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reator김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3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이스라엘의 아세라 여신숭배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먼저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 "나 외에는(내 앞에서)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십계명의 제1계명 때문에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처음부터 야웨 하느님 한 분만을 섬겼는가? 신명기 역사가와 예언자들(예레미야, 호세아)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의 다른 신들, 특히 아세라를 섬긴 것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아세라는 과연 무엇인가?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그리고 언제 아세라 여신을 숭배했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가지고 먼저 II장에서는 아세라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고고학 발굴물에 나타난 아세라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세라는 B.C.E. 15세기경의 우가릿 문서나 최근의 고고학 발굴물인 키르벳 엘-콤(Khirbet el-Qom) 비문과 쿤틸렛 아즈룻(Kuntillet Ajrud) 축복문에서 야웨의 배우자 (Yahweh s consort)로 나타났다. 우가릿 문서나 고고학 발굴물뿐만이 아니라 열왕기상 18장 19절과 같은 구약성서 자체도 아세라가 여신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세라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III장에서는 아세라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하여 보았다. 메쉘(Z. Meshel)과 리핀스키(E. Lipinski)는 히브리어 □□□□(아세라트, Srt)를 아카디아어 asirtu(아시르투)와 관련하여 해석함으로써 아세라를 거룩한 장소 로 보았다. 아세라와 관련된 구약성서 본문은 아세라가 대부분 아세라 여신과 관련된 제의 대상물을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데이(J. Day)는 아세라가 우가릿(Ugarit)에서처럼 고대 이스라엘에서도 신들의 어머니인 모신(母神)으로서의 여신이었다고 주장한다. IV장에서는 구약성서에 나타난 여신숭배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명기 역사가의 작품인 열왕기서는 여신숭배가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뿐만 아니라 가나안의 초기 때부터 남북 왕정 시대 말까지, 민간 신앙의 차원을 넘어서 국가 종교에서까지 공식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예언자 예레미야와 호세아는 광야에서 야웨 하느님과 사랑을 속삭이던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정착하자마자 가나안의 이방 신들을 숭배하는 풍요 제의에 빠졌다고 비난하였다. 풍요 제의는 인간과 동물을 포함한 자연 세계 안에 모든 생명체의 근원이 되는 위대한 여신이 있다고 믿으며, 그 여신을 숭배하는 제의이다. 그러므로 예언자들의 비난은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서 여신숭배가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V장에서는 이스라엘의 여신숭배가 예후(Jehu, B.C.E. 839-822)와 히즈기야(Hezekiah, B.C.E. 727-699), 그리고 요시야(Josiah, B.C.E. 641-609)의 종교 개혁을 통해 점차적으로 사라져 갔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들의 종교개혁은 야웨 신앙에 대한 열심으로 단행한 단순한 종교개혁만은 아니었다. 거기에는 정치적인 야망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종교개혁은 사회 전반적인 개혁 가운데 일부였다. 또한 이들이 아세라 여신을 제거한 것은 그가 여신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은 야웨 하느님 한 분만을 섬겨야 한다는 단일신 신앙에 위배되었기 때문이었다. 종교개혁을 통해 아세라 여신은 제거되고 이스라엘에서 여신숭배에 대한 공식적인 제의는 사라졌지만, 여신숭배는 민간 신앙 가운데 여전히 남아 있었고, 바빌론 포로 후기 시대에 비로소 사라졌던 것 같다. 그것은 고고학 자료에서 여신숭배에 사용되던 여러 작은 입상들이 페르샤 시대에 가서야 유다 땅에서 사라지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야웨 하느님만을 섬겼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방신들을 섬겼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성서를 통해 제의 대상물 정도로 생각되었던 아세라는 고고학 발굴로 인해 이스라엘에서 널리 숭배되었던 여신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아세라가 여신이었다는 성서 자체의 증거도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스라엘 백성, 특히 여성들이 여신을 숭배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아이의 출산과 양육을 주관하는 신은 메소포타미아와 가나안의 문화에서는 여신이었기 때문에, 이스라엘 여성들은 가족의 건강과 풍요를 위해 이러한 능력을 가진 여신을 의지하였던 것이다. 