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헤겔의 소유권 사상 이해와 비판 : 신학적 관점에서

Title
헤겔의 소유권 사상 이해와 비판 : 신학적 관점에서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소유는 인간 정신의 작용이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이것을 밝히고 있다. 정신Geist이란 보편과 개별의 통일이다. 자유와 의지Freiheit und Wille는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의 통일이다. 헤겔 철학의 근본 원리는 정신이나 자유가 반드시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헤겔은 이러한 구체화의 근간을 소유권으로 보았다. 인격은 소유를 통해서 이성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이 소유권은 모든 사람이 가져야 할 권리이다. 추상법으로서의 소유권이다. 이 소유권은 자기를 실현할 영역을 필요로 하는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다. 헤겔은 이 영역을 인간 밖의 세계로 설정한다. 이 바깥 세계는 인간으로부터 의지를 부여받아야만 자기 목적을 갖게 된다. 헤겔에게서 물(物)로 설정되는 바깥 세계의 특성은 외면성(externality)이다. 소유는 외면성을 가진 물(物)에 인간 의지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 소유를 통해 인간은 그 물(物)을 지배하게 되고 거기서 자유실현을 이룬다. 따라서 인간의 의지를 실현할 바깥 세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서 사적 소유의 필연성이 나온다. 헤겔은 개인이 무엇인가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의 의미를 본능적 욕구 충족 차원에 두려 하지 않고 윤리적 의미 차원에 두기를 바랬다. 여기에는 헤겔이 인간을 본능에 이끌려 다니는 존재가 아니라 인격으로서 보는 관점이 전제되어 있다. 헤겔이 설정한 추상법으로서의 소유권은 이 전제에서 의의와 동시에 한계점을 갖는다. 헤겔의 소유권 사상을 통해서 모든 인간에게 소유권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그리고 헤겔은 특정 물건을 갖는 것은 소유의 개념이 아닌 점유의 개념임을 명확히 한다. 여기서 점유는 필연이 아닌 우연이며, 현재 내 소유인 물(物)은 언제든지 다른 사람의 것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모든 사람에게 되돌려져야할 권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소유의 분배문제로 구체화되어 사회윤리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그러나 헤겔의 소유권 사상에서 전제되는 인간 의지의 절대성은 인간이 죄인임을 생각할 때 한계를 갖는다. 인간의 본성을 간과하였기 때문이다. 추상적 권리(추상법)는 단지 가능성일 뿐이다. 헤겔은 이 가능성(potentiality)에서 인간의 전능성을 보려 한다. 『법철학』의 주된 논지는 추상화시키는 인간의 능력이 인간 안에 보편적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모든 인간에게 있다는 의미에서만이 아니라, 각 사람 안에 이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 능력은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이념이나 자유의 개념이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이 보편적 능력이 모든 개인에게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보여준다. 소유권은 그 첫 단계이며, 인륜Sittlichkeit(ethical life)은 이의 완성이다. 그러나 타락한 인간 본성을 생각할 때, 추상화시키는 능력이 인간 안에 내재되어 있을지라도 이것이 반드시 자유 실현으로 가지 않을 수도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인간 본성은 소유의 의미를 윤리적 의미 차원보다 욕구 충족 차원에 둘 성향 쪽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이 인간의 실존 상황이다. 제 1장에서는 헤겔의 『법철학』에서 말하는 소유권 개념을 통해 소유의 본질적 개념을 따져본다. 이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헤겔이 왜 소유의 의미를 욕구 충족에 두지 않고 윤리적 의미에 두었는지 알게 될 것이다. 동시에 추상법으로서의 소유권이 사적 소유문제와 충돌하면서 생기는 문제를 본다. 제 2장에서는 성서에 나타나는 소유의 의미들을 찾아가 봄으로써 하나님의 소유권 개념을 생각한다. "인격적인 하나님"(personal God) 상징을 통해 인간의 인격성이 물(物)에 대한 지배로부터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나옴을 살펴본다. 소유와 평등의 논의를 통해 빈곤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함을 밝히고, 이 문제해결에 무관심할 때 우리는 우리의 소유로 죄를 짓고 있는 것임을 초대기독교가 남긴 문헌들을 통해 살펴본다. ; What is the meaning of "mine"? Does the thing belong to me perfectly, when I say "It is mine"? Can we make the thing completely our own thing? What is the operation required in taking possession of the thing? Hegel s account of property in the Philosophy of Right provides us with the best example for solving these questions. In the description of Hegel s account, property is the operation of mind. Mind(Geist) is the unity of the single and universal. Fundamental to Hegel s philosophy is the principle that mind or freedom should be embodied. Property is the first embodiment of freedom. In property a person exists for the first time as reason. Hegel calls this "the rationality of property" in that a person puts his/her will into a thing or makes the thing his/her will. Therefore the owner s will is the primary substantive basis of property. The premise of Hegel s theory is the will is free. The departure of Hegel s account is that the will should not be restricted by anything. Only the will is the infinite, absolute in contrast with everything other than itself. Hegel wants to endow the will with the absoluteness. Therefore, in Hegel s discussion, property is the first embodiment of personality and the first step toward realization of freedom. In relation to the will of person, the th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ity. The thing, as externality, has no end in itself, that is, the thing has no substantiality in itself. Thus all things may become man s property. The