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의순-
dc.creator최의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15-
dc.description.abstract자궁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수술로서 자궁에 발생하는 악성이나 양성질환의 치료목적 이외에 영구적인 불임을 위한 수단으로도 실시되어 그 빈도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자궁적출술을 수술자체와 수술전후 신체적 간호는 다른 장기의 외과적 수술과 큰 차이가 없으나 자궁자체가 갖는 상징적 의미로 인해 느끼는 상실감은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수술 후 신체적 적응 외에 심리적, 사회적 적응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입원기간 동안 신체적 적응을 위한 간호는 대체로 잘 수행하고 있으나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는 거의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이 심리적, 사회적 간호요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퇴원 후 바람직한 신체,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수술전후에 특별한 교육과 정서적 지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적출 환자들의 수술 후 바람직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환자교육과 환자 지지를 위한 배우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대상자 교육이 적응수준을 높이는 간호중재 방안임을 제시하고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Roy의 적응이론에 기초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의대 부속 K병원에서 양성자궁 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받은 폐경기 이전의 기혼부인과 그 배우자로서 1991년 7, 8월에 자궁적출술을 실시한 군을 대조군으로(40쌍), 9, 10월에 자궁적출을 실시한 군을 실험군(40쌍)으로 하였다. 교육용 도구는 자궁적출 환자 20명이 진술한 자궁적출에 관한 교육적 요구 내용과 문헌고찰 및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고 2차에 걸쳐 판정집단 9인(모성간호학 교수 2인, 산부인과 의사 1인, 정신 간호학 교수 1인, 교육학 교수 1인, 산부인과 병동 수간호사 2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1인,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 1인)에 의해 그 타당성을 인정 받은 후 제작한 소책자 2권과 관련 slide 34매이다. 적응수준 측정도구로 심리적 적응수준 측정도구는 Rosenberg의 Self-esteem측정도구와 Ryman, Beirsner, LaRocco의 형용사형 기분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생리적 적응수준, 사회적 적응수준 측정도구와 적응관련 자극 측정도구는 자궁적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탐색조사와 관계문헌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들은 사용 전에 2차에 걸쳐 판정집단에 의해 그 타당성을 인정 받은 후 대상자 30명을 대상으로 Cronbach’s alpha 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실험처치 방법으로는 실험군의 환자와 배우자 각각에게 3차에 걸쳐 수술전후 교육을 실시하였다. 즉 수술 전 교육은 강의와 토론을 겸한 집단교육을, 수술 후 교육은 전화를 이용한 개별교육을 퇴원 1주 후, 수술 1개월 후에 실시하였다. 1차 자료 수집은 실험군은 실험처치 전에, 대조군은 입원당시, 본 연구자와 연구조원이 직접 수집하였고, 2차 자료수집은 수술 2개월 후 우편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Chi-square검정과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실험처치 후(수술 2개월 후) 양 집단의 적응수준 비교는 t검정, 실험처치 후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수준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실험군의 생리적 적응 수준은 대조군 보다 높았다(t=2.43, P=.0087). 2)실험군의 심리적 적응 중 정서반응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쾌정서 반응이었다(t=1.76, P=.0411). 3)실험군의 사회적 적응 중 성생활 적응수준은 대조군보다 높았다(t=2.58, P=.0059). 4)실험군의 실험처치 후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간에는 정상관 관계가 있었다. (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결론적으로 자궁적출 환자와 배우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수술전후 교육은 환자들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은 자궁적출 환자들로 하여금 수술 전 상황에 대처하도록 도우며, 수술 후 적응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서 임상실무에서의 실용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모성간호 분야에서 그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Hysterectomy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reformed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of the femal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Pre-and post hysterectomy care is similar to that pertaining to other surgical procedures. However women having a hysterectomy may have problems with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due to the symbolic meaning of the uterus. Generally, nurses provide good care to promote the physical adaptation of women after a hysterectomy but care may be less effective in the area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pre and postoperative educational program for women undergoing a hysterectomy and for their husbands, to promote the women’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Roy’s conceptual model of adaptation was used to guide the study. The subjects, 80 patients who had a hysterectomy in one of C university’s hospitals for benign uterine disease, and their husbands, were divided in to a control group,-those who had had a hysterectomy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1991. Two kinds of educational booklets and 34 slides, a physiologic adaptation measurement tool, two kind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measurement tools, two kinds of social adaptation measurement tools and a three tools for adaptation related stimuli were used in the study. The educational booklets and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investigator from the literature were validated by expert judges including three nursing professors, one pedagogic professor, one obstetrics and gynecological physician, two head nurses, a nursing doctoral candidate and a woman who had had a hysterectomy.