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채-
dc.creator이승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75-
dc.description.abstractThe 7th Curriculum regulates the period of 10 years from the 1st year in elementary school to the 1st year in high school as people s common basic educa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school year concept and executes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The sooner the time for education on unification, the better, it is desirable to execute as earlier as possible, but our education on unification in school begins in elementary school first in Korea.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is the early stage in social education that the student can gradually judge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on the objects or social phenomenon and if we execute education on unification to form the right and reasonable view of the North and Unification during this period,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y be operated and activated more effectively.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emphasize on internalize through repeated education several times with systematic interre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on why we should unify the nation and to solidify the will of unification. On the basis of such continuity and systematic interrelation, the teacher should guide the students in their studies to properly recognize on the North and the future of the united nation and to maintain balance both in cognitive domain and definitive domain that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pursues. However,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meantime failed to consider on the interest of students or the development stage of recognition at all. Most education on unification was done in grinding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 instead of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that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ould no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with positive and aggressive attitude. Such reality in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wrongfully led the students to have indifference on unification, negative point of view on the North, and the attitude as the bystander on the matter of unification. This study, on the basis of such critical mind, compared content system of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6th and the 7th curriculum and analyzed how seriously the education deals the orientation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on un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s of Curriculum of Education on Unification, Introduction of the teachers guidebook, and the textbook of morality currently being used in school. The subject for analysis i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extbook of "Morality"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7th curriculum still practices education on unification focused on the subject of "Morality" in reality though it was originally intended to promote education on unification through integrated approach that various subjects are interrelated. The study is executed in the method of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questionaries in connection with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cused on the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us, the study presented some measures to establish desirable view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quite important how much the students recognize on the unification and the North and which attitude they have during the period of 6 years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it is considered to affect on the following learning in middle school. See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for the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quite difference exists between what the students learn in school and actual thought. As the students think the actual judgment separately from the knowledge on the textbook that they learn in school, and though they learn that Unification must achieve necessarily in school and answer in evaluation as they learned, but the result of questionaries appeared only 61.62% of the questioned students answered that Unification must achieve and over 30%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It does not need to achieve necessarily or It is better to maintain current situation and we can confirm that considerable difference exists between what the students learn in school and the actual thought of the student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has been practiced focused on transmi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up to now. The result of cognition analysis on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the 6th year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ppeared to have not much interest in the North Korea. Also most students considered the North Koreans as our people and the enemi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oviding that the right awareness o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should be a precondition for unification based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guide the students educationally to regard the North Koreans positively as our people. Second, the students who answered to acquire information on unification through teachers in the class was quite small (15.3%). Provided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does not exceed the quality of the teacher, the teachers low interest in the matter of unifi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ay give difficulties for the students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Also in connection with the question, "How much does your class teacher tell you about the matter of unification and the North Korea?", the most students accounting for 283 (49.8%) answered that the teacher tells about the matters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subject in the class. Such result illustrates that the teachers educate students on unification only when it is connected with the content of the class and they don t execute it as integrated general subject such as free subject class or extra activit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that a class teacher is in charge of the entire subjects, the students recognition and interest in unification shall depend on the awareness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of the class teacher. Third, the prevailing education method on unification appeared to be grinding education at present. This fact means that the grinding recognition on unification was the major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and it is still selected by lots of teachers. The weakening intention on the unification of the teachers is laid in the rear of such phenomenon, but the other important reason is lack of in-dep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urth, the students appeared to consider the "Society" and the "Morality" as the subjects to contain education on unification the most. However, the class of the subject "Morality" is allocated just one hour while the subject "Society" is allocated three hours in the 7th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so it is unreasonably insufficient to deploy the classes concerned with unification and the North Korea. Fifth, the contents on the awareness of security and peaceful unification exist in the "Nation and the life of our people" section of the "Morality". Therefore,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but it is not much interesting. This result requires the teachers reconsideration