated by Cho, Mi Young (1988) based on Marut & Mercer s(1979) tool and analyzes a woman s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 SD, t-test, χ²-test, ANOVA, ANCOVA and Duncan s test wit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 -ption of birth experience between women who had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y and those who selected their type of delivery(p=.000). Women who had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y perceived birth experience with much satisfaction rather than those who selected their type of delivery.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wo groups of women and how they perceived the birth experience related to obstetrical factors, the childbirth education(p=.001), delivery method(p=.000), delivery location (p=.000), medical person (p=.000), and family participation (labour process·delivery process, p=.000). This results show that women who had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y perceived birth experience with much satisfaction rather than those who selected their type of delivery.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the proper selection of delivery typ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situation may make the desirable mother-infant relationship possible and that the promotion of maternal identity,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 1. Information about various types of delivery and different possible locations for the delivery need to be included in these childbirth education programs. 2. Research on the difference of newborn and postpartum complications that occur in different delivery locations and methods needs to be done. 3. Research comparing the maternal identity and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women who have a traditional hospital delivery with those who select their type of delivery needs to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