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애리-
dc.creator서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장부진의 영양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성장부진아동을 대상으로 수유 및 이유 실태, 식습관, 영양소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시내 종합병원의 외래영양상담실에 상담이 의뢰된 만 1세에서 6세의 성장부진 환아 95명과 대조군으로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특별한 질환이 없는 동일 연령의 건강한 아이 122명을 대상으로 2001년 1월부터 2002년 4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신장과 체중을 실측하였다. 성장부진아동은 출생시 체중과 신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영양결핍상태 비율은 연령별 신장평가를 기준으로 하면 27.4%, 신장별 체중평가를 기준으로 하면 43.1%였다. 성장부진아동과 대조군의 모유 수유율과 기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성장부진아동이 조제분유를 더 수유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부진아동은 이유식을 시작한 시기(5.6±2.0개월)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늦었으며, 시판 분말이유식을 오랫동안 사용하였다. 성장부진아동은 대조군에 비하여 숟가락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가 늦었다. 성장부진아동은 이유기 동안 섭취 경험해 본 식품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식품을 처음 접한 시기도 늦고 선호 식품도 제한적이었다. 조사당시 성장부진아동은 대부분 식욕이 없고 식사가 불규칙하며 끼니를 거르는 경우가 많고 편식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식사거부, 삼키고 씹기 싫어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식습관은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쳐 성장부진아동은 열량을 포함한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대조군에 비해 섭취량이 적었다. 성장부진아동의 1일 열량 섭취량은 1-3세 839.7kcal, 4-6세 990.2kcal로 권장량의 70%에도 미치지 못하였으며 비타민 B1, 나이아신, 칼슘, 철의 섭취량도 권장량에 못 미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대조군 아동의 모든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량과 비슷하거나 권장량을 초과하였다. 어머니의 영양지식에 대한 정확도는 성장부진아동의 어머니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성장부진아동 어머니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조제분유 수유기간이 짧고 젖병 사용을 중단한 시기와 고형식을 소개한 시기가 빨랐다. 성장부진아동 어머니가 편식을 하는 경우 아동의 편식정도가 더 심하였으며 성장부진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식습관 개선에 대한 의지가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어머니의 영양지식의 부족과 비적극적인 태도 및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은 아이의 적절한 이유 실행을 어렵게 만들어 다양한 식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켜 아이의 편식을 유발하고, 영양불균형을 유발하여 성장부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장부진아동은 분유 수유율이 높고 이유 시작시기가 늦었으며 시판이유식의 사용 의존도가 높았다. 성장부진아동은 식욕이 없어 식사가 불규칙하며 끼니를 거르게 되고 편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유시 숟가락보다는 젖병 사용에 의존하여 다양한 식품에 접할 기회가 적어 제한된 식품에 대한 선호 경향을 보였으며 열량을 비롯한 영양소 섭취부족으로 영양결핍과 성장부진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아동의 영양 섭취와 섭식 방법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어머니가 올바른 영양지식과 바람직한 식습관을 가지고 실천에 옮기는 것이 성장부진 예방을 위해 필요하겠다. 그러므로 올바른 이유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교육되고 홍보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factors related to early feeding practice in children with failure to thrive through a case-control study. The case group was composed of 95 children aged 1-6 years, who were referred by pediatricians to outpatient nutrition counseling center due to malnutrition and/or failure to thrive. The control group of 122 children with the same ages was recruited from the local immunization clinics. The mothers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on general characteristics,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and dietary habits. Dietary intakes of the study children were assessed by 24hr recall method that was obtained from the mothers, and weight and height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The mean birth weights were 3.18±0.38kg for the case group and 3.31±0.35kg for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age of introducing complementary foods was 5.6±2.0 months for the case group and 5.0±2.0 months for the control group. About three fourth of mothers of both groups used commercial powdered weaning preparation, however, the mothers of the case group used the commercial preparation longer than the mothers of the control group. More babies of the case group have been bottle-fed instead of spoon-fed during wean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ge of commencing of spoon-feeding was later in the ca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case group tends to have poorer appetite, fewer favorite foods, and more dietary problems than the control group. The nutrient intakes of the case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s. The mean intakes of calorie, vitamin B1, niacin, Ca and Fe of the case group were below RDA, while those of the control group were similar to or in excess of RDA. In a dietary pattern survey of the mothers, it is shown that the mothers of the case group had more unbalanced diet than the mothers of the control group. The higher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as, the more desirable weaning practice was performed. The mot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etary habits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eaning practices have a great impact on growth of children with failure to thrive. It is important that mothers should have accurate nutritional knowledge and desirable dietary habits for themselves in order to prevent their children from failure to thrive.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on weaning pract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mothers of weaning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I. 서론 = 1 II. 연구내용 및 방법 = 4 A. 조사대상 = 4 B. 연구내용 = 5 1. 설문지 조사 = 5 2. 신체 계측 = 6 3. 식이 섭취 조사 = 6 C. 자료처리 = 7 III. 연구결과 = 8 A. 조사대상아동과 부모의 일반사항 = 8 1. 아동의 일반적 특성 = 8 2. 부모의 일반적 특성 = 12 B. 조사대상아동의 신체계측 및 신체발육상태 = 15 C. 조사대상아동의 수유실태 = 19 D. 조사대상아동의 이유실태 = 21 E. 조사대상아동의 식습관 = 30 F. 조사대상아동의 영양소 섭취실태 = 35 G. 조사대상아동 어머니의 영양지식 및 식행동 = 39 H. 성장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 45 IV. 고찰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3 부록 = 59 영문초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38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수도권 지역 성장부진아동의 식생활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