thing has its end as far as a person endows the thing with his/her free will. This is the absolute right of appropriation(Zueignungsrecht). For the embodiment of freedom, everyone has the right to give the thing his/her will. This is the abstract right, "everyone must have property", which Hegel describes in the first part of Philosophy of Right. Since property is the means to embody my will, it must also have the character of being "this" or being "mine". Now the theory of the necessity of private property begins. But property as abstract right is distinguished from the particularity that everyone shall his/her "own" property. Hegel does not mean by "property right" satisfying physical wants or need, but a deeper ethical significance of free wills. Hegel s theory on property right as abstract right has both significance and critical point in relation to this discussion. In Hegel s view, we can be aware that occupancy is not necessary but accidental. Hegel commences his argument on property right with abstract right. Abstraction means the exclusion of all particular elements. To have the particular thing means not property but occupancy. Property right has nothing to do with particularity. Occupancy becomes the property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which the phenomenon of "to have" begins with the concept of the philosophy of right. Occupancy depends on the factor such as subjective aims, needs, arbitrariness, abilities, external circumstances, and so forth. How much a person occupies will depends on accidental and particular factors. No one says "It is necessarily mine". Thus the thing which belongs to me might be the property of another person.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right should be returned to everyone. This recognition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social ethics. Hegel s argument can be justified only if everyone has the ability of abstraction. Hegel establishes the premise that the ability of abstraction is discovered in everyone. The main thesis in the Philosophy of Right is that this ability is implicitly universal. Hegel describes how the universal ability is embodied in each man. Property right is the first stage and the ethical life(Sittlichkeit) is the fulfillment of its embodiment. On the theological perspective, however, the will of a person is not absolute. We should consider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human being which the essence and the existence are not in the unity. Everyone has a "distance" in relation to self, others, and God. Greek that is correspondent to "property" is "ta idia". The word of "ta idia"("to be distant") has the meaning in contrast with "ta koina"("public common work"). Therefore the word of "property" implicates "private property".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recognize that private property relates to the problem of sin, that is, the distance from God. So the common property community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shows a significant meaning in relation to resolving the problem of distance. Considering the radical evil or original sin, we should recognize that man is inclined to put the meaning of property not on the ethical significance but on the satisfying physical wants or needs. Therefore the concept of property as the embodiment of freedom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an s will as the basis of Hegel s philosophy should be modified. The embodiment of freedom and the realization of personality depend not on the control of external world but on the relations of God to man. The concept of personality is based on the event of Incarnation. The externality of the thing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an s will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Hegel s theory, everyone has the right to destroy the thing and transform it into his/her own. This point of view justifies the externalization of all things; not only the external world but also human being. Man has chosen "to possess" after the Fall; the distance from God, using the free will at his/her disposal. Man has an inclination to fulfill this distance with possession. Therefore Hegel s theory on property right is reinterpreted in the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the wi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