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한국인의 환자역할에 관한 조사연구 : 일반인의 환자역할기대를 중심으로

Title
한국인의 환자역할에 관한 조사연구 : 일반인의 환자역할기대를 중심으로
Authors
소희영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n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how an individual’s expectations of exemption from role and task obligations at work and home are affected by h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 nature of certain illness in our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study objectives are to explicate the elements which may account for why Korea seek exemption from their normal roles with relative to the nature of illness and to isolate sociocultural nursing concept.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tilizing interview and questionnaire in the period from May 1st to June 20th 1987. A stratified sampling technique was employed so as able to insure inclusion of as man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possibl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237 full time workers among the healthy adult population. Each respondent was questioned about the expectation of exemption from his normal role and tasks he would expect if he eight different illness.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ool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SAS program frequency, t-test, paired t-test, ANOVA, and contingency coefficient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Ⅰ. Of all the illness under study, stroke(2.284) and psychosis(2.441) elicit the fewest expected exemption while average exemption are expected for arthritis(4.358), peptic ulcer(4.519), gastric discomfort(4.707), hystery(4.733), cough(4.766), and headache(4.932). In the acute stage(3.029), people expected greater exemption than convalescent stage(4.452),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7.156, p=.000). Ⅱ. Sick rol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 nature of illness. A. the amount of expected exemp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middle age group (4.03)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exemption, old age group (4.07) and young age group (4.21), the least. Gender ; female (4.05) expected fewer exemption than male did (4.12) Family responsibility ; those who living with spouse (4.139) expected fewer exemption than single did (3.996). Social class ; the upper class (3.875) expected greater exemption than the lower did (4.359). Only the social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in expecting exemption (t=2.608, p=. 000). B. The amount of expected exemp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nature of illness. stigma ; those who perceive the illness as stigmatic (4.100) expected greater exemption than those who do not (4.103). visibility ; those who perceive the illness as visible (3. 938) expected greater exemption than those who do not (4.431). prognosis ; those who perceive the prognosis for a illness as good expected 4.29, poor, 4.10, and fair, 4.06. nature of symptom ; those who perceive the symptom for the illness as highly painful expected the greatest (4.01) exemption, lowly (4.06) and medially (4.26) the least. Nature of treatment ; those who take a medical care expected greater exemption (3.972) than those who take a personal care (4.342). dependence ; those who perceive the illness as making them dependent expected greater exemption (3.987) than those who do no (5.360). severity ; those who perceive highly severe the illness expected greatest exemption 3.95, lowly severe 4.08 and medially severe 4.72, the least. The amount of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was higher for psychogenic illness (3.530) than for somatic illness (4.260), and higher for the chronic illness (3.380) than for the acute (4.785). Of the nine specific nature of illness, the expected amount of role exemp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perceiving visibility and non-perceiving visibility (t=2.470, p=.000), medical and personal care (t=2.049, p=.041), perceiving dependence and non-perceiving dependence (t=7.237, p=.000), psycho and somatic illness (t=5.225, p=.000) and acute and chronic (t=10.336, p=.000). Ⅲ.