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수-
dc.creator조윤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완벽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완벽주의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과는 달리 완벽주의에 긍정적인 특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아 완벽주의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Rheaume, Freeston과 Ladouceur (1995)가 개발한 완벽주의 질문지(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를 사용하였다. 완벽주의 질문지는 완벽주의 성향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를 측정하는 두 개의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의 구성개념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완벽주의 질문지에 의해 완벽주의적 성향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 각각을 자신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과 우울, 걱정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완벽주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정의하고 완벽주의 집단 중에서도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낮은 집단을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높은 집단을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정의하여 이들의 특성을 자신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생각, 우울, 걱정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53명의 여고생들이었으며 자신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생각, 우울, 걱정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를 나타내는 자극문장을 제시하였고 주관적인 측면이 강한 자기 보고식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히기 위해 자기보고식 평가와 동료에 의한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벽주의적 성향은 자기 보고식 평가에서 자신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우울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동료에 의한 평가에서는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완벽주의적 성향에 대한 평가는 자기 보고식 평가와 동료에 의한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는 자기보고식 평가나 동료에 의한 평가에서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는 자기 보고식 평가에서 자신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동료에 의한 평가에서도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는 우울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완벽주의 집단은 자기보고식 평가와 동료에 의한 평가 모두에서 비완벽주의 집단보다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에서는 자기 보고식 평가에서는 완벽주의집단과 비완벽주의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료평가에서는 완벽주의 집단이 더 우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에 따른 집단구분에서 자기보고식 평가에서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높은 집단은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낮은 집단보다 자신감이 더 낮고 우울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에 의한 평가에서도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의 비교는 자기보고식 평가에서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보다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에 의한 평가에서도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은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보다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성향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간에 상호작용효과는 동료가 평가한 자신감에서 나타났는데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으면서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낮을 때 동료가 보기에 자신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으나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높으면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능적 완벽주의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보다 자신감이 높고,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완벽주의의 긍정적 특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동료에 의한 평가에서는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나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집단은 자신감이 높아 긍정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우울 또한 많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동료들은 완벽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면도 인정하지만 부정적인 측면 또한 강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 Previous research into perfectionism has focused on clinical populations resulting in bias towards a negative, pathologically inclined conceptualiz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funtional aspects of perfectionism. Perfectionism Questionnaire(PQ) is a measure which can distinguish functional perfectionists from dysfunctional perfectionists. PQ is composed of two parts, i.e. perfectionistic tendency and negative outcom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perfectionistic tendency and negative outcomes.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relationship perfectionistic tendency, negative outcomes, self-compete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worry. The PQ, stimulus sentences which represent self-compete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worry were administered to 453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vide perfectionists into functional perfectionists and dysfunctional perfectionists by PQ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To validate objectivity of results, self-reports and peer-ratings were administered toget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fectionistic tendency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lf-competence and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by self-reports. But perfectionistic tendency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 by peer-ratings. Negative outcomes from perfectionism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 and negatively with self-competence, there is no disagreement betweem self-reports and peer-ratings. Functional perfectionists showed higher self-competence than dysfunctional perfectionists. there is no disagreement between self-reports and peer-ratings.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fectionistic tendency can be functional and proved existence of functional perfectionists by self-reports and peer-ratings. Areas of agreement and disagreement between self-reports and peer-ratings a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 6 C. 연구가설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완벽주의에 관한 초기 연구 = 7 B.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이용한 완벽주의 연구 = 10 C. 완벽주의에 대한 기능적 접근 = 13 III.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측정도구 = 20 1. 완벽주의 측정 2. 긍정적, 부정적 심리적 특성 측정 = 21 C. 연구절차 = 22 D. 자료처리 = 23 IV. 연구결과 = 24 A. 완벽주의적 성향,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의 특성 = 24 B.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의 비교 = 32 C. 완벽주의적 성향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의 상호작용 효과 = 34 V. 결론 및 논의 = 36 참고문헌 = 45 부록 = 55 영문초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2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완벽주의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