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0 Download: 0

실내공간을 위한 저부조 도벽에 관한 연구 : 기하학적 형태를 중심으로

Title
실내공간을 위한 저부조 도벽에 관한 연구 : 기하학적 형태를 중심으로
Authors
서연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환경에 예속되어 있고 환경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누구나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 속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노력의 일면으로 환경미술이 대두되었고, 도예 또한 이 흐름 속에서 환경도예 중 하나인 도벽의 제작이 활성화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예전 공예의 개념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기 보다는 심미성과 함께 도벽이 벽에 설치됨으로써 그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의 특성 및 목적에 부합되는 기능성을 내포하게 되므로, 공예의 개념에서 확장되어진 개념을 보아야 할 것이다. 도자에 의한 벽면 장식은 조각과 더불어 가장 다양한 벽면 장식을 할 수 있고, 조각과는 달리 흙 자체의 독특한 감수성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으며 벽면을 풍부하게 만드는 훌륭한 재료이다. ¹)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거 환경인 실내공간의 벽면에 건축물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기도 한 기하학적 형태를 응용한 도벽을 표현해 줌으로써 벽과의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조형적 아름다움과 쾌적한 환경, 미적 쾌감과 동시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도벽의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동ㆍ서양의 도벽의 역사를 알아보았고, 도벽이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의 일반적 개념과 특징, 종류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작품제작 이전에 현대도벽의 설치 현황을 알아보고 기하학적 형태를 응용한 선행 작품들의 제시를 통해 그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벽의 유형은 타일형 도벽, 저 부조형 도벽, 고부조형 도벽을 나누어 분류하였다. 작품 디자인 과정에서는 기하학적 형태들을 재구성함으로 인해 변형 되는 모습들을 전개하여 표현해 주었다. 작품제작방법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석 고원형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방법과 가압성형방법을 이용하였고 태 토는 밀양백토와 석기 질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유약은 주로 투명 유를 시유하였다. 소성 방법은 1.5㎥ 도 염식 가스가마에서 900℃까지 8시간 1차 소성한 후, 2차 소성은 산화염으로 1250℃까지 9시간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하학적 형태는 형과 형을 구성 시키는 것에 의하여 명쾌하고 지적인 미가 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더불어 흙을 재료로 한 도벽을 표현해 줌으로써 인공적인 환경에 다시 자연적인 재료를 도입함으로써 실내공간에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함, 더불어 미적인 쾌감을 부여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더욱더 새로운 시각의 도벽제작 가능성이 모색되어지고, 나아가 실내ㆍ실외 공간, 즉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도벽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주: 1) Stan Bitter (1976). Environmental Ceramics (New York: Van No strand Reinhold), p.91. ; Human beings belong to the environment and cannot exist without it. Therefore, everybody wants to live in beautiful and pleasant space, and continuously tries to improve his/her environment to satisfy it. Recently, environmental art is raised as part of this attempt, and ceramic art is activated with the production of ceramic wall in this flow. This trend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expanded from the concept of arts and craft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and the function suitable for it by establishing ceramic to the wall with aesthetic character rather than just escaping the concept of the existing arts and crafts. Wall decoration by ceramics covers various decorations including sculpture, and unlike sculpture it expresses the unique sensitivity of soil itself, and it is a good material making the wall rich.¹) Therefore, I tried to make harmony with ceramic wall by expressing ceramic wall applying geometric form which is also a form of building in the interior space of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to provide modeling beauty, pleasant environ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security. To achieve these goals of study. I first examined the history of Eastern and Western ceramic wall through the general examination of ceramic wall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lso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where ceramic wall is established. Also, the general concept, features and kinds of geometric form are examined, modern ceramic wall is studied before production, and the precedent works applying geometric form are suggested to examine their modeling character. The types of ceramic wall are divided into tile, low relief and high relief. In the process of work design, transformed features are expressed through restructuring geometric forms. As a way of producing work, press-moulding technique and slip casting which makes mass production possible is applied, and Milyang white clay and stoneware clay body are used as a basis clay body. For a glaze, mainly transparent glaze is used.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a 1.5㎥ gas kiln at a temperature of 900℃ for 8 hours. The second firing was also done in the same kiln for 9 hours at a temperature of 1250℃. All the work has been oxidized. Through this study, I found that geometric form can expressed into clear and intellectual beauty by structuring each form, and also ceramic wall gives peace of mind, pleasantness and aesthetic joy by introducing natural material. Based on this study, I expect more ceramic wall productions with new point of views will be groped for, and studies on ceramic walls will be activat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주) 1.Stan Bitter(1976). Environmental Ceramics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p.9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