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 nature of illness. Gender is correlated with prognosis at C=.107, p=.000. Social class is correlated with visibility at C=.148, p=.000. Social class is correlated with prognosis at C=.131, p=.000. In conclusion, for the client having those disease and the expectation, who come in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nurses, in the course of nursing assessment, it should be identified the cl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s social class, and the specific nature of illness that is social class, and the specific nature of illness that is visibility, nature of treatment, dependence, acute-chronic and psycho-somatic, then understand and predict the expectation about the amount of exemption. Also more and continuing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patient role and ethnonursing of Korea. ; 오늘날의 간호는 간호대상자인 인간의 신체, 심리, 사회, 문화적 모든 측면의 전인간호가 주장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간호현상에서는 신체심리적 간호의 요소는 많이 확인되어졌지만 사회문화적 요소는 아직도 많은 탐구가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규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사람이 아프면 보편적으로 아픈 것으로 인해 남에게 의존하게 되어 사회적인 책임이 어느 정도는 면제되며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전문인의 도움을 받게 된다. 이런 환자역할의 권리와 의무 중 권리면에서 직장 업무와 가정 업무가 질병급성기와 회복기에 어느 정도 면제되길 기대하는 지와 같은 일반적인 환자역할에 대한 규범의 이해는 그 인간이 속해있는 우리사외문화 틀 안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아픈 사람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보겠다. 연구목적은 한국 사회문화에서 환자역할에 대한 기대가 서구문화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질병형태 및 단계에 따라 가정과 직장업무가 면제되길 기대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환자역할에 관계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1987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층화표출법에 의해 21세 이상 성인 237명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면접과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저자가 제작하였고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AS에 의해 빈도, t 검정, Paired-t검정, 분산분석, 유관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병에 따른 역할면제기대는 8가지 질병 중 뇌졸중이 2.28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정신병으로 2.441을 보여 두 질병에서는 역할수행을 거의 기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관절염(4.358), 소화성 궤양(4.519), 체증(4.707), 히스테리(4.733), 감기(4.766), 두통(4.932)의 순으로 역할면제를 기대하여 역할수행을 보통으로 할 수 있다고 보는 정도였다. 2. 환자역할과 개인특성 및 질병속성 역할면제를 기대한 정도를 개인특성과 질병속성에 따라 살펴보면 첫째 개인특성 중 연령에서 중년층이 4.03, 노년층이 4.07 성인 초기층이 4.21을 기대하였고, 성별에서 남성은 4.05, 여성은 4.12를 기대하였고, 가족책임에서 가족책임이 있는 사람은 4.139, 가족책임이 없는 사람은 3.996을 기대하였으며, 사회계층에서 상류계층은 3.875, 하류계층은 4.359의 역할면제를 기대하였다. 기대정도가 대체로 3.875에서 4.359의 범위로 이것은 역할면제를 보통에 가깝게 기대하는 것으로 역할수해도 보통정도로 기대하는 것이었다. 이 중 사회계층 변수만이 상하계층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08, p=.001). 둘째 질병속성 중 오명에서 오명을 지각한 집단이 4.100, 오명을 지각하지 못한 집단이 4.103을 기대하였고, 가시성에서 가시성을 지각한 집단이 3.938, 가시성을 지각하지 못한 집단이 4.431을 기대하였으며, 예후에서 예후를 양호하게 지각한 집단이 4.29, 나쁘데 지각한 집단이 4.10, 보통으로 지각한 집단이 4.06을 기대하였으며, 증후에서 증후를 심하게 지각한 집단이 4.01, 낮게 지각한 집단이 4.06, 보통으로 지각한 집단이 4.26을 기대했고, 치료형태에서 의학치료를 받는 사람이 3.972, 자가치료를 받는 사람이 4.342를 기대했으며, 의존성에서 의존성이 있는 사람이 3.987, 의존성이 없는 사람이 5.360을 기대하였으며, 심각성에서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사람이 3.95, 낮게 지각한 사람이 4.08, 보통으로 지각한 사람이 4.72를 기대했다. 신체정신질병에서 신체질병에 4.260, 정신질병에 3.530을 기대했고, 급·만성질병에서 급성질병에 4.785, 만성질병에 3.380을 기대했다. 기대정도가 3.380에서 5.360의 범위로 역할면제를 보통에 가깝게 기대하는 것으로 역할수행도 보통정도로 기대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 중 가시성 유무(t=2.470, P=.013), 치료형태종류(t=2.049, P=.041), 의존성 유무(t=7.237, P=.000), 신체정신질병종류(t=5.225, P=.000), 급·만성질병형태(t=10.336, P=.000)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역할면제를 기대함에 있어 개인특성과 질병속성 가의 상관관계에서는 성별과 예후(C=.107, P=.000), 사회계층과 가시성(C=.148, P=.000), 및 사회계층과 예후(C=.131, P=.000)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국인의 환자역할은 서구사회의 그것과 부분적으로 같거나 아주 차이가 나는 사회문화의 특성이 함께 공존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간호원은 환자역할에 대한 규범적 기대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환자역할을 증진시키도록 해야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