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자영-
dc.creator곽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82-
dc.description.abstract도시의 발달에 있어 산업활동과 도시교통은 상호밀접한 관계에 있다. 도시로 인구가 집중하며 경제활동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사람과 화물의 이동 즉 교통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교통망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같은 교통의 발달은 도시화를 더욱 촉진시키면서 또다른 교통수요를 낳고 이를 충족시키면서 도시가 더욱 발달하게 된다. 즉 도시의 산업활동과 교통의 관계는 순환적인 관계로 상호 영향을 미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산업활동이 교통 특히 통행과의 관계, 그리고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선행연구에서는 통행에 관한 연구에서는 주로 통근통행을 위주로 분석하였고, 특히 통행수단선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개별 통행자 위주의 분석을 통해 개별통행자의 통행행태의 결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근래에 들어 개별 통행자의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개별통행자의 직업이나 산업적 특성에 대해서는 그 비중이 낮았으며 개별통행자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도시의 산업활동보다는 개인의 직업이 전문직인가, 단순사무직인가 등에 주안점을 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통행자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한 단위지역의 통행과 산업활동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도시의 산업활동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거시적으로 보고자 하였다. 특히 산업활동은 산업고용의 측면에서 고용자수와 단위면적당 고용자수인 고용밀도를 중심으로 통행과의 관계,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고용자수 자체가 하나의 통행의 발생을 의미하며 또한 산업의 특성에 따라 많고 적은 통행을 유발함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고용자수와 고용밀도로 표현되는 산업활동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고용자수를 기본자료로 하는 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산업고용 외에 통행에 미치는 변수로 인구, 권역내의 주요 교통결절점으로서 전철역과 권역외부와의 교통결절점으로서 기차역과 버스터미널을 변수로 두어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들을 고려하였다. 기본적으로 통행발생모형에 근거하여, 산업고용과 통행간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점과 통행은 산업고용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기본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행정동을 기준으로 구성된 인구, 고용, 통행자료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목적통행밀도와 수단통행밀도 두 측면과 산업별 고용밀도간의 상관관계분석, 두 측면의 통행에 산업별 고용밀도가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고용과 총목적통행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총고용은 총목적통행에 정(+)의 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통행은 대부분의 산업별 고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대부분의 산업고용이 총통행에 정(+)의 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숙박 및 음식점업, 건설업, 운수·창고 및 통신업 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각 목적통행별로 산업고용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주로 도착지기준의 통행과 산업고용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회귀분석의 결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친교목적통행에는 숙박 및 음식점업 고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목적통행과 구매목적통행, 출근목적통행에는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고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등교목적통행에는 교육서비스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용무와 관련한 통행에서는 대부분의 산업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특히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목적통행과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그리고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나타낸 점이 특징적이다. 한편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고용의 경우 대개의 목적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거나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총고용과 총수단통행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총고용은 총수단통행에 정(+)의 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산업별 고용과 총통행은 대부분 산업고용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시·내외 노선버스를 이용한 통행이 대부분의 산업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근·통학 및 기타버스를 이용한 통행의 경우 건설업,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고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택시통행의 경우 숙박 및 음식점업 고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용차통행과 전철통행의 경우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을버스를 이용한 통행의 경우 인구, 교육서비스업 고용, 전철역 수에만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회귀식에서의 설명력도 낮게 나타났다.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 고용은 대부분의 수단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 두 산업은 통행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산업으로 볼 수 있겠다. 넷째, 산업고용 외의 변수로 인구, 교통결절점에 관한 변수도 통행에 대해 상당부분 유의한 관계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합하면 산업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러 산업 가운데 특히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이 여러 목적통행과 수단통행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보면 산업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함을 알 수 있고 특히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연구대상기간은 물론이거니와 현재의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최근에 들어 이미 많은 시설이 입지해 있고 시민들이 혼잡에 대한 불만을 느끼고 있는 도심과 부도심에 계속해서 대형 도·소매 상업시설이 들어서고 있는 것에 대한 지적을 가능케 한다. 