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초산모의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와 초기수유 상황에서의 모아 상호작용 양상과의 관계

Title
초산모의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와 초기수유 상황에서의 모아 상호작용 양상과의 관계
Authors
김태임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needs of infants, due to their dependency on their mothers, can be satisfied best through harmonious mother-infant interactions. The physical, intellectual,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infan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maternal car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aternal-infant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variables with this interaction. The eventual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help primiparous mothers gain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and lo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s which will foster infant development and enhance harmonious mother-infant interactions. For this study,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their child-rearing attitudes,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ere determined for primiparous mothers who planned to breast feed. It was hypothesized first that mothers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would have more sensitive mother-infant interaction patterns during early feeding experiences than mothers who ha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and second that mothers who have love-autonomous child-rearng attitudes would have more sensitive mother-infant interaction patterns during early feeding experiences than mothers who have love-control, hostile-autonomy or hostile-control child-rearing attitud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989 to February, 1990 by questionnaires with 120 early postpartum mothers planning to breast feed after normal deliveries and direct observations of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infants feeding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birth.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was rated on the 5-point scale of Broussard’s Neonatal Perception Inventory(NPI)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rated on the 5-point scale of Schaefer’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patterns were assessed by 5-point scale of Prices’ Assessment of Mother-Infant Sensitivity(AMIS) Scale.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were t-test and one way analysis of varienc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mothers perceived their own baby more positively(Mean=19.56) than they did the average baby (Mean=16.86). 2. Most mothers had love-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s(72.5%). 3. Sensitivity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was moderate with a Mean score of 3.37(range 1-5). Out of 24 items, interactions with relatively high scores were ‘Maternal mood and affect’(Mean=4.30), ‘Visual interaction’(Mean=4.18), ‘Mothers’ position’(Mean=3.82), and those with low scores were ‘Manner of stimulation to feed’(Mean=2.59), ‘Infant vocalization’(Mean=1.68) and ‘Infant state’(Mean=2.78). Most primiparous mothers practiced effective infant interactions but generally lacked feeding skills. 4. Mothers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tended to more sensitive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than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s(t=2.37, p<.05) . 5. Mothers who have love-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s tended to more sensitive in mother-infant interactions(Mean=85.42; range 24-120) than those with love-control(Mean=82.25), hostile-autonomous(Mean=80.38), hostile-control(Mean=79.43) child-rearing attitudes(F=3.23, P<.05). Therefore it was found that mothers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and love-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more sensitive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the early feeding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1. An education program for primiparous mothers to help them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infants, more to love-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us increase their sensitivity in mother-infant interaction. 2.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mother-infant interactions. ; 모아 관계는 인간 관계 중 가장 친밀하고 밀접한 관계로서 영아에게 생존에 필요한 욕구를 충족하고 앞으로의 생의 유형을 형성하는 것을 도와주며, 어머니에게는 만족스러운 경험과 개인적 성장 발달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모아 관계는 상호보상과 충만감을 주는 복합적 관계로서 지속적인 모아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 발전된다. 