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지영-
dc.creator신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31-
dc.description.abstract전통이란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 있어서 오랜 시일에 걸쳐 형성ㆍ계승ㆍ반복되고, 그 성원에 대하여 규범적 의미를 지니며, 현재의 생활에 다소간 무슨 의미나 효용이 인정되는 사상ㆍ행동ㆍ생활관습을 일컫는다. 따라서 과거와 단절된 새로운 양식의 창조나 급진적인 변화에 의한 새로운 양식의 발생은 있을 수 없다. 옛 것이 축척 된 다양성을 바탕으로 연속의 원리에 의해 현재와 미래의 새로운 양식은 창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통을 이해하여 현대예술 전반에서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추구하려는 경향은 전통을 되찾자는 주체의식과 함께 한국적인 미를 찾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현대복식에 있어서도 전통의 계승과 그것의 창조적 개발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옛 것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인의 감정과 정서 그리고 시대상에 어울리게 재정립됨으로써 새로운 양식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전통 창살문양은 우리 건축의 내용 중에서 기하학적으로 잘 정리되어진 유일한 형태로서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 조형적인 특성이 외부공간에서 보는 우리의 시각은 보다 완벽하게 다듬어 주고 있어 더 돋보인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조형의 한 형태로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선적(線的)인 구성에 의해 회화적이고 설명적인 문양보다는 추상적이고 도안화 된 기하학적인 형태의 문양을 형성하고 있어서 현대적인 기하학적인 형태미에 잘 부합된다. 또한, 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인간의 자기욕구 충족과 필요성에 의해 오늘날 복식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액세서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핸드백은 단순히 장식 역할에 그쳤던 의상의 종속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점차 의상과 조화를 이루어 토털패션 코디네이트(total Fashion Coordinate)로서 그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적인 기하학적 형태미에 잘 부합하는 창덕궁 창살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전통문화에 표현된 조형 미를 이해하고, 기법, 소재, 색상과의 조화를 통해서 현대적 감각에 어우러질 수 있는 핸드백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케팅, 다른 상품들과의 코디네이터를 고려하여서 실용적이면서도 트렌드를 가미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전통을 산업화ㆍ상품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의 창살문양은 다채로운 발전을 하여 그 종류가 다양한데, 특히 조선 시대의 창살문양은 일반주택, 궁궐, 사찰건축의 차이가 현저하다. 본 연구의 시대적 범위는 실증적 자료가 현존하는 조선시대로 설정하였으며, 조선시대의 건축 비중은 단연 왕실이 중심이 되고, 현존하는 건물 또한 궁궐이 대부분이므로, 일반주택과 사찰건축의 창살 문양을 제외한 궁궐건축의 창살문양을 그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삼국시대 이래로 궁실의 조영(造營)에 있어서 지형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가장 한국적인 궁궐의 모습이며, 현존하는 궁궐 중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화려한 창살문양보다는 간소하고 직선적인 창살문양의 모티브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실질적인 사진자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물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제Ⅰ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밝힌다. 2. 제Ⅱ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창살문양에 관한 고찰과 핸드백에 관한 고찰을 한다. 창살문양에 관한 고찰에서는 문헌자료를 통해서 창살문양의 정의 및 특성, 창살문양의 종류를 알아보고 실질적인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창덕궁 창살 문양의 종류와 조형적 분석을 통해 조형 미를 살펴본다. 핸드백에 관한 고찰에서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핸드백의 정의 및 기원 그리고 핸드백의 종류를 살펴보고, 현대 핸드백 디자인의 최근 경향을 분석한다. 3. 제Ⅲ장은 작품제적으로 제작의도 및 방법과 작품해설을 한다. 창덕궁 창살 문양을 모티브로 그것의 조형적 분석과 현대 핸드백 디자인의 최근 경향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핸드백 총 10점을 실물작품으로 제작한다. 띠 창살,井字살, 卍字살, 빗살 소슬빗꽃살 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표현기법은 패치워크, 누비, 엮기 기법을 사용한다. 색상은 기보 색 중에서 검정 색과 흰색을 이용하며, 천연 가죽인 우피(牛皮)와 방수처리 된 나일론의 패브릭 소재를 사용한다. 4. 제Ⅳ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Ⅰ장에서 Ⅲ장까지의 과정을 통해서 작품제작의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상 본 논문의 실물 작품 제작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창덕궁 창살문양에 나타난 직선과 그것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면의 기하학적인 형태를 구성요소로 하여, 모티브의 반복과 변화로 통일과 리듬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창살문양의 대칭적 균형에 의한 안정감을 갖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모티브로서 현대적인 기하학적 형태미에 잘 부합함으로써 전통문양의 현대적 재창조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2. 색상은 일정 시기에 집중해서 시장을 점유하는 유행 색보다는 기본 색을 선택하였다. 왜냐하면 기본 색은 기획ㆍ생산ㆍ판매에 있어서 위험부담이 적어 실패의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색상으로, 연도를 초월해서 계속적으로 일정의 판매 실적이 예상되고, 폭 넓은 소비자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며, 어느 색상에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단 품에서도 코디네이터를 하기 쉬운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 색 중에서 특히, 흑ㆍ백의 대비에 의한 배합으로 강한 명쾌 감과 주목성, 명시성을 강조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강렬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었다. 3. 