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빠른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 변화와 건강수준에 대한 연구

Title
빠른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 변화와 건강수준에 대한 연구
Authors
김명애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Shiftworkers experience the changes of circadian rhythm arising out of periodic changes of day and night. Shiftwork brings forth a disturbance of normal circadian rhythm and an impairment of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The impact of shiftwork on the nurses’s circadian rhythm and health level, in spite of its importance, has rarely examin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circadian rhythm and health level of shiftwork nurses under the rapidly rotating shiftwork schedule. For this study 18 shiftwork nurses working in ‘c’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from May 30 to June 30, 1991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emperature, pulse rate, level of activation, mood were measured 6 to 7 times per day for 30 days excluding 7 holidays. For temperature an oral clinical thermometer was used, for activation level the Thayer’s (1967)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 was applied, and for mood the Mansour’s (1984). Mood Adjective Check List was applied. Th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was used to measure fatigue level. Urine was collected for measuring excreted amount of cortisol, antidiuretic hormone, and the volume, eletrolytes, and osmolarlity of urine.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Cosinor method were used for circadian rhythm variations, and differences of rhythm parameters by shift were tested by ANOVA. Hormone, and renal function during acting time and rest time were tested by paired t-test. In addition, the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 and health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sinor parameters of temparature rhythm of shiftworks were found. The amplitude and acrophase in their pulse rate and activation level were changed. The amplitude was the lowest and acrophase was delayed during the night shift. The amplitude of happiness moo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hift( f=5.94, p=.005 ). The acrophase of moo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iftworks. 2. The degree of fatigue which represents subjective health level was the highest in their night shift( f=23.03, p=.0001 ). The excreted amount of cortisol was higher during acting time in the day shift, but it increased during rest time in the night shift. The excreted amount of antidiuretic hormone was decreased during the day and increased during the night irrespective of their shift. Urine volume was reduced during acting time irrespective of night or day shift. The excreted amount of creatinine did no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iftworks. The excreted amount of K^+ in ur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acting time and decreased during resting time for both day and night shift. Urine osmolarlity increased during acting time and decreased during rest time for both day and night shift. 3.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level and cardian rhythm revealed that the degree of fatigue was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temperature rhythm city( r=-.22, p<.05 ). Pulse rate rhythm wa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renal function( r=-.17 ~ -.10, p<.05 ). As Happiness and Social moo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nal function, the stabler the mood rhythm was, the better the renal function. The better the renal function was, the less the complaint of fatigue( r=-.27 ~ -.19, p<.05 ).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ircadian rhythm is changed and that subjective health leves is decreased in the night shift nurses. It also informs that fatigue, the nurse’s main complaint, is related to circadian rhythm. It opens a ques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rcadian rhythm and renal function. This study, I expect, will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shiftwork effect on the health of nurses under the rapidly rotating shiftwork schedule. ; 교대근무자는 낮과 밤 주기의 변화로 인해 circadian rhythm의 변화를 경험한다. 교대근무와 관련된 주된 문제인 리듬의 교란과 더불어 교대근무와 관련이 되는 또 다른 문제는 주관적인 건강과 객관적인 건강의 손상이다. 이때 교대체계에 따라 리듬과 건강수준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데, 그중 빠른 교대체계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간호사의 건강문제가 간호사 자신은 물론이고, 환자와 병원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교대근무가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교대체계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교대번에 따른 circadian rhythm 및 건강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1991년 5월 30일부터 6월 30일까지 1개월간 C 시에 있는 C 대학병원에서 교대근무하는 평간호사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일에서 3일 단위로 낮번, 초번, 밤번이 불규칙하게 교대되는 빠른 교대근무체계에서 연구대상자의 체온, 맥박, 활동성, 기분 리듬을 30일 중 7일간의 휴일을 제외한 나머지 23일 동안 1일 6-7회 측정하였으며 매일 피로도와 요배설량 및 요전해질과 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체온의 측정은 전자 구강체온계를 이용하였으며, 활동성 척도는 Thayer (1967)의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를, 기분은 Mansour (1984)가 개발한 Mood Adjective Check List를 사용하였다. 피로도는 피로자각 증상표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요표본에 대해서 cortisol, 항이뇨호르몬, 요량, creatinine, Na^+, K^+, 삼투질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리듬변수에 대해서는 Cosinor Method를, 교대번에 따른 리듬, 피로도의 차이는 ANOVA를, 호르몬 및 신장기능은 paired t-test와 unpaired t-test를, 리듬과 건강수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대근무 간호사의 교대번에 따른 circadian rhythm,의 변화에서 체온의 평균, 진폭, 최고시기에 있어서 교대번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맥박과 활동성의 진폭( f=5.57, p=.01 ; f=4.87, p=.01 )과 최고시기( f=3.58, p=.04 ; f=23.72, p=.001 )는 교대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밤번의 진폭이 가장 낮고, 최고시기도 지연되었다. 행복 기분의 진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기분의 최고시기는 교대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13.83, p=.0001 ; f=6.91, p=.002 ; f=5.23, p=.006 ; f=12.57, p=.0001 ). 2. 교대근무 간호사의 교대근무에 따른 건강수준의 변화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의 지표인 피로도는 밤번이 가장 높았다( f=23.03, p=.0001 ). 객관적 건강지표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호르몬 분비에 있어서 요중 cortisol의 배설은 낮번의 경우 활동시에 더 많았고, 밤번의 경우 휴식시인 낮에 증가하였다. 항이뇨호르몬의 배설량은 교대번에 관계없이 낮에는 배설량이 감소하고 밤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장의 기능변화 중 요량은 낮번과 밤번 모두 활동시에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배설량은 교대번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요중 K^+ 배설량은 낮번과 밤번 모두 활동시에 증가하고 휴식시에 감소하였다. 요삼투질 농도는 낮번과 밤번에서 모두 활동시에 증가하였다. 3.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과 건강수준과의 관계에서 체온리듬이 안정될수록 피로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22, p<.05 ), 맥박 리듬은 신장기능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17 ~ -.10, p<.05 ) 기분의 행복 차원과 사회적 차원이 각각 신장기능과 유의한 관계가 있어, 기분의 리듬이 안정될수록 신장의 배설기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장기능이 양호할수록 피로를 적게 호소하였다( r=-.27 ~ -.19, p<.05 ), 이상의 결과에서 빠른 교대체계에서의 밤근무는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고,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수준을 저하시키며 신장기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간호사들의 주호소인 피로가 리듬성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리듬성 정도와 신장 기능과의 관련성도 제기되어 이 부분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빠른 교대체계에서 교대번에 따른 리듬의 변화와 건강수준을 파악해 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대근무가 간호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