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자-
dc.creator이경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54-
dc.description.abstract보건 교육은 인간의 질적인 삶의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건강을 증진하도록 자신을 돌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주는 교육이다. 따라서 보건교육의 중요성은 문교부가 규정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의 교육목표에도 명시되어 있는데 이는 보건교육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베풀어져서 건강한 국민으로 자랄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초·중등교육의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교육에 있어서의 큰 난점의 하나는 보건에 관한 교육내용이 여러 과목들에 부분적이고,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보건교육 내용을 선택, 편성하는데 기본이 될 연구가 요청되는 형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에 관련된 문헌을 비롯하여 보건교육 관계 문헌등의 고찰을 중심으로 건강과 보건교육과의 관계 및 보건 교과 내용의 발전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인간의 성장발달에 관련된 문헌과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요구들을 다룬 문헌 및 자료들을 참고하여 보건교육을 위한 건강영역과 주요개념들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첫째,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모두 가진 총체적인 인간이 내적환경과 외적환경을 포함한 자신의 환경에 대하여 역동적인 적응을 할 수 있는 상태이며, 보건교육은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유지하고 증진하는 자기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교육하는 과정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학교 보건교육 교과내용 선정에 있어서 점점 늘어가는 건강에 관한 정보를 보건교육에서 전부 다룰 수 없으므로 보건교육을 위한 건강영역들을 분류하고, 그 영역마다 구체적인 건강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주요개념들을 선정하여 보건교육의 내용을 선정하는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 보건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건강영역을 인간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건강 요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일상생활관습과 건강」 「성장발달과 건강」「영양과 건강」「질병예방」「약물사용과 건강」「정신건강」「가족생활과 건강」「성과 건강」「안정생활과 건강」「소비자건강」「지역사회건강」의 11개로 선정하였다. 넷째, 건강영역에 따른 다양한 건강지식들을 보건교육을 위하여 구조화할 수 있는 개념으로 1) 신체의 청결 2) 감각기관의 건강, 3) 치아관리 4) 운동과 휴식 5)성장과 발달 6) 신체기관, 7) 성장발달과업, 8) 영양의 균형, 9) 식습관, 10) 음식물의 관리, 11) 질병의 근원, 12) 질병예방행위, 13) 질병발생시 대처행위. 14) 약물의 사용, 15) 습관성 약물중독, 16) 정서반응, 17) 상호관계, 18) 자아개념, 19) 사회적 적응, 20) 가족의 건강습관, 21) 상호의존적인 가족관계, 22) 생명의 탄생, 23) 남녀 특성, 24) 성요구, 25) 안전행위의 습관화, 26) 구급처치, 27) 건강상품의 선택기준, 28) 건강정보의 이용 29) 보건의료기관의 이용, 30) 환경보존, 31) 환경공해, 32) 인구조절, 33) 공중보건 기관의 기능 등의 33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이 이들 개념을 효율적으로 습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합한 차례로 배열, 조직하였다(표3). ; In Korean education, the health contents are scattered in various course subjects throughou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 for health education using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that represent the scope of material that should be covered in health instruction. The steps used in selecting these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were as follows: 1.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education was done to develop the retionale underlying this study. 2. Health topic areas basic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human needs and to societal needs for healthful living were identified. 3. The major concepts for each health topic area based on health sciences an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levels were selected. 4. The major concepts selected were organized in sequence to guide health education from grade one to grade n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dentification of eleven health topic areas essential for health education. These include: ·personal habits and health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nutrition and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and disorders ·drugs and health ·mental health ·family life and health ·sex education ·accident prevention ·consumer health ·community health 2. The identification of the major concepts(generalizations) for each health topic area: 33 major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 guide in determining the health cont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se are 1) body cleaniness, 2) health of the sensory argans, 3) dental health, 4) exercise and rest, 5) growth and development, 6) body structure and function, 7) developmental tasks, 8) balanced nutrition, 9) eating habits, 10) food preparation and food storage, 11) sources of disease and disorders, 12) disease preventive and food storage, 13) care during illness, 14) drug use and misuse, 15) drug addiction, 16) emotional responses, 17) human relationship, 18) self concept, 19) social adjustment, 20) health habits of the family, 21) interdependence of family members, 25) safety behavior, 26) emergency measures, 27) criteria for selection for health products, 28) proper use for health information, 29)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30) environmental conservation, 31) environmental pollution, 32) population control, 33) fun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3.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s(generalizations) in sequence and for continuity in health instruction a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건강과 보건교육 -------------------------------------------------- 6 B. 학교 보건교육 교과내용의 발전 경향 ------------------------------- 11 Ⅲ. 보건교육을 위한 건강영역 및 주요개념 선정 ------------------------ 22 A. 보건교육을 위한 건강영역 선정 ------------------------------------ 22 B. 건강영역에 따른 보건교육의 주요개념 선정 ------------------------- 34 Ⅳ.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8 영문초록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3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 중학생을 위한 보건교육의 영역 및 주요개념 선정을 위한 일연구 :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