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순수형태를 통한 생명이미지 표현 연구 : 직물제작을 중심으로

Title
순수형태를 통한 생명이미지 표현 연구 : 직물제작을 중심으로
Authors
박소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대인의 사고와는 달리 인류는 근대로 들어 오면서 세계를 물질로 파악하는데 익숙해 지고 있어 생명에 입각한 세계관은 20세기에 있어 인간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고이다. 본 연구는 환경의 파괴와 변질 속에서 변함 없이 바쁘게 변해가는 현대 문명사회의 현실로부터 벗어난 예술의 본질적이고 순수한 의의를 찾아내어 희망의 표현으로서 순수형태를 통한 생명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드러나거나 드러나지 않는 물체인 것에 상관 없이 모든 물질에 담겨져 있는 생명력 있는 내용과 함께 본 연구는 추상미술의 순수형태 이론과 베르그송의 생명철학을 사상적 바탕으로 연구자의 정신이 작품 속에 객관화 되어 생명 이미지를 순수 형태를 통해 재구성하여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는 첫번째로 추상 미술 속에서 볼 수 있는 순수 형태의 이념과 순수 형태를 통한 추상 주의의 대표 예술가들에 대해 살펴 보았고, 둘째로 베르그송의 생명 철학을 통한 생명의 개념과 예술에서의 생명에 관해 고찰 하였으며, 셋째로 생명 이미지를 표현한 다양한 국내외 작가의 예술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 생명의 표현은 반짝이는 경사로써 수직적으로 길게 늘어뜨린 빛의 그룹, 여러 피스를 평면으로 제작한 직물과 섬유 조형물을 공간 속에 순수형태의 선과 면으로써 입체적으로 설치하였다. 작품에 담겨있는 원형의 섬유 조형물은 생명의 상징물로써, 그리고 직물은 생명체의 보호막으로써 생명의 순환적 의미와 공간으로써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 제작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은 시간과 환경의 조합체로서 반드시 결과에 의존하기 보다는 작업 과정을 통해서도 많은 교육적, 표현적 지식을 얻고 깨달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순수 형태의 수직적인 직물 배열 속에 입체적인 원형의 조형물을 함께 표현함으로써 생명체의 상징적 의미를 더욱 강하게 표현 해 준다. 셋째, 여러 개의 피스로 제작된 작품들은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에 따라 설치 방식을 새롭게 모색할 수 있으며 작품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넷째, 직물 제작은 모두 평면 작업으로 이루어 졌으나 설치 방식에 따라 부조적, 입체적 표현이 가능하여 하나의 커다란 입체 그룹을 이룰 때 더욱 강한 이미지를 전달 시켜 준다. 다섯째, 창출된 공간과 작품 사이에 관람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작품을 감상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잠재성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품과 관람자의 거리를 한 층 더 가깝게 만들어 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와 창작 활동을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사상과 이미지를 조형 세계에 펼쳐 나가야 하겠다. ; Contrary to the thinking way of ancient people, mankind has been familiar with understanding the world in terms of its materialistic features in recent days. and therefore, the view of the world based on lif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hinking way in the 20th century in overcoming crisis of mankind.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living images through their pure forms as an expression of hope by finding basic and pure significance of art apart from the reality of the modern cultural society which are being changed constantly and busily in the destruction and deterioration of environment. A purpos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re-organize and express images of life which are viewed objectively in the works through pure forms based on the pure formed theory of abstract art and life philosophy of Bergson as an ideological background along with vital contents in every object regardless whether the object is visible or invisible. In the theoretical method of study, Firstly, ideas in the pure form which can be seen in abstract art and representative artists of abstractionism through the pure form are reviewed; secondly, the concept of life through life philosophy of Bergson and life in the art are studied; and finally, various art works of domestic artists who have expressed life images are analyzed.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expression of life is 3-dimensionally installed in terms of lines and areas of the pure form by properly arranging groups of vertically suspending light as twinkling inclination, textiles of which many pieces are formed in planes, and fabric moldings in the space. Circular fabric moldings in works are expressed as symbols of life, and the textiles as protective membranes of living bodies in expressing circulatory meaning of life and space.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such production of works are as follows: First, art is the combination of time and environment, and a great deal of educational and expressional knowledge can be obtained and appreciated through working processes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results always. Second, symbolistic meaning of a living body is more strongly expressed by forming 3-dimensional circular molding in vertical arrangement of textiles in the pure form. Third, works produced in many pieces are easy to install and preserve, their installation methods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pace, and the sizes of works can be varied freely. Fourth, although textile works are plane works, expression of relief and 3-dimensiona is possible according to how they are installed, and they convey stronger images when they form a large cubic group. Fifth, it is induced to appreciate new potential from various angl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and viewer becomes shorter by having the viewer look at the work while moving freely between the space thus created and the work.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o expand deeper ideas and images in the formative art world through continuous study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