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순-
dc.creator김정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74-
dc.description.abstract노화란 누구도 필할 수 없는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과정이다. 그러므로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신체적 변화,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역할상실과 이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 문제 등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노화의 관건이 된다. 오늘날 증가하고 있는 노령인구의 비율과 노령과 더불어 야기되는 제반 문제들의 심각성으로 인해 모든 전문직의 관심은 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업을 돕고 그들로 하여금 안락한 노후를 보내도록 하는데 집중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의 귀결을 자아통합감의 달성으로 보고 문헌고찰을 통하여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변인이라 가정한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와 자아통합감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노화를 돕기 위한 간호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화 자아통합감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사회적활동과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며, 사회적활동 정도와 자아통합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노인의 사회적활동 측정도구와 자아통합감 측정도구였다. 사회적활동 측정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서 7개 하위역할 영역의 40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면접식 평정척도이다. 자아통합감 측정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6개 요인의 31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면접식 평정척도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는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고,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와 자아통합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의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평점자간 신뢰도 검정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통합감을 구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활동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의 범위 가 .76~.97이었다. 2) 자아통합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가 .93이었고, 31개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지혜로운 삶」「생에 대한 태도」「죽음에 대한 수용」「노령에 대한 수용」「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등 6개 요인으로 분류되어졌다. 3) 전체 대상자의 사회적활동 평균점수는 100.83점 이었고(총점 200점), 자아통합감 평균점수는 100.70점 이었다(총점 155점). 4)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은 사회적 활동정도, 경제수준, 건강상태, 교육정도, 결혼상태였다. 5) 다른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활동 정도, 건강상태, 경제수준으로 나타났다. 6)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활동 정도로 자아통합감을 42.55% 설명할 수 있었다. 7)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은 경제수준, 결혼상태, 교육정도, 종교, 건강상태, 연령이었다. 8) 다른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경제수준, 결혼상태, 연령으로 나타났다. 9)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경제수준으로 사회적활동을 16.09%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는 자아통합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임이 규명되었으므로, 노년기의 사회적활동 수준을 증진시켜주는 지지적간호중재 방안이 성공적인 노화를 돕는 최선의 간호전략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 경제수준 역시 노년기 자아통합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경제적 안정을 돕는 방안 또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활동 척도와 자아통합감 척도는 비교적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라 할 수 있다.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measure the degree of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of the aged. 2)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aged. 3)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ocial activities of the aged. 4)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5)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can be use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degree of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of the aged. Date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interviewing method of 200 elderly, living in Busan, Korea.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ocial activity scale and the ego integrity scale developed by research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ll instruments were found to have reason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degree of ego integrity and social activities a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done using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For the examination of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instrument for ego integrity, a factor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or social activities ranged from 0.76 to 0.97(Cronbach’s alpha). 2)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or ego integrity was 0.93(Cronbach’s alpha),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31 items making up the instrument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3) The mean score of social activities of the aged was 100.83. The mean score of the aged was 100.70. 4) The factors related to the old people’s degree of ego intergrity were identified as degree of social activity, economic status, healthy status, degree of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ego integrity independently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were degree of social activities,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6)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old people’s ego integrity was their degree of social activities which accounted for 42.55%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7) The factors related to the old people’s degree of social activities were idetified as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degree of education, religion, health status and age. 8)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social activities independently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were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and age. 9)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people’s social activities was their economic status which accounted for 16.0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5 C. 용어정의 --------------------------------------------------------- 5 Ⅱ. 이론적배경과 선행연구 -------------------------------------------- 8 A. 자아통합감 ------------------------------------------------------- 8 B.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요인들 --------------------------------------- 14 C. 노인의 사회적활동과 자아통합감 ----------------------------------- 20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설계 --------------------------------------------------------- 26 B. 연구대상 --------------------------------------------------------- 26 C. 연구도구 및 도구개발과정 ----------------------------------------- 28 D. 연구진행절차 ----------------------------------------------------- 30 E. 자료분석방법 ----------------------------------------------------- 31 F. 연구의 한계 ------------------------------------------------------ 31 Ⅳ. 연구결과 --------------------------------------------------------- 33 A.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와 자아통합감 정도 ------------------------- 33 B. 노인의 사회적할동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 분석결과 ----------- 38 C. 노인의 자아통함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 분석결과 ----------- 42 Ⅴ. 논의 ------------------------------------------------------------- 47 A.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와 자아통합감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 ---- 47 B. 노인의 사회적활동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논의 -------- 54 C.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논의 -------- 56 Ⅵ.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4 부록 ----------------------------------------------------------------- 79 영문초록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14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