소재는 천연가죽 인 우피(牛皮)와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였다. 우 피는 표면이 코팅 되어 부드럽고 매끄러운 복스와 소프트 에프지를 주로 사용하였고, 누비를 하는 부분은 가장 얇고 부드러운 가죽인 가먼트지를 이용하였다. 또는 가죽을 방수처리 된 나일론과 부분적으로 매치하여, 고급스러움과 더불어 뛰어난 내구성과 실용성ㆍ기능성을 특징으로 한 디자인을 할 수 있었다. 4. 핸드백의 종류는 형태, 착용방법, 용도에 따른 디자인을 하였다. 형태에 있어서는 큰 사이즈로 쇼핑백의 토트 백 형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 폭이 좁아 납작한 형태, 유선형 형태로 디자인하였고, 숄 더 백, 그립 백, 룩색, 어깨에 가로질러 매는 백의 착용방법과 정장용, 캐주얼용, 여행용, 사무용의 용도별로 나누어 디자인을 한 결과, 의상을 아름답고 단정하게 하며, 액센트와 변화를 주고 이미지를 조정하는 요소로서 의상의 분위기나 TㆍPㆍO(TimeㆍPlaceㆍOccasion)에 따라 적절하게 스타일에 따른 코디네이터를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할 수 있었다. ;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have unique shape of geometric orderliness on our architectural works and suit well to modern geometric forms and aesthetics. Additionally concept on dress and ornaments has been changed in our time and interest on accessories has been heightened. Handbag expanded its relative importance as Total Fashion Coordinate which is being integrated as a part of dress and ornam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lattice patterns of Changdeok Palace was used as a motif and this writer attempted to express it in a form of handbag through harmony of technique, material and color and matching to modern flavor. In such a course of endeavor it is aimed to industrialize and commercialize the tradition through adding element of marketing and coordination with other commodities plus adding functional as well as trendy element of modern touch to it. The time period covered in this study spans Chosun Dynasty time for which empirical data are still available and subject is confined to lattice pattern of palaces with exclusion of houses for residential purpose and temples. Among existing palaces Changdeok Palace is the best in terms of preserving it original shape and this is why this writer chose it as subject of this study and motif is confined to its simple and straightlined lattice patterns. In connection of this study as theoretical background lattice patterns and handbag were studied theoretically and then on the basis of such study totally to pieces of handbags are produced by using motif of lattice patterns of Changdeok Palace and by harmonizing related technique, material and color with addition of modern touch.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and process of making actual product on its basis is as follows: 1. Geometric form being created from straightline of lattice patterns of Changdeok Palace and its arrangement was taken as constituent elements and through repetition and change of motif rhythm and unity could be felt. Additionally lattice patterns are found matching well with modern geometric forms as abstract and geometric motif possessing sense of stability by its symmetric balance in consequence it lends to possibility of modern re-cre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2. Basic color was chosen rather than fashionable one which dominates market at a certain period of time. Among basic colors in particular through combination of contrasting color of black and whit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strong cheerfulness, attractiveness and clarity thus visually power effect could be created. 3. Materials were natural leather of cow hide and water-proof processed nylon of fabric thus it was possible to have a design of outstanding durability, practicality and function. 4. As to types of handbag it was possible to have a design by coordinating in accordance with proper style depending on flair of dress and T.P.O.(Time-Place-Occasion) as a result of designing on the basis of form, ways of carrying it and 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창살문양에 관한 고찰 = 4 1. 창살문양의 정의 및 특성 = 4 2. 창살문양의 종류 = 5 3. 창덕궁 창살문양의 종류 및 조형미 = 16 B. 핸드백(Handbag)에 관한 고찰 = 36 1. 핸드백의 정의 및 기원 = 36 2. 핸드백의 종류 = 39 3. 현대 핸드백 디자인 = 48 Ⅲ. 작품제작 = 57 A. 제작의도 및 방법 = 57 B. 작품해설 = 61 Ⅳ. 결론 및 제언 = 101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149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창살문양을 응용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 : 창덕궁 창살문양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