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승연-
dc.creator장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24-
dc.description.abstract조혈모세포 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은 결함이 있거나 손상된 골수를 가진 환자에게 골수 기능을 복구시키기 위하여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것으로 난치성의 혈액질환, 고형암, 자가면역질환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식 전처치(conditioning regimen)로 고용량 화학요법을 단독 또는, 전신 방사선 조사(total body irradiation)와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점막염, 오심, 구토, 설사 등 위장관계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화학요법, 패혈증, 혹은 동종 이식의 경우 이식편대 숙주반응(graft versus host disease)과 같은 스트레스로 유도된 이화상태로 인하여 영양 요구량이 증가하게 된다. 위장관계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양 결핍을 예방하고 증가된 요구량을 위하여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종합영양수액(total pa- renteral nutrition, TPN)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 이식 후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PN의 효과 및 부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TPN을 투여 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TPN을 통한 열량공급, TPN 투여에 따른 영양상태 변화 및 부작용 발현 여부 등 TPN의 사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더욱 효과적인 영양공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의 기간동안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 환자들 중 TPN을 7일 이상 사용한 경우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환자의 의무 기록지 및 TPN 기록지를 검토하였다. TPN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TPN으로 투여된 일일 평균 열량, 단백질의 양, 지질의 양, 수액량 등을 조사하였다. 환아의 영양 필요량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 환자의 평균 투여 열량을 기초 대사량(basal me- tabolic rate, BMR)의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TPN의 투여기간 및 중단사유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TPN 사용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를 위하여 체중과 혈청중의 albumin, total protein 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TPN 시작 전(day 0)과 TPN 투여 7일째(day 7), 14일째(day 14), 21일째(day 21)의 수치, 또는 위의 날짜들과 가장 근접한 날에 측정된 값의 추이를 관찰하였다. TPN 투여기간동안 측정된 혈당, 전해질(Na, K, Cl, total CO2)과 칼슘, 인산, 마그네슘 수치의 비정상 여부를 살펴보았고, blood urea nitrogen (BUN)과 serum creatinin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total bilirubin도 TPN 투여 day 0, day 7, day 14, day 21 또는 이와 가장 가까운 날짜의 수치를 취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TPN을 투여하는 기간동안 중심정맥도관과 관련된 합병증의 발생 여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조혈모세포 이식 52건의 나이 범위는 1.1세부터 17.7세였으며 평균 6.3세(중간값 5.1세)였다. 성별분포는 남자는 32명(61.5%)이고 여자는 20명(38.5%)이었다. 동종 이식 환자는 21명(40.4%), 자가 이식 환자는 31명(59.6%)이었다. TPN 투여 전 환아들의 영양상태는 양호하였다. TPN으로 투여된 일일 평균 열량은 BMR의 80.6±23.3%, 평균 단백질 양은 1.07±0.49 g/kg/d이었고 11세 이상의 소아에 비해 10세 이하에서 더 적은 양이 공급되었다. 지질은 7명의 환아에게 평균 0.47 g/kg/d가 투여되었다. 체중은 TPN 투여 전과 후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Albumin은 day 7에 정상수치의 하한선을 약간 벗어나는 정도의 감소(3.47±0.35 g/dL)가 있었으나 14일부터 TPN 투여 전의 수치(3.71±0.34 g/dL)로 회복하였고, total protein은 21일의 기간 동안 정상범위 내에서 유의하게 점차 상승했다. TPN 투여 후 day 14부터 혈당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고혈당증이 17명에서 나타났으나 모두 200 mg/dL를 넘지 않는 경증이었다. 전해질에서는 저마그네슘혈증(65.4%), 저칼륨혈증(61.5%)이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심각한 대사성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BUN은 TPN 시작 전에 정상범위보다 낮았으나(7.12±3.47 mg/dL), TPN 투여 7일째에 정상범위 내로 상승(11.58±6.87 mg/dL)했고 21일까지 그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serum creatinine은 day 14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TPN 시작 전에 AST, ALT 수치가 정상범위보다 두 배 이상 높은 환자들이 있었으나, 이는 전처치의 독성 때문에 일시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day 7에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Total bilirubin은 TPN 투여 7일째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ALP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모두 정상범위 내의 변화였다. 결론적으로, 소아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게 사용한 TPN은 체중 및 내장 단백의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조혈모세포 이식 시 사용되는 약제로 인해 간기능 수치나 전해질의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TPN 투여 시 주의깊은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usage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and to assess the nutritional benefits and risks of TPN i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52 pediatric patients who receive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Each patient was monitored until TPN was discontinued or for a maximum of 21 days. The mean daily energy intake given intravenously was 80.6±23.3% of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protein intake was 1.07±0.49 g/kg/d (mean±S.D.). Weight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s. Serum albumin levels fell markedly on day 7 (3.47±0.34 g/dL), but returned to normal on day 14 (3.71±0.34 g/dL), and then keep up to day 21. Total protei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days 7, 14, 21. Bloo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rose from day 14. In metabolic complication, the most frequent abnormalities were hypomagnesemia(65.4%). Blood urea nitrogen (BUN) was below normal on day 0 (7.12±3.47 mg/dL) and significantly rose during TPN (11.58±6.87 mg/dL on day 7). Serum creatinin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14. Transaminases were moderately elevated at the start of TPN, but returned to normal on day 7. Total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normal during TPN, with slight fluctuations, always in the normal range. Nutritional support with TPN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weight and viceral proteins. It is need to close monitoring during TPN i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연구방법 = 6 1. 연구대상 = 6 2. TPN 사용 실태 조사 = 6 3. 영양 지표(Nutritional markers)의 모니터링 = 8 4. 영양 관련 임상 모니터링 = 8 5. 통계분석 = 9 III. 결과 = 10 1. 연구대상의 특성 = 10 2. Treatment protocol = 12 2.1 이식 전처치(Conditioning regimen) = 12 2.2 지지요법(Supportive care) = 13 3. 임상 경과 = 14 4. TPN 투여 전 영양상태 = 15 5. TPN 사용 실태 = 16 6. TPN 투여 시 임상검사 수치의 변화 = 19 6.1 영양 지표(Nutritional markers) = 19 6.2 혈당과 전해질 = 24 6.3 Blood urea nitrogen (BUN)/Serum creatinine = 27 6.4 간기능 검사 수치(Liver function tests) = 30 7. 중심정맥도관 관련 합병증 = 32 IV. 고찰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21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소아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TPN 사용에 대한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