on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Whether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how their interest in the contents that they are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because of their development stage. Accordingly, only the teachers perpetual interest and study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will draw attention of the students and provide interesting classes. Sixth, the most questions of th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 life and food, clothing and shelter of the North Korea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should give more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orth in addition to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Accordingly, future education on unification should be focused on leading the students to have understanding on the North Koreans as our people through approach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about the life of the North in order to enhance interest and awareness on the North. Futur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executed from the point of view to implement peaceful unification that has been our people s long-cherished desire and cultivate desirable sense of value and attitude in the united nation. Also it should guide the students to cultivate unification-oriented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at the students can have objective and right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n thereality of the North. ;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년 개념을 근거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 간을 국민공통기본 교육기간으로 설정하여 학교통일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일교육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기 때문에 가능하면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은 초등학교 단계에서 처음 시작되고 있다. 초등학교 시기는 사물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옳고 그름을 조금씩 판단할 수 있는 사회화과정의 초기단계로서 이 기간 동안에 올바른 대북관과 통일관 형성을 위한 통일교육을 실시한다면 초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은 통일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통일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서 체계적인 계열성을 가지고 수 차례 반복교육을 통한 내면화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바탕으로 교사는 북한과 통일 조국의 미래에 대하여 바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하며 초등학교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면에서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지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학생들의 관심이나 인지발달 수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통일교육이 다양한 학습방법과 교수기법 대신 교사 위주의 주입식 강의수업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초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통일교육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현실은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북한에 대한 부정적 시각 그리고 통일문제에 대한 방관자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내용체계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으며 통일교육에 관한 교육과정 해설집,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현재 사용중인 도덕 교과서를 토대로 통일교육의 방향이나 내용을 얼마나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교과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로 한정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통일교육을 통합적인 범교과교육의 접근을 통해 도모하려고 하였으나 실질적인 운영은 아직도 도덕과 중심의 통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북한관 및 통일관을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6년 기간 동안 통일과 북한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가가 중학교 진학 후의 후속학습에 큰 영향을 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통일교육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것과 실제 생각과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 상의 지식과 현실판단을 분리하여 사고함으로써 학교에서는 통일은 꼭 이루어야 한다 고 배우고 평가에도 그렇게 답을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통일을 반드시 이루어야 한다 고 응답한 학생이 61.62%에 머무르고 반드시 이루어야 될 필요는 없다 거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고 답한 경우도 30%이상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학교에서 배우는 것 과 실제 학생들의 생각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금까지의 통일교육이 지식·정보 전달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들이 북한주민을 동포이면서 동시에 적으로 보고 있어 통일이 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남북한에 대한 바른 인식이 전제되어야 함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북한 주민을 동포로 인정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들은 교육적인 면에서 조력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시간에 교사를 통해서 통일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15.3%) 매우 낮았다는 사실이다. 교육의 질(質)은 교사의 질(質)을 넘지 못함을 고려할 때 초등교사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낮은 관심도가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담임선생님께서 통일문제와 북한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말씀해 주십니까? 라는 질문에는 수업시간에 해당되는 내용이 있으면 말씀해 주신다는 응답이 283명(49.8%)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통일교육을 수업내용과 관련된 경우에만 학생들에게 지도하고 있으며 재량시간이나 특별활동 등 통합적인 범교과 교육으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 교과를 담임이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초등학교 상황에서 담임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달라질 것이다. 셋째, 현재 학생들이 받고 있는 통일교육의 방법으로 주입식 방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통일교육이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 인지교육이 주된 교수학습 방법이었으며 아직도 많은 교사들에 의해 채택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배후에는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의지가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의 부족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학생들은 통일교육에 대해 가장 많이 다루어야 되는 과목으로 사회, 도덕교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사회과의 수업 시수는 3시간인데 비하여 도덕과는 1시간으로 배정되어 있다. 일주일에 1시간으로 배정된 수업시간은 통일과 북한에 관련된 수업을 전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다섯째, 안보의식과 평화통일의 내용은 도덕 교과의 국가·민족 생활 ’ 부분에 있으므로 관심은 있지만 재미는 없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는 결과는 교사들에게 교수 학습방법 면에서의 반성적인 의미를 갖게 한다. 초등학생들은 발달 단계상 교사들의 교수방법에 따라 배우는 내용에 관심과 흥미를 갖기도 하고 어렵고 재미없어 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사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만이 학생들에게 흥미있고 재미있는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북한에 대한 궁금증으로 북한의 생활상과 북한의 의식주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통일대비교육과 더불어 북한이해교육을 강화해야 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통일교육은 초등학생들이 북한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북한의 생활상을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게 하여 한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한 민족의 숙원인 평화통일을 실현하고 더 나아가 통일국가에서의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육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북한의 실상에 대해 객관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평가가 가능한 시각을 갖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 초등학생들이 통일지향적 의식과 태도를 육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C. 선행연구 고찰 = 8 II. 이론적 배경 = 11 A. 통일교육의 개념 및 목표 = 11 1. 통일의 의미 = 11 2. 통일교육의 개념 = 14 3. 통일교육의 목표 = 18 가. 통일교육의 일반목표 = 20 나.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목표 = 22 B. 정치교육으로서 정치사회화 = 24 1. 정치사회화의 개념 = 24 2. 정치사회화 이론 = 26 3. 정치교육과 정치사회화 = 29 4. 정치사회화 매개체로서 교사의 역할 = 31 C. 정치사회화와 통일교육 = 35 1. 정치사회화와 학교교육 = 35 2. 정치사회화와 통일교육 = 37 3. 초등 통일교육의 특성 = 39 III.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내용 = 42 (제6, 7차 교육과정에서의 도덕 교과서와 관련하여) A.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 내용변천 = 42 B. 초등학교 도덕과 제6차 교육과정 통일교육 내용 = 46 C. 초등학교 도덕과 제7차 교육과정 통일교육 내용 = 51 D.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문제 = 57 IV.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64 B. 초등학생의 북한에 대한 인식 = 68 C. 초등학생의 통일에 대한 인식 = 72 D. 초등학교 통일교육에 있어서 도덕과 교육의 현황 = 77 V. 결론 = 98 참고문헌 = 103 설문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108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74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분석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