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정-
dc.creator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3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38-
dc.description.abstract전통적인 철학에서는 의미의 담지자로 어떤 실체-플라톤의 이데아처럼 초월적이거나 흄의 감각 인상처럼 심성적인-를 요구한다. 예컨대 단어의 의미를 감각 인상으로부터 나온 관념이라고 생각하는 흄은 "관념은 실체의 심성 표상이며 관념을 가진 것이 곧 의미를 아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주장의 배후에는 의미가 대상과는 독립하여 우리에게 파악될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이러한 실체론적 사고는 여전히 우리에게 영향을 끼쳐서 우리가 어떠한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할 때 "그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부터 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국면보기나 상상에 관한 탐구를 할 때에도 우선은 "국면보기란 무엇인가?", " 상상은 무엇인가?" 또는 "이미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부터 하지만 이런 질문은 자칫 과도한 단순화와 신비화로 나아가게 하며 결국 탐구의 출발선에서부터 헤매게 한다. 이렇게 탐구의 시작부터 당황하게 되는 이유는 국면보기와 상상이 단순 명료한 지시적 정의에 의해 가려질 수 있을 만큼 간단한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 감각과 사고가 교차하는 지점에 놓이고 다른 개념들과 공유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환원적 분석에 견딜 수 없다. 이러한 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방편으로 본고는 언어의 의미를 사용에서 찾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적 방법론을 채택하여 위의 개념들에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종전과 다른 방식의 질문이 던져져야 한다. 이제 "국면보기란 무엇인가?", "상상할 때 무엇이 발생하는가?"라고 묻는 것이 아니라 국면보기가 여러 예들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상상 이라는 말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물어야 한다. 이렇게 물어진 이상 국면보기를 개인의 사적인 시각경험으로 간주하거나 심성 이미지를 개인만이 접근 가능한 심성 그림으로 생각하는 것은 정당성을 결여하게 된다. 예컨대, 아버지와 아들의 얼굴이 닮았음을 보거나, 오리 머리도 되고 토끼 머리도 되는 알쏭달쏭한 그림을 보거나, 삼각형을 평행 사변형의 반쪽으로 보는 시각 경험이 어째서 사적이지 않은가? 그것은 단순한 대상적 보기가 아니라 개념 하에서 이루어지는 시각 경험이기 때문이다. 이 때 시각과 결합하는 개념은 공공적인 사용을 통해 획득되므로 오리-토끼 그림을 오리로 보지 못한다거나 삼각형을 평행사변형의 반쪽으로 보지 못할 때 그것은 개인의 시각 능력에 이상이 있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오리를 평생 한 번도 본적이 없는 산촌 사람이 오리-토끼 그림을 토끼로만 보고 평행사변형 을 아직 배우지 않은 학생이 삼각형을 평행사변형의 반쪽으로 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상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그것을 개인의 내적인 심성 상태로 간주하고 관찰을 통해서 그것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은 상상 탐구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무엇을 상상하는지, 무엇에 대한 이미지인지는 애초에 개인의 내면에서 확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행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상의 내용이 결정된다. 국면보기와 상상은 모두 주체의 능동적인 개입을 필요로 하는 활동이다. 그리고 이 둘은 많은 다른 개념들이 교차하는데 위치하며 이 둘 자체가 여러 가지 특징을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몇몇 공유점들에 관심을 두는 것보다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적 탐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실체론적 편견에 이끌리지 않고 문법적 탐구를 해나가도록 자신을 각성하는 것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it has been demanded an entity which is transcendent as Plato s Idea or mental like Hume s sense impression for the meaning. For example, Hume who thought that the meaning of a word is the idea which is derived from sense impressions, said that the idea is a mental representation of an entity and having an idea is knowing the meaning. Behind this thesis, it is presupposed the meaning is independent of an object therefore we can grasp the meaning regardless of an object. The tendency to the substantialism still affects us, when we begin to investigate a material, this tendency drives us to raise such a question "What is it?". Similarly, at the beginning of an investigation into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we might ask the question "What is the aspect seeing?", "What is the imagination?" or "What is an image?". But these questions invite over- simplification and mystification and lead us astray from the very start. The reason that we should be perplexed is the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materials are not so simple that they could not be elucidated by an ostensive definition. Because of the fact that both of them are located in the intersecting point of sensations and thoughts and the feature that they share their concepts with others, they could not bear up against the reductive analysis. To save the situation, I try to approach these materials according to the later Wittgenstein s work seeking the meanings in the usage of wards. For this, questions should be aske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That is, one ought to ask how an aspect seeing is realized in many examples or how the word imagination is used, one ought to ask, not what images are or what happens when one imagines anything. Accordingly it could not be justified that an aspect seeing is regarded as the private visual experience or that mental images are thought as mental picture accessible on one s own. Why is not it a private experience, for example, seeing a likeness between one man s face and his son s or seeing the duck-rabbit, seeing a triangle as a half parallelogram, etc? It is not because these are simply a primary seeing but because these are the visual experience under the concepts. The concepts combined with the sight are taken the public usage. Therefore the fact that one can see anything but a rabbit in the duck-rabbit or a triangle as a half parallelogram does not mean that one has an error of the optic organs. Rather, it is natural that a hillman who has never seen a duck only see a rabbit in the duck-rabbit, the student who has not learned the concept of parallelogram cannot see it as a half parallelogram. Likewise, it is not helpful to the study of the imagination that one would think that we could understand it through the inner observations for one would think imagination is a private mental state. It is not fixed in one s inside at the first what one imagines and what it is the image of the contents of an imagination is decided through the process of our acting. An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need the subject s active commitments. Both of them lie in the acrossing of many other concepts and share many properties with each other. But we should focus on the later Wittgensteins s style as a methodology, not some shared properties. And above all, it is emphasized that one should constantly arouse oneself into grammatical investigations without misleading the substantialistic bia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 I. 서론 = 1 II. 상상력에 대한 역사적 고찰 = 6 1. 플라톤 = 6 2. 아리스토텔레스 = 9 3. 흄 = 11 4. 칸트 = 16 III. 국면보기 = 24 1. 보기와 국면보기 = 25 2. 해석 = 28 3. 국면의 부상(浮上)과 지속적 국면보기 = 31 4. 조직화 = 35 5. 상상 = 37 IV. 상상 = 40 1. 상상의 다양한 사용문맥 = 40 2. 언어 사용론에 의해 탐구된 상상 = 44 3. 상상과 감각과 사고 = 46 4. 이미지와 그림 = 50 5. 상상과 의지 = 53 V. 결론 = 58 참고문헌 = 6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40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면보기를 통한 상상력 조명-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