즉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의 경우 그 특성상 고용밀도 증가가 빠르게 나타나 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클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고용밀도가 이미 매우 높은 중구, 동대문구, 강남구, 영등포구, 종로구에 이러한 산업이 계속 입지하고 확장시켜나가게 된다면 통행밀도는 보다 급격히 높아질 것이며 혼잡으로 인한 외부성의 문제가 더욱 불거질 것이다. 물론 도·소매업의 특성상 집적하는 경향, 불완전한 대체재 등 쇼핑의 외부성이 작용하여 도·소매업의 고용밀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는 없겠지만 혼잡의 외부불경제성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그러한 쇼핑시설의 신규건축허가 등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해야 할 것이며, 현실성 있는 교통영향평가를 통해 적합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이러한 대형 상업시설에 함께 입지하는 음식점업 사업체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같은 산업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최근 이미 혼잡한 도심과 부도심에 초대형 상업시설이 들어섬에 따라 교통문제를 비롯하여 많은 지적과 불만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뚜렷한 대처방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의 회귀식에서 도출된 계수를 통행유발계수로 적용하여 산업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보여줄 수 있으며 이러한 계수를 근거로 입지에 대한 논의나 교통정책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회귀분석 결과, 수단통행 측면에서도 전철역과의 연계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들이 제시되었다. 연구대상기간 현재 5, 6, 7, 8호선의 일부구간만이 개통되어 지하철이 운행되었으나 2000년 말 현재 전체 노선의 대부분이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어 전철을 이용한 통행이 더욱 부각될 수 있는 시점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 더욱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마을버스와의 연계가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마을버스는 근거리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보이며, 마을버스와 전철의 환승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연계적인 시스템을 발달시켜야 할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통행의 이점이 강할수록 승용차를 이용한 통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겠다.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기다리는 시간과 환승에 걸리는 시간에 대한 가치가 차내에서 보내는 시간에 대한 가치보다 크다고 여기는 점이라는 것에 주의하면서 대중교통수단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산업고용과 수단통행과의 관계에서 도보 및 자전거를 이용한 통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산업은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과 교육서비스업이었고, 인구밀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전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도보 및 자전거 통행이 중요한데, 이들 산업들과 도보 및 자전거 이용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고 다른 산업과의 연계를 유도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겠다. 본 논문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후속되기를 바란다. 첫째, 본 논문의 연구대상기간은 1996년 시점의 한 해이기 때문에 한 해의 특성만을 보여주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다른 연도의 경우와 비교하거나 변화분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둘째,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역이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에 한정되기 때문에 서울특별시 권역 외부의 서울이 생활권인 지역을 포괄하여 분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 논문은 그 분석단위를 단위지역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통행거리나 통행시간 등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분석하였지만 통행시간과 통행거리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논문에서는 일일식 가구통행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개개인의 활동측면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되어야 교통정책이나 교통계획의 출발점인 통행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이는 일일식 통행조사보다는 일기식 통행조사 즉 일정한 기간동안의 통행행태 조사가 이에 보다 더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다섯째, 이미 언급하였듯이 본 논문에서는 주로 전일통행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첨두시간에 대한 논의를 따로 하지 않았다. 여섯째, 본 논문에서는 산업고용의 영향 정도를 부각하여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논지에서 벗어난 논의는 제어하기 위해 산업고용의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일부 목적통행의 경우 산업고용데이터와 함께 다른 보완데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있겠다. 통행은 교통정책의 형성과 교통계획의 수립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근거자료이다. 이러한 통행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기초되어야 정책과 계획이 제대로 형성되고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통행에 대한 여러 측면의 분석 가운데 산업고용과의 관계, 산업고용이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보다 나은 많은 연구들이 후속되어 서울의 교통문제의 이해와 해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industrial employments and urban trips and to analyze effects of industrial employments on urban trips in Seoul city. Many previous studies neglect the effect and the function of industrial activity or employment on travel demand and this study emphasize on the effect of industrial activity or employment on person trip generation in the aspect of travel demand. This study focused on why, where and how much person trips generate in one-day life and those person trip generation is influenced by the industrial employments. The person trips are classified into objective trip and modal trip and