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도영-
dc.creator유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monstrative analysis of locational determinations of high technology industry and to suggest policy that is needs to be considered in inviting high tech industry by local government. The success of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experience in U.S aroused interest in high-tech industry in Japan and Taiwan. In Korea, there was an attempt to raise high-tech industry on central governmental level from the beginnings of 1990s. When taking a look at locational distribution of high tech industry, it is still centered on existing industrial state and Metropolitan area, which cancels the positive effect of regional development accompanied by high-tech industry. We tried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influential in locational decision by analysing present distribution of high-tech industry. Following method and direction of study was established to achieve this purpose. (1) The concept of high-tech industry is vague because this term was originated from practical need(this term is not being used in academic sense), but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3 digit of KSIC, we regarded micro-electronics, mechatronics, advanced materials, fine chemistry, bionics, optical industry, aircraft industry and automobile industry as a high-tech industry. (2) Regarding the scope of time and space, we adopted 15 local government as a analysis unit from 1990 through 1998. (3) As for the method of study, locational distribution by region based on value of sales is adop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which considered to be influential in locational decision of high-tech industry are categorized into R&D potential power, accumulation of industry, infra structure, amenity, financial assistance concerni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finally made an quantitative analysis including the year and region. (4)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as analyzing method and locational decision of high-tech industry is analyzed both generally and individually. Following several conclusions were induced from this study. First,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igh-tech industry location and it s crucial factor. As for the high-tech industry classified by it s category of business(including whole high-tech industry),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goods transport of infrastructure, the workers ratio of manufacturing in accumulation of industry and in the number of research center attached to private enterprise and applications by cities and provinces, noticeab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workers ratio of transport, storage & communications and in the length of express high way. Second, The result fro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high-tech industry location and it s crucial factor is as follows. In case of general high-tech industry,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in the category of the number of research center attached to private enterprise ,applications by cities and province, R&D potential power, workers ratio of manufacturing in accumulation of industry, amenity, year and regional mass and negative influence was found in financial assistance concern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case of individual high-tech industry, there was slight difference between each business field, but generally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in workers ratio of manufacturing in accumulation of industry, R&D potential power, amenity, year and regional mass and negative influence still persisted in the field of financial assistance concerning science and technology. Third, finally, locational policy for high-tech industry in 1990s, like existing industrial location policy, was foun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support of governmental policy such as 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and preparation of industrial area and it is still centralized in Capital area and several industrial complexes which resulted in cancellation of positive effect attended by high-tech industry such as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growth of permanent population. Thus,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 to activate regional economy by inviting high-tech industry, security of workforce needed for research and aggressive utilization of research institute located in local area, raising high-tech industry focusing on regional specialization industry by grasping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is required and exert for securing financial sourc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tax system and financial assistance is needed and in a long term perspective, not only technological infra described above but also creating comfortable and agreeable settlement environment focused on life, culture and education etc. is important.