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분석

Title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분석
Authors
장순복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자궁절제술은 여성의 생식기관의 질병으로 인하여 건강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된 경우, 건강증진을 통해 삶의 질을 높혀야 하는 경우, 혹은 예방적인 목적으로 시행된다. 따라서 자궁절제술을 받은 부인들에게는 질병의 원인적 요인이 제거되었다 할지라도, 수술 자체로부터의 회복과 함께 여성의 성을 상징하는 자궁의 상실에 대하여 심리·사회·성적인 적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간호사들은 신체적 회복에만 관심을 둘 뿐 자궁절제술을 받은 부인들의 성생활 적응을 돕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간호사들에게 자궁절제술을 받은 부인의 성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자궁절제술을 받은 부인들의 수술 후 성생활 만족과 관련되는 용인들을 분석,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1986년 4월 1일부터 1987년 9월말까지 서울시내 3개 교육병원에서 부인과적 양성질환으로 자궁절제술을 받는 후 1~18개월이 경과된 여성전수 880명을 유한 모집단으로 하였다. 그중에 연구대상자는 기월경자, 부부생활자, 합병증이나 병발증이 없는 자, 연락이 가능한 자 등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대상 557명 중에서 본연구에 참여한 230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의 경험, 문헌조사, 성상담자와 DSFI사용 경험자의 조언 및 예비연구를 통하여 내용타당도와 문항표집 타당도 등 신뢰도를 높힌 다차원적인 성생활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Cronbach’s a=.73~.93) 자료수집은 우편을 통한 질문지법에 의해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AA에 의해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자 230명은 평균연령이 24세, 교육수준은 중·고등학교 졸업 이상이 대부분이고 가족의 월평균 수입이 85만원인 중산층 이상의 중년부인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생활만족정도의 평균은 가능최고점수 50점 중에서 34.24이었다. 성생활 만족정도 분포에서 만족하는 반응을 보인 대상자는 35.8%이었고 26.5%는 불만족한 반응을 나타냈다. 2. 성생활 만족과 관련있는 요인은 배우자의 지지, 신체상, 폐경증상, 정서상태, 성지식, 성적행위, 연령, 자녀수, 직업, 교육, 수입, 전문인으로부터 받은 수술 전 정보, 수술에 대한 현재 심리적 반은, 대상자 및 배우자의 스트레스 등 15개로 확인되었다. 이상 15개의 요인 중에서 자궁절제술을 받은 부인의 성생활 만족과 가장 중요한 관련이 있는 요인을 순서적으로 제시하면, 배우자의 지지, 성지식, 수입, 직업 정서 등 5개 였다. 이상 5개의 관련요인이 합해져서 성생활 만족정도를 35.16%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대상자와 같이 사회·경제·교육수준이 높은 중산층 이상의 부인들의 성생활 만족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고 성생활 만족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용인은 배우자의 지지, 성지식, 수입, 직업, 정서임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성생활 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수술 전에 배우자의 지지정도, 성지식정도, 직업유무, 수입정도, 정서상태를 사정한 후에, 배우자에게는 지지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배우자와 대상자를 위한 성지식을 제공하며, 특별히 직업이 없거나, 수입이 적거나, 우울 등의 불쾌정서 상태에 있는 대상자를 위해 간호 중재를 집중하여야 하며, 이와 병행하여 자궁절제술 후 퇴원한 부인들의 성생활 적응을 위한 성상담 교실 등이 제도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This research was done to clarify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xual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sexual adaptation which might be changed by nursing intervention.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re were 230 subjects in the study, and they were se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tool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modification of the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DSFI). A pilot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necessary modificat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Sept. 1987 and Dec. 1987 using a mailed questionnai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s follows: ㆍ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2.3 years and 204(87.4%) of the subjects had nine or more years of education. ㆍThe mean income of the subjects was 85.8870 won/month, and 179(77%) of them were housewives. ㆍThe mean number of pregnancies and children were 4.9 and 2.5 respectively. ㆍOophorectomies were included in the surgery for 66(28.7%) of the subjects. Only 12(5.5%) were planning to have more children. ㆍOnly 88(38.3%) of the subjects had received information prior to the surgery regarding health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less than half, 111(48.3%), had received this kind of information before discharge. ㆍLay persons were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st-operation status for 196(85.2%) of the subjects, but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xual satisfaction score. ㆍOnly 16(7.0%) of the subjects said they regretted having a hysterectomy while 102(44.3%) said they were pleased to have had a hysterectomy. ㆍNinety(39.1%)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ir husbands had “stress” and 164(71.3%) of the subjects reported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sexual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34.24 with a possible maximum score of 50.00. Eighty two(35.8%) were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exual life but 61(26.5%) were showed sexual dissatisfaction. 2. The following 15 factor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ual satisfaction(p<.05); support of husband, body image, emotion, knowledge of sex, menopausal symptoms, sexual behavior, the feelings the subjects had about the hysterectomy, stress for both subject and husband, the number of children, health information given before operation, job, ag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fiv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exua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 factor was support of husband, which explained 17.83% of the total variance. The remaining factors in order of significance were: knowledge of sex, income, job, and emotional status. Those five factors explained 35.16% of the sexu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for the care of women who are going to be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having had a hysterectomy, nurses have to work with the husbands to help th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ir support. Nurses also need to make sure that the subjects have an adequate knowledge of sexual life after a hysterectomy. Also nursing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subjects who do not have a job, who are of low economic status, and the subjects who are under the unpleasant mo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