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윤진-
dc.creator오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14-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정보통신공학의 발달로 교육정보화의 구체적인 실현이 급속도로 진행 중이며, 교수-학습 환경에서도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특별히 컴퓨터를 매개로 한 통신교육은 전통적인 교실학습 환경의 많은 제약점들을 극복해 줄 수 있고 협동학습에 매우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협동학습은 오늘날의 정보사회에서처럼 복잡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이 요구되는 때에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력과 같은 상위인지 능력을 배양하는데 적합한 학습형태로 알려지고 있으며,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인지적, 사회·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발달 경험을 할 수 있어, 협동학습의 필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협동학습에 관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학습자 유형의 상이성(Klein & Pridemore, 1992)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고려가 부족하여 일관된 연구결과를 낳지 못하였으며, 대부분의 협동학습에 관한 연구는 면대면 교실학습 환경에서 수행되어져 왔다. 컴퓨터 매개 통신의 특성이 협동학습이나 프로젝트기반학습 등과 같은 학습 형태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컴퓨터 매개 통신을 활용한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교실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이 아니라, 컴퓨터 매개 통신의 한 유형인 비실시간 컨퍼런싱(asynchronous conferencing)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다루었으며,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컨퍼런싱을 활용한 웹 기반 협동 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보상구조(reward structure)가 학습참여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참여도는 관계가 있는가? 1-1. 학습자의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참여도는 관계가 있는가? 1-2. 학습자의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습참여도는 관계가 있는가? 1-3. 학습자의 협동학습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습참여도는 관계가 있는가? 2. 협동학습의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3-1. 학습자의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3-2. 학습자의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3-3. 학습자의 협동학습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4. 협동학습의 보상구조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5. 협동학습의 보상구조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5-1. 학습참여도에 대해 보상구조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5-2. 학업성취도에 대해 보상구조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현재 경원대에 재학 중인 90명의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자기효능감에 관한 사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비실시간 컨퍼런싱을 활용한 협동학습의 과제수행이 4주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협동 학습시 학습자들은 개별적 보상구조와 협동적 보상구조의 두 집단으로 할당되었으며, 4인이 1조를 이루어 최종적인 집단 과제물을 제출하도록 지시 받았다. 협동학습 과제는 대학생을 위한 웹진(web magazine)의 기획안을 제출하는 것으로, 학습참여도는 비실시간 컨퍼런싱에 의견을 제시한 수와 제시량으로 측정되었으며, 학업성취도는 협동학습과제에 대한 관련내용의 개별시험과 집단과제물의 성적에 의해 평가되었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과 학습참여도의 관계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견 제시수와 의견 제시량 모두와 관계가 없었다. 둘째, 협동학습의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협동적 보상구조 집단의 학습자가 개별적 보상구조 집단의 학습자보다 의견 제시수에 있어서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한 것으로 연구결과 드러났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과 t-test를 실시한 결과,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 협동학습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모두 학업성취도 중 개별시험성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이 밝혀졌다. 효능감의 상, 하위 집단간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t-test에서도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협동학습의 보상구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과제물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밝혀졌는데, 개별적 보상구조 집단의 학습자보다 협동적 보상구조 집단의 학습자가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다섯째, 보상구조와 자지효능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ANOVA를 통해 검증한 결과, 학습참여도에 대해서는 의견제시수와 의견제시량에 대해 모두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 중 개별 시험에 대해서는 보상구조와 학구적 자기 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협동적 보상구조 집단에서보다 개별적 보상구조 집단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는 협동적 보상구조 집단에서 더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살펴볼 때, 독립변인인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는 종속변인인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니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에서 개별시험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보상구조는 학습참여도 중 의견제시수와 집단과제물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이였다. 그러므로,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의 성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으며, 개인의 성취도가 중시되는 변인인 경우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습자의 협동과 협력이 중시되는 변인인 경우는 효능감보다 보상구조의 영향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비실시간 컨퍼런싱을 활용한 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의 형향이 입증되었으나,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비실시간 컨퍼런싱을 통한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상이한 특성을 지니므로, 비실시간 컨퍼런싱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면대면 협동학습과의 비교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컨퍼런싱을 활용한 협동학습의 평가를 위해서 메시지 문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양적 연구에서 밝혀지지 못한 연구문제들을 보다 집중적으로 검증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협동학습은 집단의 특성에 따라 학습참여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집단 구성(group composition)에 관한 연구가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환경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er’s self-efficacy and reward structure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learner’s self-efficacy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1-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1-2.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learner’s computer self-efficacy? 1-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learner’s self-efficacy with cooperative tasks? 2. How does reward structure affect the level of learner’s participation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s self-efficacy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3-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3-2.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3-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with cooperative tasks and academic achievement? 4. How does reward structure affect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5. In cooperative learning, is there a reciprocal effect between reward structure and the learner’s self-efficacy? 5-1. With regard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s there a reciprocal effect between reward structure and the learner’s self-efficacy? 5-2. With regard to academic achievement, is there a reciprocal effect between reward structure and the learner’s self-efficacy? In cooperative learning, learner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tic reward structure and cooperative incentive structure. The teams, each composed of 4 learners, were ordered to submit the final team papers. The cooperative learning assignment was to submit a project on web magazines for college students.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opinions at asynchronous conferences. The degree of achievement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individual tests on related subjects and by team papers. To validate our stud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self efficacy and level of participa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either the frequency or quantity of opinions. 2.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reward structure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level participation, learners of cooperative incentive structure showed more active participation than those of individualistic rewar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opinions. 3.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reveal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s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ith cooperative learning all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individual test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t-test performed on the gap between mean values of high and low efficacy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Concerning the team papers, the influence of reward structure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Learners of cooperative incentive structure received better grade than learners of individualistic reward structure. 5. Concern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e evaluation of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reward structure and academic self-efficacy with ANOVA did not show any effect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the opinions. However, in individual tests,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reward structure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shown. Suggestions derived from these fi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must be studied in comparison with face-to-face cooperative learning. Second, for evaluating cooperativ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deal with unsolved problems of quantitative research. Third, research regarding group composition must be done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연구모형 = 5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협동학습 = 8 1. 협동학습의 개념 및 특성 = 8 2. 협동학습의 인지적, 사회 · 정의적 효과 = 10 B. 웹기반 협동학습 = 12 1.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상호작용 = 14 가. 웹기반 학습의 상호작용 = 14 나.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 16 2. 웹기반 협동학습의 교육적 장점 = 16 3. 웹기반 협동학습의 유형 = 19 C.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 20 1. 학습자 특성 = 20 가. 자기효능감의 개념 = 21 나.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 23 다. 자기효능감과 협동학습 = 24 2. 협동적 보상구조 = 28 D. 관련 선행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7 A. 연구 대상 = 38 B. 연구 절차 = 40 C. 연구 도구 = 43 D.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방법 = 45 Ⅳ. 연구 결과 = 47 1. 자기효능감과 학습참여도의 관계 = 48 2. 보상구조와 학습참여도의 관계 = 50 3.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51 4. 보상구조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 56 5.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57 Ⅴ. 결론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2 부록 = 79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77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