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섭-
dc.creator이정섭-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실무에 기여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암으로 자녀를 잃은 18가족이었다. 면담대상 가족원은 사망한 자녀의 어머니였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임종하는 자녀를 어머니가 직접 간호함으로써 본인은 물론 가족의 경험을 가장 잘 이해하리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자료는 1991년 10월부터 1992년 4월까지 7개월 간 연구자가 직접 가족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수집과 동시에 분석하였고 새로운 자료가 나올 때마다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의 경험으로 나타난 개념은 ‘시간이 남음’, ‘자리가 빔’, ‘삶의 의미상실’, ‘내적슬픔’, ‘환경으로 인한 슬픔’, ‘가슴 아픔’, ‘몸이 아픔’, ‘죄책감’, ‘원망’, ‘아쉬움’, ‘지지-오명’, ‘죽음에 대한 의미부여’, ‘인생관 및 삶의 태도변화’, ‘건강에 대한 태도 변화’, ‘종교적 행위 변화, ‘가족관계 변화’ 등 16가지였다. 이 16가지 개념을 보다 더 큰 상위개념으로 묶어「텅빔」,「슬픔」,「아픔」,「한탄」,「변화」등의 다섯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텅빔」의 범주에는 ‘시간이 남음’, ‘자리가 빔’, ‘삶의 의미상실’ 개념이; 「아픔」의 범주에는 ‘가슴 아픔’과 ‘몸 아픔’의 개념이; 「한탄」의 범주에는 ‘죄책감’, ‘원망’, ‘아쉬움’, ‘지지-오명’, ‘죽음에 대한 의미부여’개념이 포함되었으며「변화」의 범주에는 ‘인생관 및 삶의 태도변화’, ‘건강에 대한 태도변화’, ‘종교적 행위의 변화’, ‘가족관계 변화’가 포함되었다. 종합하여 볼 때 이러한 범주는 하나의 일관된 핵심범주라고 일컬을 수 있는〈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암으로 자녀를 잃은 상황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텅빔」이였다. 가족의「텅빔」경험은1)사별정도와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2)‘지지나 오명’, ‘죽음에 대한 의미부여’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었고; 3)「슬픔」,「아픔」,「한탄」으로 이어져 갔으며; 4)결과적으로는 인생관 및 삶의 태도, 건강에 대한 태도, 종교적 행위, 가족관계의 변화를 일으켰다. 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의 경험은 ①자녀가 사망한 현실의 수용-거부 과정, ②자녀 사망의 원인을 추적하는 과정, ③죄책감, 원망, 아쉬움으로 구성된 한탄을 조절해가는 과정, ④죽음에 대한 공포와 질병과 건강 행위 간을 조절해가는 과정, ⑤입양, 출산, 일과 자녀사망의 원인해소 등으로 텅빔을 채워가는 변화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본 근거자료에 나타난 개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음 여섯 가지의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① 사별 기간은 가족의 공허함을 채워가는 정도와 정비례 할 것이다. ② 투병 기간과 가족의 지지 요구도는 정비례 할 것이다. ③ 슬픔 ? 아픔 ? 한탄에 관련된 표현을 많이 할수록 긍정적 변화양상을 나타낼 것이다. ④ 가족의 지지는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을 촉진시킬 것이다. ⑤ 가족간의 응집력이 강할수록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은촉진될 것이다. ⑥ 자녀사망에 대한 원인지각이 많을수록 변화의 유형은 다양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텅빔」의 정도와「한탄」의 유형에 근거하여 다음의 4가지 명제(proposition)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① 텅빔이 크고 죄책감과 원망이 심할 때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은 지연된다. ② 텅빔이 크고 한탄에서 벗어나려는 동기가 클 때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은 빠르게 진행 된다. ③ 텅빔이 작고 죄책감과 원망이 심할 때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은 진행이 안 된다. ④ 텅빔이 작고 한탄에서 벗어나려는 동기가 클 때 꾸준하게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을 마무리 해 간다. 텅빔과 한탄의 속성에 근거하여 공허함을 채워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본 연구결과에 따라 간호사는 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지를 제공해줌으로써 사별가족이 질적인 삶을 살도록 돌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whose child has died of cancer.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was grounded theory. The interviewees were 17 months and one about who had cared for a child who had died of cancer in the last two years. Traditionally in Korea, mothers are the caregivers in the family and are considered sensitive to the family’s thoughts, fee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y the investigator ober a period of seven months from October 1991 to April 1992. The data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by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which new data are continuously coded into categories and properties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methodology. The 16 concepts which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nded data were, --left over time, the empty place, meaninglessness, inner sadness, situational sadness, heartache, physical pain, guilt, resentment, regret, support/stigmatization,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changing attitudes about life and living, changing attitudes about health, changing religious practice and changing family relations. Five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y were emptiness, consisting of left over, the empty place and meaninglessness; sadness, consisting of inner sadness and situational