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최인훈 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 '춘향뎐', '놀부뎐', '옹고집뎐'을 중심으로

Title
최인훈 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 '춘향뎐', '놀부뎐', '옹고집뎐'을 중심으로
Authors
연남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최인훈의 「춘향뎐」,「놀부뎐」,「옹고집뎐」을 텍스트 내재적인 서사기호학을 방법론으로 분석하여, 「춘향전」,「흥부전」,「옹고집전」의 원텍스트와는 차별화된 개별적인 작품으로서 그 자체의 문학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인훈의 일련의 개작 소설들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의 시각은, 이 작품들이 구소설을 다시 썼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기준점을 원텍스트에 부과하여 그것의 아류작 정도로 여기거나, 작가에 초점을 두고 창작 의도나 그의 세계관에 치중하는 등의 외재적 접근에만 머무르고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렇게 본격적인 작품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을 방법론의 부재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이라는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대상작들을 온전한 독립된 작품으로서 분석해낼 수 있었다. 분석 방법으로 도입한 서사기호학적 시각을 통하여 텍스트를 핵심적 의미의 논리 관계의 심층층위와, 전개의 서술성에 따라 파악되는 표층층위, 또 그것을 조직하고 형상화하는 담화층위, 그리고 우리가 대하는 그대로의 텍스트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표출층위의 층위 개념을 갖는다고 보고, 개별 작품 자체가 주는 정보성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분석을 따라 표면적 층위에서의 자세한 비교 분석에서부터 작품 심연의 의미까지 총체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은 이러한 구조적인 시각에서 각 층위별로 진행되었으며, II장에서의 표층적인 이야기체 층위에서 서술진행구조를 파악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III장에서는 공간 구조 분석이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IV장에서 텍스트 내부의 심층 의미를 밝혀내는 순서에 따라, 각 장의 단계별로 A항에서는 「춘향뎐」, B항에서는 「놀부뎐」, 그리고 C항에서는 「옹고집뎐」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II장에서는 표면의 스토리 층위에서 각 텍스트의 구조와 진행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야기는 서술 프로그램 을 통해 진행되는데, 이 때 통사 행위의 주체인 행동주들은 욕망(vouloir)이 관여하는 주체와 대상, 지식(savoir)이 지배하는 발신자와 수신자, 그리고 능력(pouvoir) 부여 여부에 따른 보조자와 반대자라는 6항의 행동자모델 의 동계사적 기능에 따라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표층 수준에서의 분석의 결과, 원텍스트에서는 동일하게 보조자가 등장하고 그 도움으로 행동주가 구원되는 단일한 주체의 원인 행동-발신자의 조종-주체의 변화 의 삼 단계의 전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최인훈의 각 텍스트는 구조적으로 복합적인 서술 프로그램을 통해서, 조력자가 존재하지 않는 부조리한 현실 세계에서 의지적으로 행동하고 고민하는 행동주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었다. 최인훈의 세 텍스트에서 각각 새로운 공간이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III장에서는 <상. 중. 하>의 수직축과 <내. 경계. 외>의 수평축으로 분할되어 있는 공간의 체계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행동주의 동계사적 행위에 따라 텍스트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간 구조의 의미를 분석해 내었다. 그 결과 원텍스트에서는 공통적으로 상-중-하 의 수직적인 삼분법적 공간체계를 보이며, 이 때, 상 공간의 위에서 아래로의 하방적인 메시지의 부여를 통해 공간체계가 확립되므로, 행동주는 상 공간의 도움과 지배를 받는 수동적 인간형이 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최인훈의 작품에서는 인물이 위치하는 현세 공간이 부조리한 공간으로 드러나며 이러한 문제점이 극복된 이상적인 공간은 바로 주체가 찾아나서는 공간의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다. 주체가 자신이 처해 있는 공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공간 이동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텍스트에서의 공간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문 II장과 III장에서 살펴보았던 이야기 진행양상과 공간의 의미와의 관계 하에서 IV장에서는 각 텍스트별로 동위소에 따른 의미소들의 대립항을 찾아 이들을 기호학적 사각형에 배치시킴으로써 의미 관계를 알아내고, 나아가 통사적인 조작을 통하여 의미의 변형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텍스트 심층의 최종적인 의미 도출이 이루어졌다. 즉, 권선징악적 장치 하에서 지배 이념인 유교윤리를 권장하는 당위의 교과서와 같은 원텍스트와는 달리, 최인훈의「춘향뎐」,「놀부뎐」,「옹고집뎐」은 보통사람들이 살고 있는 현실 공간의 문제를 주목함으로써 한 개인의 문제에서 서민층의 문제로 논의를 확장시켰다. 현실 사회는 부정부패의 온상이며, 권력층이 서민층을 억압하는 극도로 비극적이면서, 인물들에게 불의와 타협하기를 강요하는 공간으로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물들은 쉽게 타협하려 하지 않고 끊임없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의지적으로 대처함으로써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놀부는 불합리한 현실의 모습을 고발하고 있으며, 춘향은 자신의 의지로써 현실에서 탈출하여 이상향을 제시하고, 옹고집은 현실 타협을 강요받으면서도 끝까지 양심을 고수하고 있다. 이렇게 최인훈의 「춘향뎐」,「놀부뎐」,「옹고집뎐」은 우리 시대의 현실 공간의 폭력성과 한계성을 목도하고, 이 비극적인 상황에 건강한 정신을 가진 의지적 인물들을 통해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해 주고 있는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oi In-Hoon s "Choonhyang Dyun", "Nolbu Dyun" and "Ongojib Dyun" using the methodology of text-inherent narrative semiology and showing the distinct literary value of the above novels as works independent from the original text of "Choonhyang Jun," "Nolbu Jun" and "Ongojib Jun." The approach taken in the analysis of Choi s works so far did not extend beyond the notion that he had only re-written the classical novels and focused on the original text. The prevailing analysis is limited in that Choi s works were seen as epigones only of the original text or the analysis focused on the author himself and approached his works externally, such as focusing on his creative intent or worldview. This study sees the cause of lack of analysis as the lack of methodology and used semiology to analyze the works as independent literary