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연자-
dc.creator최연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44-
dc.description.abstract가족은 가장 중요한 사회적 단위이며, 건강과 질병의 일차적 단위로서 질병이 발생하고 치료되는 사회적 집단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환자들의 치료는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가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1940년대 후반과 50년대 초에 미국 내 각 지역에서 제각기 시작되었으며 특히 정신 분열 가족과 어린이 행동장애를 전통적인 정신분석 원리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좌절됨으로써 가족 접근법이 발전되는데 박차를 가했다. 이 중 가족연구와 가족치료에 관한 접근으로 의사소통 이론을 적용한 가족치료는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을 치료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가족을 기능화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를 의사소통 체계로 보고 있다. 또한 인간의 모든 행동은 곧 의사소통이며 의사소통은 필요 불가결하다는 전제하에 잘못되고 상반된 이중 구조의 메시지와 불일치로 인해 병리적인 의사소통의 체계가 지속될 경우 그러한 의사전달을 받는 가족원은 혼동되고 불안하며 갈등을 갖게 된다(김수지, 노춘희 1985). 따라서 가족 내에서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발화점이 되기도 하며 정신장애의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에 가족문제를 가족의 의사소통에 초점을 두어 치료하려는 연구가 진행 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및 부모에게 기능적 의사소통의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가족내의 의사소통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환자의 회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부모의 질병인식·이해정도, 정신질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특성정도 그리고 환자 회복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1985년 7월부터 1986년 7월까지의 약 1년 동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정신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와 그의 가족으로서 가족 중 환자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주고 치료에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부모와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가족별로 1주일에 2회, 1회 60분으로 총 6회의 360분(6시간)에 걸쳐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면접과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저자가 제작한 것과 이미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에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을 거친 의사소통 유형, 부모의 질병인식·이해정도, 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특성, 환자의 회복정도 등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의사소통 유형, 부모의 질병인식·이해, 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특성, 환자의 회복정도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를 가설 검정하기 위해 변량분석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를 보다 과학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인구학적 변수, 가족특성 변수, 환자특성 변수의 유사성 검정은 X²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가 있었던 변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 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환자회복정도에 대한 기능적 의사 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환자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환자에 대한 질병인식·이해정도 그리고 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자 회복정도와 의사소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 가족특성, 환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t-검정과 변량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환자 회복정도에 예측인자 확인을 위해 단계적 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 접근 효과분석 결과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환자 회복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가설 검정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 가설인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은 실험군의 환자 및 부모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 및 부모에 비해 의사소통이 더 기능적일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환자의 의사소통, 아버지의 의사소통, 어머니의 의사소통 모두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전보다 실험후가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의사소통이 더 기능적이었다. 따라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으로 환자 및 그 부모의 의사소통이 더 기능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2 가설인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은 실험군의 부모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지않은 대조군의 부모에 비해 환자에 대한 부모의 질병인식·이해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아버지의 질병인식·이해정도와 어머니의 질병인식·이해정도 모두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s p<.001, Explained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전보다 실험후가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부모의 질병인식·이해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으로 환자에 대한 부모의 질병인식·이해 점수가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가설인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은 실험군의 정신 질환자 어머니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정신질환자 어머니에 비해 정신 병리학적 점수는 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정신 병리학적 점수는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전보다 실험후가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정신병리학적 점수가 더 낮았다. 따라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으로 정신질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점수는 더 낮아지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4가설인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은 실험군의 정신질환자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정신질환자에 비해 정신 질환의 회복 정도가 더 빠를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 전체 장애지표의 환자회복 정도에 대한 가족접근의 변량분석검정 결과는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전보다 실험후가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회복정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으로 정신질환자의 회복정도는 더 빨라지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의 유사성 검정에서 차이가 있었던 변수인 대상자의 성별, 직업, 종교, 형제순위, 부모생존의 다섯 변수를 조절하여 다시 가설을 검정해본 결과 기능적 의사소동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은 역시 환자 회복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환자 회복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학적 특성6개항, 가족특성 7개항, 환자특성 8개항 각각과 종속 변수인 환자 회복 정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환자회복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변수는 종교(t=-2.41, df=40, p<.05), 가족형태(t=2.28, df=40, p<.05)이었다. 환자의 회복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를 포함해 단계적 중 회귀 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주요한 예측인자는 환자의 의사소통 유형, 어머니의 성격, 진단명, 연령, 부모종교 등으로 총 57.1%를 예측하였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족내의 의사소통 유형을 기능적으로 증진시키고 부모의 질병인식·이해 정도와 환자 어머니의 정신병리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며 환자의 회복정도에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한국상황에 맞는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한국 가족의 구조적-기능적 특성과 상호작용특성 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정신질환자 가족 뿐 아니라 정신질환이 아닌 모든 질병을 가진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내의 의사소통 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어 연구할 필요가 있다. 3) 임상간호에서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간호원 교육이 필요하다. ;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promote a communicative function in family and expendite schizophreniacs’ recovery by executing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about both patients and their parents, and evaluating the ef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and the degree of patient recov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in Won Kwang University Mental Hospital from July, 1985 to July, 1986 and their family.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expedited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wo times a week-it took sixty minutes each time and was done six times-by interviews and questionaires. The measuring tools of this study were those produced by the research of literature of the investigator and those already Standardized.