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朝鮮後期 烈女傳 硏究

Title
朝鮮後期 烈女傳 硏究
Authors
홍인숙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 열녀전 가운데 17세기 중반 이후 전쟁을 배경으로 하지 않는 열녀전 75편을 대상으로 그 실상을 드러내고, 烈 이라는 여성 윤리가 열녀전 속에서 당대 여성들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조선 후기라는 역사적 시기는 양대 전란 이후에 중세적 이념과 질서가 점차 해체되어 가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개인 문사들에 의해 창작된 열녀전은 양적으로 전 시기에 비해 크게 늘어났으며, 남편을 따라 자결을 결행하는 여성들을 주로 입전하고 있었다. II장에서는 열녀전을 傳이라는 문학 양식의 기본 구조대로 가계-행적-찬의 순서대로 살펴보았다. 우선 가계가 언급된 부분에서 열녀전에 입전된 여성 인물들의 신분 배경과 지역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행적 부분은 열 수행 양상을 중심으로 열행 이전의 행적과 열행 자체를 수행할 때의 행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평가 부분에서는 贊의 내용에 따라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찬의 내용을 살펴보고, 열행에 대하여 특별한 견해를 피력하고 있는 작가들의 찬을 별도로 살펴보았다. 여성 인물의 신분적 경향에서는 상층 양반 여성들이 주로 입전되었지만 명문거족 출신의 여성들보다는 한미한 향촌 사족의 배경을 가진 여성들이 주로 입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상층 여성들보다는 그 수가 적지만 다양한 신분적 배경의 하층 여성들도 입전 대상이 되고 있었다. 지역적인 배경을 보았을 때, 서울·경기 지역 출신 여성은 극히 드물게 나타났으며, 특히 영남 지방에서 열녀의 배출이 집중되고 있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행적을 서술하는 열녀전의 서사 부분에서는 일정한 서술 단락들이 발견되었으며, 서술 단락의 진행에 따라 여성 인물의 행위 유형이 대체로 고정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인물에게 나타나는 열 수행 이전의 모범적인 성품 및 행적은 이후 헌신적인 열 수행 행위 자체로 인과성 있게 이어지며 서술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열녀전을 입전한 작가들 가운데 열행을 평가하는 태도 면에서 개성이 뚜렷하게 감지되는 작가들을 분류하여 작가군으로 나누어 보고, 각 작가군이 선호하며 창작한 열녀전이 어떠한 경향으로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조선 후기 열녀전에 입전되어 있는 당대 여성들의 삶에서 烈 이념에 대한 인식과 열행 경험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인문학에서 시도되고 있는 몸 담론을 간단하게 검토하고 열녀전 서사에서 여성의 신체가 중요하게 의미화되고 있는 국면들을 살펴보았다. 열 윤리는 고도의 정신적 가치이지만, 그 가치가 실현되는 것은 여성 몸의 경험과 실천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신체가 남편의 간병을 위해 사용되는 국면에서 여성의 몸은 순종하는 몸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여성의 신체적 감각과 고통이 無化되어 서술되는 양상에서 여성의 몸은 자신의 감각과 고통을 말하지 않는 침묵하는 몸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사후 여성 인물은 자신의 용모를 훼손하고 음식을 먹지 않는 拒食 행위를 통해 신체에 죄의식을 각인하고 있었으며, 여성 노동의 양상과 노동의 소외를 통해 여성이 노동하는 몸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조선 후기 열녀전의 구조 분석의 내용과 여성의 몸 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조선 후기 열녀전에서의 烈과 죽음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첫째, 자결을 통해 실제로 물질적인 육체성이 완전히 소거되는 조선 후기의 열녀들은 烈이라는 이념에 맞게 형상화된 인물이며, 이 때 여성은 궁극적으로 관념화된 존재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선 후기 열녀전에 나타나 있는 烈 윤리는 중세 해체가 진행되던 당대에 역으로 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傳이라는 문학 양식의 교술성과 전형성을 십분 활용하여 여성을 도덕적 주체로 신화화하고 있다고 보았다. 셋째, 그렇게 창작된 열녀전의 사회적 재생산의 효과는 여성들에게 죽음을 암묵적으로 권장하여 내면화하게 만들었으며, 죽음에 대한 강박증을 갖게 하였음을 실제 여성의 유서를 통해 증명하였다. V장에서는 조선 후기 열녀전이 가지는 여성 문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 열녀전은 강한 남성 중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텍스트 자체의 성격으로 인하여 오히려 고전 여성 문학의 영역을 재범주화하고, 고전 문학에 있어서 여성주의적인 문학 연구의 시각을 재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조직적 중심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조선 후기 열녀전은 정통적인 한문학의 한 장르인 傳의 하위 갈래로서 충실하게 연구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고전 여성 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시도의 일환으로서도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여성에 대한 평등한 의식이 자리잡기 이전 시기의 산출물인 고전 문학에서 여성 문학의 범주와 연구 시각은 계속적으로 의문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고전 문학 분야에서 여성 문학의 범주와 텍스트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논의, 고전 문학에서 여성 관련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모색 등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In this dissertation I intend to investigate 75 biographies of exemplary virtuous women(烈女傳) from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n the later Choso˘n period, which do not have war as their background. I will also attempt to show how the concept of exemplary female virtue(烈) embodied the women of this period in these biographies dedicated to exemplary women. The later Choso˘n period witnessed the gradual disintegration of medieval ideologies and the medieval order after having experienced the invasions of the Japanese and the Manchu. Biographies of exemplary virtuous women written in this period by individual literati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y were mostly about women who are determined to take their own life after the death of their husband. Chapter II deals with the typical literary structure of classical biographies, ancestry-achievements-evaluation. First of all, in the part dedicated to ancestry, the social status and the local background of the female characters of the biographies are examined. In the part dedicated to their achievements, the virtuous conduct that earned them a biography for exemplary virtue is examined, divided into their achievements before their virtuous conduct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virtuous conduct itself. In