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여백에 관한 연구

Title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여백에 관한 연구
Authors
서정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보디자인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생활문명이 고도화되고 생활구조가 복잡해져 가는 현대의 사회구조는 개인의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 또한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정보의 과잉공급으로 우리는 이제 선택의 눈에 의하여 선택하고 선택되어지는 것이다. 많은 양의 정보와 인쇄물에 둘러 쌓여 있는 현대의 대중들은 눈에 보이는 모든 내용을 보려 하는 것은 아니다.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거나 혹은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에만 시선이 가는 것인데 즉, 복잡화, 세분화, 대량화로 표현되는 현대사회 속에서는 차별화 된 시각표현에 의한 의미전달과, 흥미, 감동, 공감을 환기시킬 수 있고 건전한 자극을 유발하려는 심리적 요소를 고려한 시각접근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시각디자인의 새로운 방향모색을 제안하게 되었다.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다 적절히 해주고 내용을 명확히 해주는 것만 아니라 모든 생활구조가 복잡해서 가고 정신적 스트레스가 일층 가해져 가는 현대에 있어서 여백이 가지는 간결함과 공간 감의 표현은 현대인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시켜주는 시각심리효과가 크다고 생각된다. 동양의 화가들이 여백의 작용 즉, 無의 작용을 중요시하게 된 이유는 동양전반의 철학인 도가(道家)와 유교의 무(無)와 중용(中庸)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와 같이 심오한 내면사상을 배경을 한 여백은 ‘자연적으로 남은 여백’이 아니고 ‘의도적으로 남긴 여백’을 일컫는다. 또한 서양의 합리적 조형성에서 출발하게 된 여백의 의미는 보이지않는 실체의 탐구로, 미적균형을 위한 기능적 조화미를 의도하는 것이다. 오늘날 서구적 유행에 밀려 우리의 것이 방치되거나 경시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전통적인 동양회화에 표현된 여백을 올바로 이해함은 중요한 과제라 생각한다. 따라서 여백의 표현된 道ㆍ佛의 사상적 근거를 파악함으로써 동양화에 있어 더욱 더 유심(幽深)한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고 그 전통적 여백을 현대 예술에 적극 적용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편집디자인의 동양적 사고 및 정신의 수용을 위하여 그 일례로 동양의 여백세계를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정신의 정신적 수용자세를 재검토하고 적극 수용하는 기회는 갖고자 한다. 이러한 여백을 편집디자인에 보다 합리적으로 적용, 그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먼저 동양의 정신과 사상을 통해 그 정신의 근본을 알아보고 동양화의 여백의 개념 및 발생요건 및 특징을 통해 이해를 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동양화의 여백을 가장 현저한 특징으로 삼는 산수화의 공간이 서양에서의 여백을 마진(margin)과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라는 공간과 일맥상통한다는 인식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동양화의 여백을 현대 편집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가치를 만들어내어 편집디자인에 대한 인식태도의 전환의 계기를 삼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동양적인 정신을 나타내주는 여백과 무한한 상상의 공간성을 서양의 조형감각과 결합시켜 산수의 이미지를 예시된 편집디자인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화이트스페이스가 동양여백사상을 통해 새롭게 그 기능과 시각적 효용성을 가질 수 있는 계기로 삼아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해 보기로 한다. ;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when things peculiar to Korea are being neglected or thought slightly of due to the abundant inflow of Western fashions, it seems important or us to understand correctly the white space in out traditional painting. To grasp the ideological grounds of Taoism and Buddhism expressed in those white spares is to appreciate the profound delicacy off Eastern painting more deeply and to actively accept, transmit and develop this traditional white space leaving technique into modern design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view certain tendency of accepting the spiritual world of Eastern painting in contemporary editorial design through the world of white space and to have an opportunity of positive acception. The characteristic spatiality of editorial design will be related with the white space in traditional Eastern painting, the driving power of harmonizing the root of human mentality with nature. This is under the same context with disappearance of objective description and abstraction of the object s appearance by the pursuit for the spiritual inner world of the artist throughout traditional Eastern painting and also sets its ground on the restoration to simple forms of natural phenomena through abstraction as we can see in the abstract painting of the West. Therefore, by combining the white space representing Eastern spirit and the infinite spatiality of imagination with the Western sense of formation, the author of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appropriate landscape images to apply them to editorial design. And finally the author explores a new possibility of editorial design based upon Eastern spirit for design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aesthetics and artistic theories of the W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