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희정-
dc.creator최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20-
dc.description.abstract예로부터 우리 조상은 자연의 서정과 아름다움을 문양으로 형상화하여 생활의 곳곳을 장식함은 물론이고, 각각의 문양에 이상적인 삶에 대한 현실적인 소망과 염원의 의미를 더하여 상징화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흉 배는 관복에 수놓은 천을 부착하여 일차적으로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문양의 아름다움과 장식성을 강조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흉 배는 지위와 신분을 표시하는 실용성, 문양의 상징성, 의복의 장식성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성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흉 배 모양의 연구는 조선시대의 미의식과 그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는 흉 배 모양의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을 재해석, 재창조하여 흉 배 모양의 현대적 조형 미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흉 배의 제정과 발전, 그리고 흉 배의 종류와 특징을 문헌과 보존 유물의 실증적 자료를 통해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흉 배 문양의 특성을 고찰하여 주문양과 배경문양의 분류하고 그 종류와 상징적인 의미를 연구하였다. 셋째, 전통자수와 현대자수에서 나타난 흉 배 문양의 표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작품제작에 응용하였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평수, 자련 수, 올 수, 징금 수, 이음 수, 매듭 수 등의 자수 기법을 사용하였고, 재료는 섬세하게 직조 된 문단(紋鍛)과 여러 가지 색깔의 견사, 부분적으로 금사와 은사를 사용하였고, 입체 표현을 하기 위해 면사를 속수로 사용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흉 배 모양의 조형성을 토대로, 전통미를 현대적 조형미로 재창조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의 현대화 과정은 전통적인 외형상의 형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즉, 이제까지 흉 배 모양으로 쓰이지 않았던 문양을 사용하거나, 주문양과 배경문양의 대소 차이가 없거나, 흉 배의 크기가 커지고 여백을 강조한 회화적 구도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연구하였다. 셋째, 흉 배 문양이 지니는 실용적, 상징적, 장식적 특성 등의 전통적인 내용을 더욱 강조하여 길상적(吉祥的)인 의미를 최대로 표현하였다. 넷째, 자수기법의 장식적 조형 미를 강조하여 표현하기 위해 자수 기법과 문단(紋緞), 견사, 금사 등을 사용하였다. 근래에 우리 나라 전통문화의 독창성이 대내외적으로 널리 알려져 많은 관심과 폭 넓은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전통 문화를 꾸준히 유지,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더욱더 요구된다. 다라서 흉 배의 전통미를 현대적 조형미로 나타낼 때 흉 배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은 흉 배가 갖고 있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계승,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 The designs and patterns appearing in Korea hyoongbae originated mainly from the natural surroundings and everyday items used by Koreans and were expressed in a fashion that emitted a strong and simple sense of their true, indigenous Korean nature. The patterns were based on the religion, faith, legends, and true stories about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old Korea. Many of them were derived particularly from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 patterns were widely used in various roles throughout every facet of old Korean society and were based on designs from nature, plants, animals, geometrical forms, symbols of luck and prosperity, astronomical phenomena, natural phenomena,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ne s figures and patterns invented by hum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hyoongbae and express modern beauty by recreating and reconstructing tradition.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documents and gathering ancient costumes, many hyoongbae-the symbols of rank worn on breast and back of the official costume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produced new discoveri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hyoongbae by examining actual remains, references, and then classifies hyoongbae into main-patterns and sub-patterns, and finally, adapts this to the produced embroidery. Technically, this study uses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s-weaved fabrics with traditional patterns-to express elegant and delicate hyoongbae patterns; various colored silk strings, gold and silver colored string for decoration of the hyoongbae patterns; and cotton strings for cubic delineation. This study creates and analyzes four works by expressing hyoongbea patterns through the recreation modern beauty, and makes several conclusions applicable to modern embroidery. First, based on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hyoongbae, it is possible to recreate and modernize traditional beauty. Second, in order to modernize traditional hyoonbae patterns, new patterns instead of one ones, pictorial composition, enlargement of hyoongbae are used, and no difference appears between main-pattern and sub-pattern. Third, it is possible to emphasize the practical, symbolic, and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hyoongbae pattern and express blessing contained within the patterns. Fourth, it is possible to use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 traditionally weaved, patterned fabrics, colored silk strings and gold-colored strings. This work will be of value to future studies. With the increasing passage of time, we fall in danger of neglecting or improperly using the treasures of our past. By foregoing mere imitation and using traditional embroider technique to fit us and our needs, we maintain its beauty for ages to come and for our descendants to marvel at the beauty created through our, and ancestor s endless exer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흉배의 역사적 고찰 = 3 1. 흉배의 제정과 변천 = 3 2. 흉배의 종류와 특징 = 9 B. 흉배 문양 = 22 1. 흉배 문양의 특성 = 22 2. 흉배 문양의 분류 = 24 C. 한국 자수에서 나타난 흉배 문양의 표현 = 37 1. 전통자수 = 41 2. 현대자수 = 44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56 A. 작품 제작 = 56 B. 작품 분석 = 59 Ⅳ. 결론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784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흉배 문양을 응용한 자수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