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measured by Rosenberg’s Self-esteem Measurement Tool and the Mood Questionnaire of Ryman, Beirsner and LaRocco.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ook pla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t three times, a group educational session (men and women in separate groups) in the preoperative period and an educational conversation over the telephone with both men and women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 data were collected twice on each woman, at the pre-operative group session and at 2 months post surgery by a mailed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the level of physiologic,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women. Data analysis was done by an SAS program.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physiological adaptation tool was =.86, for the social adaptation to ols, -perceived husband’s support, .86 and sexual life, .72; for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tools ? self esteem, .75 and emotional response, .86; and for stimuli related to adaptation, - fear of the surgery, .78, marital adjustment, .80, and perceptions about the uterus, .86.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ge, educational status, occupation, religion, income, previous hospitalization, previous surgery, induced abortion frequency, number of children, diagnosis, type of surgery and attitude of husband toward the surgery, fear of surgery, marital adjustment, perceptions about the uterus, and physiologic,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levels hysterectom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experimental group of women had higher physiologic adaptation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t=2.43, P=.0087). 2)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for emotional response (t=1.76, P=.0411). 3)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for sexual life adaptation (t=2.58, P=.0059). 4)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The pre and post opera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women and their husbands was confirm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women’s physiological adaptation, emotional response and sexual life adaptation. The use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both prior to and after a surgical procedure is recommended for nursing practice. Nursing intervention to modify the input stimuli promotes effective adap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4 E.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적응개념 --------------------------------------------------------- 6 B. 적응양상 --------------------------------------------------------- 8 C. 자궁적풀 환자의 적응상의 문제 ------------------------------------ 10 D. 적응을 돕기위한 간호중재로서의 대상자 교육 ----------------------- 14 1. 대상자 교육의 의의와 그 방법 ------------------------------------ 15 2. 대상자 교육의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 ---------------------------- 17 E. 연구의 이론적 개념들 --------------------------------------------- 19 Ⅲ. 연구의 방법 ------------------------------------------------------ 21 A. 연구설계 및 방법 ------------------------------------------------- 21 B. 연구대상 --------------------------------------------------------- 21 C. 연구진행 절차 ---------------------------------------------------- 22 D. 자료수집 --------------------------------------------------------- 34 E. 자료분석 --------------------------------------------------------- 35 Ⅳ. 연구결과 --------------------------------------------------------- 37 A. 대상자의 특성 ---------------------------------------------------- 37 B. 가설의 검정결과 -------------------------------------------------- 38 C. 추가분석 --------------------------------------------------------- 39 Ⅴ. 논의 ------------------------------------------------------------- 41 A. 실험처치의 효과에 대한 논의 -------------------------------------- 41 1. 생리적 적응수준에 대한 실험처치 효과 ---------------------------- 41 2. 심리적 적응수준에 대한 실험처치 효과 ---------------------------- 43 3. 사회적 적응수준에 대한 실험처치 효과 ---------------------------- 45 B. 추가분석에 대한 논의 --------------------------------------------- 47 Ⅵ.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부록 ----------------------------------------------------------------- 61 영문초록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20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궁적출 환자와 배우자를 위한 수술전후 교육이 수술후 적응수준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