산욕 초기 모아체계의 균형과 안정성은 어머니가 제공하는 돌봄의 환경에 의해 조절되는데, 특히 어머니의 영아의 암시, 신호를 해석하고 반응하는 능력은 모아 상호작용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반영되어 모아 상호작용 체계의 특성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산욕초기에 형성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에 기초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에 기초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으로서의 모아상호작용 양상은 영아의 성장발달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중요시 된다. 따라서 산욕기 초기에 효율적인 돌봄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에 기초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촉진하는 간호중재는 영아의 성장발달 및 모아관계 형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영아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으로서의모아 상호작용 양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므로서 원만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증진하는 간호 중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1>영아에 대하여 긍정적 지각을 갖는 초산모가 부정적 지각을 갖는 초산모보다 초기 수유 상황에서 더욱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나타낼것이다. 2>영아 양육태도가 애정적-자율적 태도 사분원에 속하는 초산모가 그 외 양육 태도 사분원(애정적-통제적, 적의적-자율적, 적의적-통제적)에 석하는 초산모보다 수유 상황에서 더욱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나타낼 것이다. ? 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1989년 11월 27일부터 1990년 2월 28일까지 약 3개월 동안에 거쳐 C 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과 3개의 병원에서 정상 질식 분만하여 모유 수유를 하고 본 연구에의 참여를 동의한 초산모 120명과 그의 영아를 대상으로, 초산모의 유즙 분비가 시작되는 분만후 2~3일째 초기 수유 상황에서의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연구자와 훈련된 조사자 1인이 관찰하였고, 초산모의 영아 양육에 대한 지각 및 양육태도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Broussard 의 NPI(Neonatal Perception Inventory, 1971; Cronbach’s α = .73, .79)와 Schaefer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1959; Cronbach’s α = .81~ .87) 그리고 Price 의 AMIS(Assessment of Mother-Infant Sensitivity Scale, 1983; Cronbach’s α = .90)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사용하여 전산통계처리하였다. 초산모의 영아에 대한 지각, 양육태도 및 모아 상호작용은 평균과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영아에 대한 지각에 따른 모아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는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초산모의 양육 태도 사분원 별 모아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초산모의 영아에 대한 지각은 대다수 (82.5%)에서 일반 영아에 대하여 갖는 지각(평균 19.56점)에 비해, 자신의 영아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평균 16.86점). 그러나 소수 (21명, 17.5%)에서 부정적 지각을 나타내었다. 2. 조사 대상 초산모의 양육태도는 양육태도 차원에 있어 애정 대 적의 차원에서는 적의적 성향(평점 2.45점) 보다는 애정적 성향(평점 3.97점)이, 자율 대 통제 차원에서는 통제적 성향(평점 2.56점) 보다는 자율적 성향(평점 3.55점)이 더 두드러졌고, 양육태도 사분원에 있어 영아를 사랑하고 수용하며 가정에서 영아가 차지하는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영아에 대해 매우 반응적이며 영아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애정적-자율적 태도 사분원의 성향(평점 3.43점)이 그외 사분원, 즉 애정적-통제적(평점 2.81점), 적의적-자율적(평점 2.45점), 적의적-통제적(평점 2.55점) 성향에 비해 강하였다. 또한 애정적-자율적 태도 사분원의 경우 태도의 성향은 자율 → 애정으로 애정적 성향이 더 강하였다. 3. 조사대상 초산모의 초기 수유 상황에서의 모아 상호작용 양상의 민감성 정도는 보통수준 (평균 3.86점)이었다. 모아 상호작용 양상중 민감성 정도가 비교적 높은 문항은 어머니의 행동양상 문항의 경우 어머니의 지배적 기분과 정서(평균 4.30점), 영아와의 시각적 상호작용(평균 4.18점), 트림시키는 방법(평균 3.89점), 발성시 애정적 어조(평균 3.85점), 영아와의 접촉거리(평균 3.83점), 어머니가 영아를 안는 유형(평균 3.82점), 영아의 포만 상태에 대한 반응(평균 3.73점), 영아가 보챌때의 조절(평균 3.71점)이었고, 영아의 행동양상 문항의 경우 보채는 상태(평균 3.69점)이었다. 한편 민감성 정도가 낮은 문항은 어머니의 행동양상 문항의 경우 수유촉진을 위한 자극의 시기(평균 2.60점)와 횟수(평균 2.59점), 영아의 행동양상 문항의 경우 영아의 발성(1.68점), 어머니와의 시각적 상호작용(평균 2.43점)이었다. 즉 상당수의 초산모들이 초기 수유상황에서 어머니다운 온화한 마음가짐을 갖고 영아를 마주하여 감싸안고 애정적 어조로 발성하는 등 민감한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 반면, 수유시 빠는 것을 자극하기 위해 수유기간 전반에 걸쳐 젖꼭지를 위아래로 빠르게 움직이는 불필요한 자극(평균1~4회)을 가하는 행동양상을 나타내었다. 4. 조사대상 초산모의 영아에 대한 지각과 모아 상호작용 양상과의 관계에서 영아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인 경우(평균 89.23)가 부정적인 경우(평균 79.41)보다 모아 상호작용 양상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37, p<.05). 따라서 “영아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인 초산모가 부정적인 경우보다 초기 수유 상황에서 더욱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나타낼 것이다” 라는 제 1가설은 지지 되었다. 5. 조사대상 초산모의 영아양육 태도와 초기 수유 상황에서의 모아 상호작용 양상과의 관계에서, 초산모의 양육 태도가 애정적-자율적 태도 사분원에 속하는 초산모(평균 85.42점)가 그외 사분원, 즉 애정적-통제적(평균 82.25점), 적의적-자율적(평균 80.38점), 적의적-통제적(평균 79.43점)에 비해 모아 상호작용 양상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3, p<.05). 따라서 “영아양육 태도가 애정적-자율적 사분원에 속하는 초산모가 그외 양육태도 사분원(애정적-통제적, 적의적-자율적, 적의적-통제적)에 속하는 초산모보다 초기 수유상황에서 더욱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을 나타낼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 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긍정적 지각과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는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에 관계됨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욕초기 모아체계가 균형과 안정성을 이루는 민감한 모아 상호작용 양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간호사는 산욕초기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지각,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사정하고, 어머니가 영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도록 돕고, 어머니가 영아를 수용하고 사랑하며 영아의 자율성을 인정함을 의미하는 바람직한 양육태도인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 교육과 상담 및 간호중재가 요구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