works. Through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semiology, the text is divided into profound level of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ore meanings, surface level which is discovered along the narration, discourse level which organizes and forms the narration and manifest level which is the text as we see 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given by the text itself,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the meanings from detailed comparison and analysis at the surface level to the profound structure of the text through structural analysis. The analysis proceeds at each level through this structural methodology, starting with grasping the narrative program structure in the surface narrative level in Chapter II, moves on to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in Chapter III, and finally, discovers the profound textual meaning. In each Chapter, "Choonhyang Dyun" is analyzed in Section A, "Nolbu Dyun" in Section B and "Ongojib Dyun" in Section C. Chapter II analyzed the structure of each text and progress at the surface narrative level. The text proceeds through the narrative program. In this process, actants, the acting subjects in the narrative are related to the syntagmatic function of "actantial model" in six roles as the subject and object concerned by desire (vouloir), as the addresser and addressee ruled by knowledge (savoir) and as the helper and opponent depending upon the existence of ability (pouvoir).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urface level shows that each original text is identical to each other in the appearance and relief of actant by helpers and in the three-level procedure consisting of "original act by the subject," "multipulation by the addresser" and "change in the subject." On the other hand, each of Choi s text, through the complex narrative program, reveals the actants acting willingly and agonizing over the unreasonable world where the helper does not exist. Paying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the new space in Choi s each text, Chapter III analyzed the meaning of the spatial structure appearing in the text by syntagmatic acting of the actant, using the systematic spatial methodology divided along the vertical axis and horizontal axis by "top, medium and bottom" and "inside, boundary and outside",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original text has a vertical spatial system, divided ideatically into three and the spatial system is established by a grant of downward message from top to bottom. The actant is shown as a passive human being who is helped and ruled by the top space. On the other hand, in Choi s text, the present space in which a person is located is revealed as an unreasonable space, and the ideal space where the problems are overcome is revealed as the space which the subject seeks out. As the subject recognizes the problems in the space where he is located, he discovers the solutions by transferring aggressively, and thus, there is a prominent importance placed on the space in the tex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progress aspects and spatial meanings shown in Chapters II and III, Chapter IV fi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s by finding opposite items of "seme" along with "isotopie" in each text and locating them in a semiotic square. Chapter IV proceeds to discover the final meaning of the profound level of the text through the recognition of transfer process of the meanings with syntagmatic multipulation. Choi s "Choonhyang Dyun", "Nolbu Dyun" and "Ongojib Dyun" extend the argument from an individual problem to the common people s problem by concentrating on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pace where the common people live, unlike the original text which was the Confucian canon encouraging the prevailing ideology of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The present society is revealed as a dishonest and corrupt space, is extremely tragic because of the powerful s suppression of the powerless and forces characters to compromise with injustice. Nevertheless, the characters search for the answers by consistently considering how to live and by willingly responding instead of compromising. Nolbu shows the unreasonable present forces, Choonhyang presents the ideal and escapes the present on her own, and Ongojib remains true to his conscience to the end in spite of being forced to compromise with the present condition. Choi s "Choonhyang Dyun," "Nolbu Dyun" and "Ongojib Dyun" recognize the violence and limits of the present space in our times and sends out a message of hope through the wilful characters with healthy spir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