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1 Download: 0

입원아동의 주사공포감소를 위한 필림모델기법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측정

Title
입원아동의 주사공포감소를 위한 필림모델기법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측정
Authors
송지호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오늘날 많은 병원에서 입원한 아동의 의료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어떤 형태로든 심리적 준비를 반드시 시켜야 한다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최근에는 아동의 의료공포에 대한 지식을 증대하는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병원의 의료처치 중에서도 주사와 관련된 처치가 아동에게는 가장 고통스럽고 제일 심각한 공포의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어린 아동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제한된 언어와 이해능력 때문에 설명하는 것 이상의 다른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청각 매체의 사용은 입원과 의료절차를 위해 아동을 준비시키는 중재방법으로는 가장 효과적이다. 그 중에서도 모델링(Modeling)은 주사 공포를 감소시키는데 치료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특히 필름을 통한 모델링(Film Modeling)은 아동의 단순 증상적 공포의 예방에 좋은 기법으로서 아동의 적응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입원아동의 주사공포의 심각성을 고려해 볼 때 이 시점에서 잘 고안된 모델링 필름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느꼈다. 무엇보다도 임상실무에서 실용성 있고 실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아동간호 분야에서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실제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기대되는 사회적 행동을 변화 시킴으로써 입원아동의 주사공포를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지지적간호 모델링 필름을 제작, 개발하여 이를 환아의 주사공포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증명하는데 있다. 그런 다음 그 필름을 임상에서 주사아동에게 실제로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적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필름 모델링 프로그램은 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필름제목은 “나도 주사를 잘 맞을 수 있어요”로서 모델은 남녀아동 각 1명으로 남아는 대응모델(Coping Model), 여아는 숙련 모델(Mastery Model)의 시범을 한다. 남녀 아동 외에도 주사기 인형이 등장하여 주사의 중요성과 주사를 맞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또 다른 남녀 인형들의 역할은 관찰자로서의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모방을 강화하였다. 또한 만화 커트를 4자연 넣음으로써 아동의 흥미를 끌어 주의집중을 꾀하고 모델링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그리고 치료적 모델링을 위한 대본작성에서는 현재까지 공포와 불안감소, 아동의 적응에 효과적으로 밝혀진 연구결과와 임상보고, 구어적인 이론들(Verbal Theory)을 확인, 분류하여 간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류된 안내, 정보제공, 보상, 이완, 감정이입, 정서적 지지, 이완 등의 심리적 간호접근법들을 대응기법으로서 필름 모델링에 통합함으로써 모델이 환아로서 바람직한 시범을 하도록 하는 지지적 간호 모델링 필름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적간호 모델링 필름은 아동의 주사공포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K의료원에 입원한 3세-12세의 아동 62명이었고 필름을 시청한 실험군 아동 31명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아동 31명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로 한 유사실험 연구였다. 측정방법으로는 다차원적인 공포개념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보고식의 주관적 측정과 연구자에 의한 행동관찰 사정, 그리고 생리적 측정법을 사용하여 아동의 공포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의사, 간호사가 평가한 필름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자료 수집의 다면성을 가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Global Mood Scale(GMS), Procedure Behavior Check List(PBCL), Faces Rating Scale(FRS), Children’s Distress Measure(CDM), 맥박(Pulse rate), 그리고 간호사와 의사가 평가한 구조적 질문지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평균치, 표준편차, t-검정, 일원변량 분석, 이원 변량분석, 요인 분석, Repeated Measured ANOVA, Pearson Correlation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GMS(F=45.21, P=0.0001), PBCL(T=5.20, P=0.0001)), FRS(F=33.75, P=0.0001), CDM(F=58.06, P=0.0001)로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의사, 간호사가 평가한 모델링 필름의 효과에서는 평균치가 4로써 “효과가 크다”로 나타났으나 맥박수로 본 생리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F=0.01, P=0.91) 이들을 종합해 본 때 맥박을 제외한 모든 도구의 측정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공포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남으로써 필름의 효과는 큰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주사관련처치를 위한 준비 프로그램으로서의 모델링 필름은 주사를 경험하는 아동의 주사공포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아동의 긍정적이고 협조적인 대응행동을 증진시킨 것으로 밝혀지므로서 본 필름은 앞으로 소아병동에서 아동의 정서적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Based on the Premise that children’s needle-related fear is cogni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reduction of fears of injections by the use o filmed modeling. This assumption was based on 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portive care modeling film to reduce children’s fear to needle-related procedures such as IV, IM and blood sampling, an then to assess the effect of this modeling film on the a reduction of hospitalized childrens’ (aged 3-12) fear of injections. A supportive care modeling film titled “I can receive an injection well, too.” Was developed. It dipicts a seven year old boy admitted to a hospital. The film is 13 minutes in length, with 22 scenes showing various events involving that children encounter during hospitalization including orientation to the ward, medical personnel such as nurse and doctor taking blood samples, IV, IM injections, Standard hospital equipment, separating from mother, and scenes in the treatment room, play room, nurses’ station, admission room, and bath room. In addition to explanations of injections by the nurse and doctor, syringe-like doll gives information of the need for injections. Various scenes are narrated by a child who describes his feelings and concerns at each stage of his hospital experiences. His behavior and verbal remarks accompany the modeling of coping behavior so that while he exhibits some anxiety and go through each event successfully and in a nonanxious manner, the so-called coping model of Meichenbaum. Another child expresses no fear, or anxiety from beginning to end, she is able to adapt to injection successfully, the so-called mastery model of Bandura.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hat supportive care filmed modeling would reduce the fear of injection in the hospitalized children. Research subjects were 62 hospitalized children i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31) viewed the modeling film in the play room and then had an injection or a blood sample taken in the treatment room.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tched by sex and age to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treatments were performed firs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Fear-reduction was measured multidimensionally by behavioral observation, self-report, physiological symptoms pre, during, post injention.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the Procedure Behavior Check List(PBCL), Global Mood Scale(GMS), Faces Rating Scale(FRS), Children’s Distress Measure(CDM), and pulse rate. The effect of the modeling film was assessed also by the nurse and doctors who did the blood sampling of gave injections to children. To determine the film’s effect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fears of injection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Two-Factorial design, Repeated Measures Analyse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were u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behavioral observations and self-reporting measurements. Result of GM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 during, post injections fear arousal in the experimental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34.21, P=0.0001). Results of PBCL measurement showed sign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5.20, P=0.0001). According to results of GMS and PBCL, Children’s Behavioral fears were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of FRS and CDM measuremen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two groups (F=33.75, P=0.0001, F=58.06, P=0.0001). So according to above results, Children’s subjective fears were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ulse rate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sure was not considered reliable. Nurses and doctors assessed the filmed modeling as effective not only in reducing the children’s fears about injection but also in increasing cooperative and adaptive manner of children. The efficacy of preparation using a modeling film of a child undergoing injections revealed significant fear-reduction in children. And the children who were prepared by Observing a filmed peer model coping with the specific nursing approach were more cooperative and showed fewer disruptive behavior. Whether the coping consequences to the model for fearless behavior affected the imitation of these behavior can only be evaluated with further control group who viewed unrelated film. Recommendation would be given that further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repeat to generalize the effect of modeling fil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