both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of trip generation models which is used in the first step of the sequential models in the many travel models. It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trip and effect of industrial employment on the person trips or travel demand. Transport census data, number of workers, population data, number of subway stations, railway stations and bus terminals in Seoul in 1996 is used. Analysis unit is person trip and the Dong which is the small zone an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so aggregate models is us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and person trip an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dustrial employment on the person trips generation. The coefficients a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an be used as trip generation rates and used to suggest industrial location policy and transportation policy. In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most of relations between densities of industrial employments and density of trip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effects of many industrial employments on the trip generation is tested siginificantly. In particular,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repair of personal and household goods" and "Hotels and restaurant" influence most kinds of trips and "Construction" and "Transport, storage, and communication" effect many kinds of tri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repair of personal and household goods" and "Hotels and restaurant" are considerable. These industries are labor-intensive and increasing rapidly in the growth of employment so that the effects of these industries on trip generation is more significant and critical. In particular, the externality of congestion as result of growth of trip generation become more critical problem than other problem. The Policy is required to control the negative externality of congestion in result of rapidly growing traffic volume.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linkage of subway with other transportation modes and transfer system. In particular, the linkage of "Maulbus" is important which is running in relatively short route in neighborhood community. All lines of the subway is running as of the later 2000 and the use of the subway is more important than past. Trips by walking and bicycling is not less as one think and walking and bicycling are environment-oriented modes. So the policy to encourage and strengthen to use those trip modes is required. This study is the one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industrial employment as factor influencing travel behavior in the Seoul cit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e proper management strategies or policy of travel demand and traffic volume and consider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industrial employment on the traff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 i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 2 절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2 제 3 절 연구 내용 =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 6 제 1 절 도시교통과 산업 = 6 1. 도시교통의 의의 = 6 2. 도시교통과 산업의 관계 = 7 1) 도시교통과 산업의 관계 = 7 2) 교통체계와 토지이용체계 = 8 제 2 절 통행과 산업고용의 관계 = 10 1.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1) 통행의 개념 = 10 2) 통행행태에 대한 접근방법 = 12 3) 통행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4)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산업고용 = 18 제 3 절 선행연구의 검토 = 19 제 3 장 연구방법의 설계 = 24 제 1 절 분석의 틀 = 24 1. 분석방법 및 가설 = 24 1) 인구, 산업고용, 통행의 지역적 분포 분석 = 24 2) 산업고용과 통행의 상관관계분석 = 24 3) 산업고용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 25 2. 분석틀 = 27 제 2 절 자료와 변수에 대한 설명 = 28 1. 자료에 대한 설명 = 28 2. 변수에 관한 설명 = 29 제 4 장 인구, 고용 및 통행의 지역적 분포 = 32 제 1 절 서울시 인구의 지역적 분포 = 32 제 2 절 서울시 산업고용의 지역적 분포 = 34 1. 서울시 고용의 지역적 분포 = 34 2. 서울시 산업구조 = 35 3. 산업별 고용자수, 고용밀도 및 고용자수/인구비의 지역적 분포 = 37 제 3 절 서울시 통행의 지역적 분포 = 39 1. 서울시 목적통행의 지역적 분포 = 39 1) 목적통행의 구조 = 39 2) 목적통행의 지역적 분포 = 41 2. 서울시 수단통행의 지역적 분포 = 47 1) 수단통행의 구조 = 47 2) 수단통행의 지역적 분포 = 48 제 5 장 서울시 산업고용과 통행간의 관계 분석 = 52 제 1 절 목적통행과 산업고용의 관계 = 52 1. 목적통행과 산업고용의 상관관계분석 = 52 1) 총목적통행과 총고용, 인구, 면적의 상관관계 = 52 2) 목적별 통행과 고용, 인구, 면적의 상관관계 = 53 2. 목적통행과 산업고용, 기타 변수와의 회귀분석 = 59 제 2 절 수단통행과 산업고용의 관계 = 68 1. 수단통행과 산업고용의 상관관계분석 = 68 1) 총수단통행과 산업고용의 상관관계분석 = 68 2) 각 수단통행과 산업고용의 상관관계분석 = 68 2. 통행수단과 산업고용, 기타 변수와의 회귀분석 = 72 제 6 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 79 제 1 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 79 1. 연구의 요약 = 79 2. 정책적 함의 = 81 제 2 절 연구의 한계와 연구과제 = 83 참고문헌 = 85 Abstract = 89 부록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30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시 산업고용과 통행의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