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7 Download: 0

십자가의 상징성에 관한 표현연구 : 직물에 의한 형태를 중심으로

Title
십자가의 상징성에 관한 표현연구 : 직물에 의한 형태를 중심으로
Authors
김경나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예술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공간의 적극적인 가치를 인정하고 공간을 본질적 조형 요소로 추구함에 따라 그 조형적 효과와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공간은 작가가 체험한 의미를 함축 시켜 조형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특수한 미적 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수단이 되었다. 섬유예술에서도 역시 평면공간에서만 이루어 졌던 작품의 형식에서 벗어나 입체공간 속에서 다양한 공간미를 보여주면서 단순한 입체 작품이 아닌 공간 전체를 표현의 장으로 확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의 상징물의 하나인 ‘십자가’의 형태를 가지고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를 연구하고 이를 본 연구자의 내면세계와 연결함으로써 재구성하여, 수직ㆍ수평선이라는 조형적 요소로 공간 속에서 작품을 표현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첫째로 예술에서의 종교적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기독교와 예술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본 후 종교에서 상징의 의미들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와 십자가의 내포된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둘째로 조형예술의 개념과 십자가가 가지고 있는 수직ㆍ수평선의 조형요소에 대해 몬드리안의 작품을 통해 고찰한 후 공간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십자가가 가지고 있는 수직, 수평의 선적인 조형요소와 형태를 가지고 직조에서 나타나는 위 사와 경사의 교차, 이중 직에서 나타나는 교차, 반복되는 형태들이 주는 이미지, 색상과 연결된 상징적 의미 등의 복합적인 요소들에 의해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제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진정한 예술은 하나님의 은사에서부터 시작되고 예술가는 창조활동을 통하여 하나님께 그 영광을 돌리게 되는 것이다.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그 작품을 통하여 기독교 예술가의 하나님을 발견하게 되며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을 이해하게 되는 작은 선교의 역할을 담당한다. 둘째, 예술에 있어서의 상징은 사실적 표현의 그림이나 사진 같은 것이 아니라 대상을 명료화 하여 상징 자체의 감각적 외 향 너머에 있는 실제를 드러내는 것이고 ‘십자가’는 기독교를 나타내는 기호라는 것 이상의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어서 작품으로 표현하기에 충분하였다. 셋째, 십자가의 많은 의미 중 본 연구자의 신앙 생활 속에서 마음에 감동과 힘을 주었던 말씀들을 선택하여 선과 형태 그리고 색채의 조형요소로서, 본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드러내어 언어가 아닌 상징으로서 표현하였다. 넷째, 조형표현에 있어서 피스의 조립방법의 사용은 단순화된 형태로 제작한 직물을 여러 가능성을 가진 입체 형태로 재조립하는데 용이하였고 무한히 자유로운 조형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다섯째, 공간 속에서 평면의 섬유 작품을 2중직이라는 기법으로, 붙이거나 조립하는 2차 적인 변형을 가하지 않고 바닥에 세워놓음으로 직조 작품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공간 속에서 관중들과 함께 조화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그 상징적 의미들을 새로이 부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현대 섬유예술의 표현 경향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고유한 방법을 가지고 있기에 그 발전은 끊임없을 것이며, 본 연구자의 표현방법도 그 발전에 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 생각되고 앞으로 다른 표현방법과의 접합을 통한 새로운 표현 영역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하겠다. ; Modern art has revealed the molding effect with various peculiarity by recognizing the value of space which is now considered as the basic factor of formative art since 20th century. As a result, space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that shows the significant of an artist s experience. This tendency of the day could be also founded in Fiber Art ; it has been expanded to three dimensional space showing not only the simplicity on a plane space but also manifold beauty of various spaces. Hence, the studying of connotation on how the Cross, the most typical symbol of christianity, combines with the inside view of the artist and bring a new art about vertical and horizontal factors of molding will be discussed in this work. First, of all,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the Fiber art will be discussed to examine the religious expression in the field of art as well as the way of presentation of those by studying the meaning of the cross. Secondly, the concept of the formative art will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Cross to look through the result of these mixture.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factors can also be seen through Pied Mondrian s works. Above these, complex of intersection of weft and warp on weave, the total image through repetition of configuration, symbolic meaning related with color,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factors of molding and ext. are all considered to be put together in the actual formative work.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above points. First, the gifted talent from God is the starting point to the real art and eventually linking to the artist s praise towards God. Moreover, it brings other people s praises through the art work that he made. It helps people th meet the Lord, understand His mercy and amazing plane of salvation - the mission, the major role of all Christians. Secondly, the real symbol of art is to reveal the hidden reality beyond its extrovert appearance by clarifying the object rather than the appeared theme of the work because it had lots of meaning besides standing as the main symbol of the Christianity. Thirdly, the main molding factors concerning lines, shapes and colors were based on the words from the Bible that express and hold the author firmly whenever the author was in confliction situations. And these factors were just suitable to show the author s insides view as a symbol, but not as a language. In addition to this, it was realized that the fiber art could be creatively restructured with the artist s personal subjectivity and the discovery of the object. Fourth, the application of piece organization was easy to assemble the weaving a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with much potential ability. Finally, this work was created to show another way of fiber art by standing on the flour rather than attachment or the restructuring of double-weave. It could be smoothly harmonized with audience and bring the fiber art into relief as another symbolic art. To conclude the above, there are a lot of possibilities to prosper the trend of fiber art since the artist keeps his own to create the work in these days. This trend will lead afresh way of fiber art and it will be developed continually by joining many other typical expressing ways including this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