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은희-
dc.creator황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53-
dc.description.abstract뇌졸중(Cerebro Vascular Accident; CVA) 또는 중풍이라고 하는 뇌혈관 질환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률도 높아, 뇌혈관 질환은 우리나라의 사망 원인 중 첫 번째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나타났다(대한 노인병학회 2000; 통계청 1999). 뇌졸중은 편마비, 언어장애, 지각 및 감각 장애와 보행장애 등의 신체적 후유 장애와 함께 많은 심리적 장애를 동반하는 만성 질환으로 이 중 가장 흔하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후유증으로 우울을 들 수 있다(김향구 외 1996; 안용팔 1984; Francesco 외 1990). 뇌졸중 환자의 우울은 일상 활동 수행, 신체 기능 회복, 사회 적응 정도와의 관계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Van de weg 1999; Parikh 외 1990; Robinson 외 1999), 우울은 이들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능력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에 대한 조기 중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오정희 1985; 이혜진 1995). 본 연구자는 양·한방 협진 병원에서의 임상 경험을 통해 뇌졸중 협진 환자군과 비협진 환자군간 우울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양·한방 협진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간호 대상자 중 협진군과 비협진군간의 우울 정도 차이를 비교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에 대한 개별적 간호 중재 방안 마련을 위한 계기로 삼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K도와 J도에 위치하고 있는 양·한방 협진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154명으로, 이중 양·한방 협진 환자가 92명, 비협진 환자는 62명이었다. 대상자 선정시 준거는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우울증의 과거 병력이 없는 대상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총 3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 특성 17문항과 우울 측정을 위한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우울 측정 도구는 Beck의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Cronbach α값은 .87이었다.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Fisher s exact test, x²-test, wilcoxon-test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우울 정도 연구대상자 총 우울 점수는 평균 18.10으로 우리나라 정상 성인의 평균 우울 점수인 12.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협진군은 평균 19.79이었고, 비협진군은 평균 15.58점으로 협진군의 우울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86). 전체 대상자 중 우울을 지닌 대상자는 37.62%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협진군은 현재의 직업 유무(p= .01)와 진료비 부담감(p= .03), 교육 정도(p= .02)에서 우울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직업이 없는 대상자, 진료비가 비싸서 원하는 진료를 받지 못하는 대상자, 교육 정도가 낮은 대상자의 우울이 더 높았다. 비협진군은 마비부위(p= .03)와 질병 유병기간(p= 03), 입원전 가족 부양자(p= .01)에서 우울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쪽 마비가 있는 대상자, 13개월 이상의 유병 기간을 가진 대상자, 입원전 가족 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 측면 1) 뇌졸중 간호 대상자의 우울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대상자 의 우울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한다. 2. 간호실무 측면 1) 임상간호사는 뇌졸중 간호 대상자의 우울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2) 양·한방 협진 병원의 임상간호사는 대상자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각 대상자에게 비용 적절한 협진 방안을 제안한다. 3. 간호연구 측면 1) 연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여 협진군과 비협진군의 우울 정도 비교를 반복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2) 연구 대상자의 경제적 측면과 우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VA inpatient s depression between combined treatment group and non-combined treatment group.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4 CVA patients in combined of Western?Oriental Treatment Hospitals. Of the 154 subjects, 92 were combined treatment group, 62 were non-combined. The tool for measuring the CVA inpatient s depression was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197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ctual number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fisher s exact-test, wilcoxon-test, x²-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os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s of depression was 18.10.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as 37.62%. 2. The mean score of combined treatment group was 19.79. It is higher than the mean score 15.58 of non-combined treatment group. 3. In combined treatment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job and cost burden. The subjects who do not have a job showed higher depression score than the subjects who have. The much burden of medical cost, the higher score of depression. 4. In non-combined treatment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ffected brain lesion and period of disease. Both side hemiplegic subjects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score 31.33. The score of left hemiplegic subjects was 16.12. It is higher than that of right hemiplegic subjects(13.28). In terms of the period of disease, the subjects over 13months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score 23.50.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ized implementation both combined treatment and non-combined treatment group in order to manage CVA inpatient s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4 II. 문헌고찰 A. 양·한방 협진 체계 = 6 B. 뇌졸중 환자의 간호 = 11 C. 뇌졸중 후 우울 = 16 III. 연구방법 A. 연구설계 = 22 B. 연구대상 = 22 C. 연구도구 = 23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24 E. 자료 분석 방법 = 24 IV. 연구결과 및 논의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 25 B. 연구대상자의 우울 정도 = 33 C.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35 1) 양·한방 협진군 = 35 2) 양·한방 비협진군 = 41 D. 연구의 제한점 = 47 V.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2 부록 = 61 영문초록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59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양.한방 협진 병원 입원 뇌졸중 간호 대상자의 우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