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and patients’ recovery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before were also used as those tools, ANOVA was used i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or hypothetical test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and patients’ recovery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o test the effects of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more scientifically, X²-test was also used in analyzing the test of similarity about the variables of population, family Characteristic and patient Characteristic,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control the variables of similar difference, the effects of patients’ recovery degree were tested by executing ANCOVA.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and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Pearson’s Correlation-analysis was execu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recovery degree and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family and patient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type of communication, T-test and ANOVA were executed. And, to confirm the predictors of patients’ recovery degre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s are follows; 1)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effects of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o confirm the effects of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and patients’ recover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hypothetical test. The first hypothesis that “patients and their parents of experimental group given by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will be more functional in communication than those of control group, not given”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like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 in the communications of patients, their father and mother, Experiment made was more functional than One, not made and experimental group wa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 communication of patients and parents,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could be more functional. The second hypothesis that “parents of experimental group given by reinforcement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 will be higher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not given”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like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father and mother about disease, Experiment made was higher than one, not made and experimental group wa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could be higher. The third hypothesis that “patients’ mothers of experimental group given by reinforcement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 will be lower in the psychopathological degre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not given”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like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 in the psychopathological degree, Experiment made was lower in the psychopathological degree than one, not made and experimental group wa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 psychopathological degree of patients’ mother,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could be lower. The fourth hypothesis that “patients of experimental group given by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will be faster in the recovery degre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not given”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like Main Effects p<.001, Interaction p<.001, Explained p<.001 in the results of ANOVA about the recovery degree of the global pathologic Index. Experiment made was faster in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than one, not made and experimental group wa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could be faster. Through the results ANCOVA to control five different variables, in the similar 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uch as sex, occupation, religion, sibling position and parental survival it was shown that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could increase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2) The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x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ven family characteristics, eight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the dependant variables. The special variables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were religion - t=-2.41, df=40, p<.05 and family form - t=2.28, df=40, p<.05. To confirm the main predictive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recovery degree of patients, the mail predictive factors such as patients’ type of communication, mother’s character, diagnosis, age, and parents’ religion, through the results to execut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contain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rmediate variables, accounted for 57.1%. In the end, from the results, patients’ recovery could be desirably led by promoting the type of communication in family functionally and changing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bout disea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by family approach through reinforcem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가설 ------------------------------------------------------------- 4 4. 용어의 정의 ------------------------------------------------------ 5 이론적 배경 ---------------------------------------------------------- 9 1. 의사소통과 가족기능 ---------------------------------------------- 9 2.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가족문제 ------------------------------------- 15 3. 가족 접근과 간호이론과의 연관성 ---------------------------------- 20 연구방법 ------------------------------------------------------------- 24 1. 연구설계 및 방법 ------------------------------------------------- 24 2. 연구 도구와 개발 과정 -------------------------------------------- 26 3. 연구 진행 절차 --------------------------------------------------- 33 4. 자료 분석 -------------------------------------------------------- 45 5. 연구의 한계 ------------------------------------------------------ 47 연구 결과 및 고찰 ---------------------------------------------------- 48 1. 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의 효과 분석 결과 및 고찰 ---- 48 1) 제1가설 검정결과 ------------------------------------------------ 48 2) 제2가설 검정결과 ------------------------------------------------ 51 3) 제3가설 검정결과 ------------------------------------------------ 54 4) 제4가설 검정결과 ------------------------------------------------ 58 2. 추가 분석 결과 --------------------------------------------------- 62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사성 검정 결과 ------------------------------ 62 2) 환자회복 정도에 대한 공 변령분석 -------------------------------- 62 3) 환자 부모의 의사소통과 환자 부모의 질병인식·이해정도, 환자 어머니의 정신 병리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 62 3. 환자회복 정도와 의사소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 분석결과 및 고찰 ------------------------------------------------- 64 1) 환자회복 정도와 인구학적 특성, 가족특성, 환자 특성과의 관계 ----- 64 2) 환자 의사소통 정도와 인구학적 특성, 가족특성, 환자 특성과의 관계 ----------------------------------------------------------------- 64 3) 환자회복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5 연구 결과에 따른 간호 측면에서의 의의 -------------------------------- 67 1) 간호이론 면에서의 의의 ------------------------------------------- 67 2) 간호실무 면에서의 의의 ------------------------------------------- 68 3) 간호연구 면에서의 의의 ------------------------------------------- 69 결론 및 제언 --------------------------------------------------------- 70 1. 결론 ------------------------------------------------------------- 70 2.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8 영문초록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160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능적 의사소통 강화를 통한 가족접근이 정신분열증환자 회복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