sadness; pain, consisting of heartache and physical pain; bitterness, consisting of guilt, resentment, regret, support/stigmatization and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and transition, consisting of changing religious practice and changing family relations. These categories were synthesized into the core concept, --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The core phenomenon was emptiness. Emptiness varied with the passing of time, was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pport/stigmatization and finding meaning in the death, was followed by sadness, pain, and bitterness, and finally resulted in changes in attitudes about life and living and about health, and in changes in religious practice and family relation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proceeded by ①accepting reality, ②searching for the reason for the child’s death, ③controlling the bitter feelings, ④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s among death, illness and health and ⑤filling the emptiness by resolving causes of child’s death, adopting, having another child or with work. Six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① The longer the bereavement, the more the empty space becomes filled. ② The longer the hospitalization, the more support the family needs. ③ The more the sadness, pain and bitterness are expressed, the more positive changed emerge. ④ Family support facilitate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⑤ Higher family cohesiveness facilitate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⑥ The greater the variety of reasons attributed to the child’s death, the greater the variety of patterns of change. Four propositions related to emptiness and bitterness was developed. ①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great and bitterness is manifested by severe feelings of guilt and resentment, the longer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②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great and the family is highly motivated to get rid of the bitterness, the shorter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③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less and bitterness is manifested by severe feelings of guilt and resentment,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is delayed. ④ When the sense of emptiness is less and the family is highly motivated to get rid of the bitterness, 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space goes on to completion. Through this substantive theory, nurse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ptiness and bitterness in helping the family that has lost a child through cancer fill the empty space. Further research to build substantive theories to explain other losses may contribute to a formal theory of how family health is restored after human tragedies are experienc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문헌고찰 --------------------------------------------------------- 4 1. 간호와 죽음 ------------------------------------------------------ 4 2. 애도에 대한 이해 ------------------------------------------------- 8 3. 근거이론 접근방법 ------------------------------------------------ 17 Ⅲ. 연구절차 --------------------------------------------------------- 27 1. 자료수집방법 ----------------------------------------------------- 27 2. 자료분석방법 ----------------------------------------------------- 29 3. 연구대상자의 인권 보호 ------------------------------------------- 30 Ⅳ. 연구결과 --------------------------------------------------------- 32 1. 근거자료 분석에서 나타난 개념 및 개념의 범주화 ------------------- 32 2. 근거이론의 Paradigm에 따른 범주분석 및 과정분석 ------------------ 69 3. 분석적 이야기, 유형에 따른 자료의 체계화, 관계진술 및 도해 ------- 82 4. 연구의 평가 ------------------------------------------------------ 87 Ⅴ. 논의 ------------------------------------------------------------- 90 1. 근거이론분석에서 나타난 범주 및 개념에 관한 논의 ----------------- 90 2. 사별간호 --------------------------------------------------------- 98 Ⅵ. 결론 및 제언 -----------------------------------------------------107 Ⅶ. 참고문헌 ---------------------------------------------------------110 영문초록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489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암으로 자녀를 잃은 가족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