이스라엘의 여신숭배는 가나안 정착 이후부터 남북왕정시대가 막을 내릴 때까지 오랜 세월동안 계속되었다.; The study purpose of research paper is an examination of □□□□goddess worship in Israel. I asked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y. Have Ancient Israelites believed in only God from the beginning because of the first of ten commandments,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 Deuteronomy historian and Prophets(above all Jeremiah, Hosea) severely criticized that Israelites believed in Canaan gods, above all Asherah. What is Asherah? Why and When did Israelites worship Asherah goddess? In chapter II I arranged Ugarit texts of B.C.E. about 15 C, lately archeological discoveries in Khirbet el-Qom inscription and Kuntillet Ajrud blessing phrase proved that Asherah was Yahweh s consort’. Old Testament itself like 1 kings 18:19 as well as Ugarit texts or archeological discoveries reveals clearly that Asherah was goddess. In chapter III I arranged the view of scholars on Ahserha to study what Asherah is. Z. Meshel and E. Lipinski explained Asherah as holy place’ by analyzing Hebrew □□□□(asherat, Srt) in relation with Acadia asirtu. In old testament in relation with Asherah almost Asherah was recorded as symbol of cult. But J. Day insists that Asherah was mother goddess, mother of gods in Ancient Israel like Ugarit. In chapter IV I observed goddess worship in Old Testament. Kings, the piece of Deuteronomy historians, showed that goddess worship had done formaly from not only monarchism of Israel but also from the beginning of Canaan to the end of South and North monarchism. The prophets like Hosea or Jeremiah criticized that Israelites who shared love with Yahweh God in the wilderness as soon as arrived in Canaan, they fell in feritility cult worshipping Canaan gods. The feritility cult is to worship goddess that women and men believed existence of great goddess, the spring of total life in natural world including person and animal. Therefore the criticism of prophets proved that worshipped goddess in Israel doing widely. In chapter V I observed goddess worship in the Israel had to disappear increasingly through of religious reform Jehu(B.C.E. 839-822) and Hezekiah(B.C.E. 727-699) and Josiah(B.C.E. 641-609). However, their religious reform was not caused only by the devotional commitment to Yahweh. Political ambition was one of the reasons that led to it. In a sense, religious reform was only a part of the general reforms of the society. Moreover, Asherah goddess were removed not because they were the images of goddess but because Yahweh was the only God for the Israelites. Asherah goddess were not right for monolatry faith in Israelites. Through religious reforms the Goddess Asherah and the worship services to it in official cult was had to disappear from the Israelites. But Goddess worship had to remain among popular religion. According to the archaelogical discoveries, it was not until postexile times that the worship to the Goddess Asherah was thoroughly removed. Until now I have observed the backgrounds why Israelites, especially Israel women got to worship the goddesses. It was the women who gave birth to and raise children. In the Canaan society which shares the Mesopotamian culture, the goddesses were regarded to govern the birth and rear of the children, and it was quite natural that Israel women relied upon the goddesses for their children s health and fert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약어표 = vi 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3 C. 연구사 = 5 1. 아세라 여신숭배에 관한 연구 = 5 II. 고고학 발굴물에 나타난 아세라 = 9 A. 고대 근동 우가릿(Ugarit) 문서에서의 아세라 = 10 B. 키르벳 엘-콤(Khirbet el-Qom) 비문에서의 아세라 = 14 C. 쿤틸렛 아즈룻(Kuntillet Ajrud) 축복문에서의 아세라 = 17 III. 이세라에 관한 견해 = 26 A. 거룩한 장소로서의 아세라 = 27 B. 제의 대상물로서의 아세라 = 28 C. 여신으로서의 아세라 = 31 IV. 구약성서에 나타난 여신숭배 = 37 A. 열왕기서 = 37 B. 예레미야 = 48 C. 호세아 = 54 V. 종교개혁을 통해 사라져간 여신숭배 = 63 A. 예후의 종교개혁 = 64 B. 히즈기야의 종교개혁 = 68 C. 요시야의 종교개혁 = 72 VI. 결론 = 82 참고문헌 = 88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4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이스라엘의 아세라 여신숭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