the part that deals with evaluation, I have examined the nature of the evaluatory commentaries(贊) in general and I have also looked into the commentaries of writers who have set forth special point of view on virtuous conduct. Female characters of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tend to be from the upper echelons of society, but they are mainly about women from local rather than distinguished and influential families. Although their number is not big, there are also women from the lower classes with various social backgrounds. When considering their local backgrounds, women from Seoul-Kyo˘nggi province are extremely rare, and most of the virtuous women seem to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Yo˘ngnam region. In the narration parts that deal with achievements, fixed descriptive paragraphs can be found. Furthermore, in the course of description, the female characters show fixed behavioral types in general. Their exemplary personalities and conduct before their exemplary virtuous conduct are naturally connected to their later self-sacrificial virtuous conduct. Finally I have tried to organize in groups those authors of biographies of exemplary virtuous women that display conspicuous idiosyncrasies in the assessment of exemplary female virtue and I have examined what kind of tendencies are shown in the biographies preferred and created by these groups of authors. Chapter III briefly explores the body discourse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the humanities and it also explores how female bodies are meaningfully signified in narrations of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in order to look into the question of how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exemplary female virtue and the experience of exemplary virtuous conduct are manifested in contemporary women s live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concept of exemplary female virtue is a highly spiritual value, it is realized by the experiences and realizations of the female body. Female bodies are described as bodies of submission when they devote themselves to nursing their husbands. From the aspect of negating female physical senses and pain, their bodies are also shown as taciturn bodies when they do not express female physical senses and bodily pains. It is also shown that when women survive their husbands, they neglect to take care of their appearances and refuse to eat. It can be said that in doing so, they wish to engrave their sense of guilt. Also female bodies are considered as laboring bodies in aspects of working women and alienation from work. Female characters are ideally embodied through carrying out the exemplary female virtue when they sacrifice themselves by death, completely eliminating material physicality. Chapter IV intends to clarify the meaning of exemplary female virtue as manifested in the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through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of these biographies from the late Choso˘n period together with an analysis of the female body. While the disintegration of medievalism continued during this period, the concept of exemplary female virtue was adversely being intensified. In this atmosphere, the literary style of the traditional biography (傳) mythologized women as highly moral, by taking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nature and typical structure of the biography. Therefore, the effect of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that were manufactured in this way, was to tacitly exhort other women towards death and to internalize it. This made women acquire an obsession with death, as is testified in reality by the wills of women from this period. Chapter V discusses on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of later Choso˘n period. They are highly male-centered, but they also make it possible to recategorize classical feminine literature and redefine the viewpoints involving feminist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The biographies of women of exemplary virtue of the late Choso˘n period should be studied as a subcategory of the traditional biography (傳), one of the traditional genres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but it carries at the same time also significance as a touchstone to test the potential of classical feminine literature studi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ategories and viewpoints involving classical feminine literature will be continuously questioned since it they are the outcome of the era before awareness of women s equality start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constant discussions on categories of and viewpoints toward feminine literature in classical literature as well as theoretical explorations about woman-related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