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책접근법의 효과

Title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책접근법의 효과
Authors
이경화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책접근법」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즉, 「큰책접근법」이 4, 5세 유아들의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책 내용 이해 능력, 이야기 개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Ⅰ.「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읽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 I-1. 읽기 발달 단계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 I-2. 단어 해독 능력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 Ⅱ.「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쓰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 Ⅲ.「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책내용 이해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 Ⅳ.「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이야기 개작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 IV-1. 이야기 개작 단계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 IV-2. 이야기의 문장 길이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 IV-1. 이야기 어절 수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본 연구의 대상은 Y시에 소재한 S유치원 4, 5세 유아 36명이었다. 연구자는 4, 5세 유아의 2학급 씩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고 연령에 따라 동일한 문해 해결 능력을 가진 유아 18명을 짝진 표집하였다.실험 집단은 「큰책접근법」을 수행한 반면 통제 집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학활동을 경험하였다. 연구 절차는 유아의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책 내용 이해 능력, 이야기 개작 능력을 알아 보기 위해 예비 조사, 서전 검사, 1주에 3회 씩 7주간의 실험, 그리고 사후 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읽기 능력에 있어서 집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 보다 읽기 발달 단계가 향상되었으며, 단어 해독 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쓰기 능력에 있어서 집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 보다 쓰기 발달 단계가 향상되었다. 셋째, 「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책 이해 능력에 있어서 집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 보다 책 내용 이해 발달 단계가 향상되었다. 넷째, 「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이야기 개작 능력에 있어서 집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 보다 이야기 개작 능력이 우수하였다. 한편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의 문장 길이와 어절 수에 있어서도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은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 보자 더 긴 문장과 어절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큰책접근법」이 유아의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책 내용 이해 능력, 이야기 개작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책접근법」이 효과적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 The purpo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ort of Big Book Approach on literacy learning of 4 ans 5-year-old children. To meet the purpose, fiv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I. What is the effect of the Big Book Approach an young children s reading competence? 1. Is there any sign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ing of reading stag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decodion skill between experimantal and controlled group? II. What is the effort of the Big Book Approach on young children s writing competence? III. What is the effort of the Big Book Approach on young children s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IV. What is the effort of the Big Book Approach on young children s story rewiting competence?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ing of rewritig stag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of rewritig stag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utterance number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irty six Children(twenty two 4-year-olds and fourteen 5-year-olds) of private S kindergarten in Anya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 kindergarten classes. Based on Sulzby s reading stage and Lee & Lee s writing stage, thirty six subject children were selected as paired sample. The experimental subject(eleven 4 years old and seven 5 years old) was participated in Big Book Approach during the period of seven weeks. The control subject(eleven 4 years old and seven 5 years old) was participated in traditional story listening activ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as follows : pilot-study, pre-test, participation in Big Book activites and post-test. The pre-teat and post-test for children s literacy competence classified by two trained r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Big Book Approach shows an effective result to reading competence. To be specific, the Big Book Approach raised the experimental subjects reading stage and word decoding significantly to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Big Book Approach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writing competence. That is, the Big Book Approach raised the experimental group s writing stage significantly to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3. The Big Book Approach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That is, the Big Book Approach raised the experimental group s comprehension competence significantly to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Big Book Approach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story rewriting competence. The Big Book Approach significantly raised the experimental group s story reviewing, sentence length and utterance significantly to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