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첨단산업의 입지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첨단산업 유치시 고려해야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실리콘밸리, 루트 128의 성공사례를 통해 일본, 대만 등에서의 첨단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90년대 초부터 중앙정부차원에서 첨단산업을 육성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 첨단산업의 입지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기존의 공업단지와 수도권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편중됨으로써 첨단산업이 갖는 지역발전의 긍정적 효과가 상쇄되어졌다고 본다. 이에 첨단산업의 분포현황를 통해 입지결정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과 방향을 설정하였다. (1) 첨단산업이라는 용어는 학술적 의미가 아닌 실용적 필요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개념 자체가 불명확한 상태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KSIC(한국표준산업분류) 3digit를 기준으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메카트로닉스, 신소재, 정밀화학, 생물산업, 광산업, 항공기, 자동차를 첨단산업으로 보았다. (2) 시·공간적 범위는 1990~98년 동안의 15개 지방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하였다. (3) 연구방법은 첨단산업의 출하액(매출액)을 근거로한 지역별 입지분포를 종속변수로 채택하고, 첨단산업의 입지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들을 연구개발잠재력, 산업의 집적, 인프라스트럭쳐, 쾌적성, 과학기술 관련 재정지원의 5가지로 범주화하여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연도 및 지역더미를 포함하여 계량적 분석을 하였다. (4) 분석기법은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첨단산업의 입지결정요인은 첨단산업 전체에 대해서 그리고 개별 첨단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첨단산업입지와 결정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전체 첨단산업을 비롯하여 업종별 첨단산업에 있어서 민간기업 부설 연구소의 수와 시도별 출원건수, 산업의 집적 중에서 제조업 근로자 비율, 인프라스트럭쳐에서 화물수송, 연도 및 지역더미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공업단지 비율, 운수창고 및 통신업 근로자 비율, 고속도로 현황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첨단산업입지와 결정요인간분석의 결과는, 전체 첨단산업의 경우에는 민간기업 부설 연구소의 수와 시도별 출원건수의 연구개발잠재력, 산업의 집적 중 제조업 근로자 비율, 쾌적성, 연도 및 지역더미가 정(+)의 영향력, 과학기술 관련 재정지원이 부(-)의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개별 첨단산업별로는 약간씩 상이하지만 대부분 연구개발잠재력, 산업의 집적 중 제조업 근로자 비율, 쾌적성, 연도 및 지역더미가 정(+)의 영향력을 미쳤고, 과학기술 관련 재정지원은 여전히 부(-)의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국 90년대 첨단산업의 입지정책은 기존의 산업입지조성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국토개발계획과 공업단지의 조성과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여전히 수도권과 몇몇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집중화 경향을 보임으로써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정주인구의 확대 등 지역차원에서 첨단산업의 긍정적인 효과들이 상쇄되어졌다고 해석되어진다. 따라서 향후 지방자치단체들이 첨단산업을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면, 연구개발에 필요한 인력 확보 및 지방소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활용, 기존 산업구조를 파악하여 특화할 수 있는 지역특화산업 중심의 첨단산업 육성, 세제나 금융지원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재정마련에 노력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인 인프라 뿐만 아니라 생활, 문화, 교육 등을 중심으로한 쾌적하고 편리한 정주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보여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의 방법 = 4 제 2 장 첨단산업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제 1 절 첨단산업의 의의 = 5 1. 첨단산업의 개념 = 5 2. 첨단산업의 특징 = 7 3. 첨단산업의 중요성 = 8 1) 국가 경제발전 촉진 = 8 2) 산업구조의 고도화 = 9 3) 국제경쟁력 강화 = 9 4) 지역발전 = 9 (1) 지역경제 활성화 = 9 (2) 정주인구의 확대 및 고용창출효과 = 10 (3) 지방 산업구조의 고도화 = 10 (4) 국토이용의 극대화와 지역의 균형발전 = 10 4. 첨단산업의 범위 = 11 1) 선진 외국의 첨단산업 분류 = 12 2) 우리나라의 첨단산업 분류 = 12 (1) 첨단기술산업발전심의회(산업연구원,1989) = 12 (2) 상공자원부 첨단기술산업분류(1994) = 14 (3) 산업연구원(1994) = 16 (4) 업종별 첨단산업의 특징 = 18 제 2 절 입지이론 = 20 1. 분산·산재론 = 20 2. 제품수명주기이론 = 21 3. 입지요인 편재론 = 22 제 3 절 첨단산업의 일반적 입지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 23 1. 일반적 이론 연구 = 23 2. 실증적 연구 = 26 3. 업종별 첨단산업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 27 제 4 절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동향 = 29 1. 첨단산업발전 5개년계획(1989) : 상공부 = 29 2. 첨단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1990-96) : 과학기술처 = 30 3. 신경제 5개년계획(1993-97) = 30 4. 과학기술혁신 5개년계획(안)(1997) : 과학기술처 등 5개부처 = 31 제 5 절 분석틀 = 31 제 3 장 첨단산업의 현황 = 33 제 1 절 제조업 대비 첨단산업의 매출액 비교 = 33 제 2 절 지역별 첨단산업 현황 = 33 1. 광역시 중심의 첨단산업 = 34 2. 도단위 중심의 첨단산업 = 35 제 3 절 업종별 첨단산업의 현황 = 36 제 4 장 첨단산업 입지결정요인의 실증분석 = 38 제 1 절 첨단산업 입지와 결정요인의 선정 = 38 1. 표본 및 자료수집과정 = 38 2. 첨단산업 입지분포의 측정 = 38 3. 첨단산업 입지의 결정요인 선정 및 지표화 = 39 1) 연구개발잠재력 = 40 2) 산업의 집적 = 40 3) 인프라스트럭쳐 = 41 4) 쾌적성 = 42 5) 과학기술 관련 재정지원 = 43 제 2 절 실증분석 = 44 1. 분석방법 = 45 2. 첨단산업 입지와 결정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46 1) 전체 첨단산업 = 47 2) 업종별 첨단산업 = 48 (1)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산업 = 48 (2) 메카트로닉스산업 = 49 (3) 신소재산업 = 49 (4) 정밀화학산업 = 50 (5) 생물·광산업 = 51 (6) 자동차 및 항공기 산업 = 52 3) 상관관계분석 종합 = 53 3. 첨단산업 입지와 결정요인간의 다중회귀분석 = 54 1) 전체 첨단산업 입지의 결정요인분석 = 56 2) 업종별 첨단산업 입지의 결정요인분석 = 59 (1)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산업 = 59 (2) 메카트로닉스산업 = 61 (3) 신소재산업 = 63 (4) 정밀화학산업 = 65 (5) 생물·광산업 = 67 (6) 자동차 및 항공기산업 = 69 3) 분석결과 종합 = 71 제 5 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74 제 1 절 요약 및 결론 = 74 제 2 절 정책적 제언 = 75 제 3 절 본 논문의 제한점 = 77 참고문헌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51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첨단산업의 입지요인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